아래는 “The Humanoid 100: Mapping the Humanoid Robot Value Chain”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보다 길고 상세한 분석 포스팅입니다. 전체 100개 기업의 풀리스트 개요, 세부 분야(브레인, 바디, 인테그레이터)별 국가 및 지역별 기업 수, 그리고 각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주요 기업들의 기술적·시장적 역할과 투자 인사이트를 다룹니다.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 “Humanoid 100” 보고서 심층 분석



모건스탠리는 최근 “The Humanoid 100: Mapping the Humanoid Robot Value Chain”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상장기업 중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와 밀접하게 연관된 약 100여 개 기업을 선정하고, 이를 세 가지 핵심 영역(브레인, 바디, 인테그레이터)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AI가 디지털 영역을 넘어 물리적 세계(로봇)로 확산되는 현상을 보여주며, 잠재적 총시장 규모(TAM)가 최대 60조 달러에 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아래에서는 각 영역의 세부 구성과 국가·지역별 분포, 그리고 주요 기업들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1. 보고서 개요 및 분류 체계
1.1 보고서 취지
• 목적: 투자자들이 ‘휴머노이드 로봇’이라는 차세대 기술 투자 테마에 대해 보다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해당 산업의 핵심 상장기업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풀 리스트” 제공
• 전망: 로봇의 물리적 구현이 글로벌 GDP 및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과 함께, 향후 10년 내에 휴머노이드 로봇이 주요 기술 투자 테마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
1.2 세 가지 핵심 영역
모건스탠리는 전체 100여 개 기업을 다음 세 영역으로 구분했습니다.
• 브레인 (Brain, 22개 기업):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및 디지털 트윈 등 로봇의 ‘두뇌’를 담당
– 주요 역할: 로봇의 자율성, 학습, 추론 및 환경 인식 지원
– 대표 기업: NVIDIA, Alphabet, Microsoft, Meta, Baidu, Arm, Synopsys 등
• 바디 (Body, 64개 기업):
– 센서, 액추에이터, 모터, 감속기, 배터리 등 로봇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공급
– 주요 역할: 로봇의 이동, 조작, 감지 및 에너지 공급
– 대표 기업: CATL, LG Energy Solution, 삼성SDI, Harmonic Drive Systems, Hiwin, Hota, LeaderDrive, NSK, Analog Devices, Robosense 등
• 인테그레이터 (Integrators, 22개 기업):
– 실제로 완전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거나, 관련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
– 주요 역할: 로봇의 설계, 프로토타입 개발 및 상용화 추진
– 대표 기업: Tesla, Hyundai (및 Boston Dynamics 계열), Toyota, BYD, XPeng, Apple, Xiaomi, Alibaba, Amazon, Naver, Tencent, ABB, Midea, UBTech, Rainbow Robotics 등
총 22 + 64 + 22 ≈ 108개(보고서에서는 약 100개 내외로 조정) 기업이 선정되었으며, 이는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2. 국가 및 지역별 분포

보고서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에 참여하는 상장기업의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아시아:
– 전체 참여 기업의 73%가 아시아에 기반하며, 그 중 56% 이상이 중국 및 대만에 속합니다.
– 특히 ‘바디’ 영역에서 중국 기업들이 63%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비용 경쟁력과 정부 지원, 기존 제조 인프라를 바탕으로 강력한 공급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미국 및 캐나다:
– 주로 ‘브레인’ 영역의 글로벌 빅테크 기업(예: Alphabet, Microsoft, NVIDIA)과 일부 인테그레이터 기업이 포함됩니다.
• 유럽 및 기타 APAC:
– 유럽과 기타 아시아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수의 핵심 부품 및 기술 분야(예: 감속기, 정밀 센서 등)를 담당하며, EMEA 지역 기업들도 특정 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브레인 (Brain) – 로봇의 ‘두뇌’, AI 및 반도체/소프트웨어 관련
1. Palantir Technologies (PLTR) – 미국
2. Oracle Corporation (ORCL) – 미국
3. Siemens – 독일
4. Baidu (BIDU) – 중국
5. Meta Platforms (META) – 미국
6. Alphabet Inc. (GOOGL) – 미국
7. Microsoft (MSFT) – 미국
8. Intel Corporation (INTC) – 미국
9. NVIDIA (NVDA) – 미국
10. Synopsys (SNPS) – 미국
11. Cadence Design Systems (CDNS) – 미국
12. Arm Holdings – 영국
13. TSMC – 대만
14. Samsung Electronics – 대한민국
15. Micron Technology (MU) – 미국
16. SK Hynix – 대한민국
17. Horizon Robotics – 중국
18. Ambarella – 미국
19. Mobileye – 미국
20. Qualcomm – 미국
21. Dassault Systèmes – 프랑스
22. Hexagon – 스웨덴
2. 바디 (Body) – 로봇의 물리적 구성요소(센서, 액추에이터, 배터리 등)
1. Valeo – 프랑스
2. Xusheng – 중국
3. Magna International – 캐나다
4. EVE Energy – 중국
5. Samsung SDI – 대한민국
6. LG Energy Solution – 대한민국
7. CATL – 중국
8. Shuanglin – 중국
9. NSK – 일본
10. Timken – 미국
11. RBC Bearings – 미국
12. Tuopu – 중국
13. Sanhua – 중국
14. Shenzhen Inovance – 중국
15. Moog – 미국
16. Rockwell Automation – 미국
17. Honeywell – 미국
18. Siemens – 독일
19. Hon Hai Precision (Foxconn) – 대만
20. Novanta – 미국
21. Hota – 대만
22. Harmonic Drive Systems – 일본
23. LeaderDrive – 중국
24. Shuanghuan – 중국
25. Nabtesco – 일본
26. Zhongda Leader – 중국
27. Leadshine – 중국
28. Estun – 중국
29. Zhaowei – 중국
30. Moons Electric – 중국
31. Regal Rexnord – 미국
32. Nidec – 일본
33. JL Mag – 홍콩 (중국)
34. MP Materials – 미국
35. Lynas Rare Earths – 호주
36. Northern Rare Earths – 중국
37. ABB – 스위스
38. Shanghai Beite – 중국
39. THK – 일본
40. Hiwin Technologies – 대만
41. Jiangsu Hengli – 중국
42. SKF – 스웨덴
43. Melexis – 벨기에
44. Will Semiconductor – 중국
45. Texas Instruments – 미국
46. Allegro Microsystems – 미국
47. STMicroelectronics – 스위스
48. Onsemi – 미국
49. Renesas – 일본
50. Infineon – 독일
51. NXP Semiconductor – 네덜란드
52. Keli Sensing – 중국
53. Sensata – 미국
54. Analog Devices – 미국
55. Robosense – 홍콩 (중국)
56. Sony Group – 일본
57. Teledyne – 미국
58. Keyence – 일본
59. Aptiv – 미국
60. TE Connectivity – 미국
61. Amphenol – 미국
3. 인테그레이터 (Integrators) – 완성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통합 솔루션 제공
1. GAC Group – 중국
2. XPeng – 중국
3. Hyundai – 대한민국
4. BYD – 중국
5. Toyota – 일본
6. Tesla – 미국
7. LG Electronics – 대한민국
8. Xiaomi – 중국
9. Apple – 미국
10. Alibaba – 중국
11. Amazon – 미국
12. Hon Hai Precision (Foxconn) – 대만
13. Naver – 대한민국
14. Tencent – 중국
15. Estun – 중국
16. Rainbow Robotics – 대한민국
17. UBTech – 중국
18. Midea – 중국
19. ABB – 스위스
20. Samsung Electronics – 대한민국
21. Teradyne – 미국
22. Sony Group – 일본
3. 분야별 주요 기업 및 기술/시장 역할
3.1 브레인 (Brain) –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주요 역할:
• 기초 생성형 AI 모델,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기술을 개발하여 로봇 자율성과 학습 능력을 강화
•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통해 로봇의 추론 및 의사결정 프로세스 지원
주요 기업 및 특징:
• NVIDIA (NVDA):
– Project Gr00t를 통한 로봇 시뮬레이션 및 자율성 기술 제공
– 높은 연산 능력과 AI 칩 생태계를 통해 로봇 두뇌 핵심 역할
• Alphabet (GOOGL) & Microsoft (MSFT):
– Google DeepMind 및 Azure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로봇의 학습,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 지원
– AI 소프트웨어 및 모델 개발 분야에서 주도적
• Meta (META):
– 자체 AI 모델과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로 로봇 제어 기술 강화
• Baidu:
– 중국 내 로보틱스 연구 그룹 및 파트너십을 통해 시각 인식 칩 등 보완
• Arm, Synopsys, Cadence:
– 반도체 설계 및 칩 최적화 분야에서 휴머노이드 맞춤형 솔루션 개발
3.2 바디 (Body) – 하드웨어 및 구성 부품
주요 역할:
• 로봇의 물리적 움직임, 감지, 에너지 저장 및 분배를 담당하는 부품을 공급
• 고정밀 센서, 액추에이터, 배터리, 모터, 감속기 등을 통해 로봇의 성능과 내구성을 보장
핵심 부품 및 관련 기업:
• 배터리 및 전원:
– CATL, LG Energy Solution, 삼성SDI:
• 전기차와 유사한 기술로, 고에너지밀도 및 안정성을 갖춘 배터리 셀 공급
• 액추에이터 및 기계 부품:
– Harmonic Drive Systems, Hiwin, Hota, LeaderDrive, NSK:
• Tesla Optimus Gen2와 같이 28개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50여 개의 자유도를 구현
• 정밀 감속기와 볼 스크류 등 핵심 기계 부품 공급
• 센서 및 비전:
– Analog Devices, Intel, Keyence, Robosense, Sony Group:
• 고해상도 카메라, 라이다, 힘/토크 센서 등으로 로봇의 환경 인식 지원
• 구조 및 연결 부품:
– Amphenol, TE Connectivity:
•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 솔루션 제공
시장 및 기술 인사이트:
중국 및 대만 기업들이 주도하는 이 분야는 저비용, 대량 생산 경쟁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하드웨어 부문을 주도하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과 함께 공급망의 성숙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3.3 인테그레이터 (Integrators) – 완성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주요 역할:
• 로봇 시스템 전체를 통합해 실제 동작 가능한 휴머노이드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역할
• 자동차, 소비자 전자, 인터넷, 전통 로봇 분야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참여
주요 기업 및 특징:
• 자동차/모빌리티:
– Tesla:
• Optimus 로봇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및 로봇 공학의 융합을 주도
• CEO Elon Musk는 향후 로봇이 회사 수익의 핵심이 될 수 있다고 전망
– Hyundai (및 Boston Dynamics 계열):
• 기존 자동차 제조 기술과 로봇 공학을 결합해 산업용 및 서비스형 로봇 개발
– Toyota:
• T-HR3 등 연구형 로봇을 통해 인체 모방 기술에 집중
• 소비자 전자 및 가전:
– Apple, Xiaomi, Sony:
• 가정용 로봇, 스마트 홈 등 다양한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 진출
• 인터넷 및 e커머스:
– Alibaba, Amazon, Tencent, Naver:
• 물류 자동화, 서비스 로봇, 내부 운영 효율화 등을 목표로 인공지능 기반 로봇 개발
• 전통 로봇 제조:
– ABB, Midea (KUKA), Teradyne:
• 오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산업용 로봇과 협동 로봇 시장을 선도
• 휴머노이드 전문 플레이어:
– UBTech, Rainbow Robotics:
• 인간형 로봇 개발에 집중하며, 비교적 신생 기업으로 순수한 휴머노이드 기술 플레이어로 평가
시장 인사이트:
인테그레이터 기업들은 기존 제조 인프라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제 상용화 단계에 돌입하고 있으며, 특히 Tesla와 같은 기업은 향후 로봇이 회사 전체 사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분야별 국가 및 지역별 기업 수 집계
모건스탠리 보고서의 통계에 따르면, 전체 100개 기업 중에서:
• 브레인: 22개 기업
– 미국 및 캐나다 주요 빅테크(Alphabet, Microsoft, NVIDIA, Meta)와 일부 유럽·대만 반도체 설계 기업 포함
• 바디: 64개 기업
– 중국 및 대만 기업이 주를 이루며, 전 세계 부품 공급망에서 63% 이상의 점유율을 보임
• 인테그레이터: 22개 기업
– 미국, 중국, 일본 등 글로벌 대형 기업들이 고르게 분포하며, 특히 자동차 및 소비자 전자 분야에서 강세
지역별 분포는 약 73%가 아시아(특히 중국 및 대만), 17% 정도가 미국 및 캐나다, 나머지가 유럽 및 기타 지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 oai_citation:1‡The_Humanoid_100_-_Mapping_the_Humanoid_Robot_Value_Chain.pdf)
5. 투자 인사이트 및 전망
5.1 기술 및 시장 동향
• 생태계 확장: AI와 물리적 로봇 기술의 융합은 “생체형 AI”의 새로운 시장 기회를 열어주며, 향후 10년 내에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 비용 절감 및 공급망 성숙: 특히 ‘바디’ 영역에서 중국 기업들이 강력한 비용 경쟁력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생산 규모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ASP(평균 판매 가격)와 BOM(자재비)의 지속적인 하락을 예고합니다.
• 글로벌 경쟁 구도: 미국 및 유럽의 빅테크 기업은 기술력과 데이터 생태계를 기반으로 ‘브레인’ 부문을 주도하며, Tesla, Hyundai, Toyota 등은 인테그레이터 영역에서 로봇의 실용화 및 대량 생산을 견인할 것입니다.
5.2 투자 포인트
• 초기 진입자 혜택: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나, 모건스탠리 보고서는 이 분야가 60조 달러 규모에 이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전망합니다.
• 기업별 핵심 역량:
– NVIDIA, Alphabet, Microsoft: 강력한 AI 및 컴퓨팅 파워 제공
– CATL, LG Energy, 삼성SDI: 배터리 및 에너지 관리 기술로 로봇의 지속 가능성 확보
– Tesla, Hyundai, Apple: 인테그레이터 역할을 통해 완성형 로봇의 상용화 및 시장 확장 주도
• 지역별 전략: 중국의 공급망 경쟁력과 제조 인프라, 미국·유럽의 소프트웨어 및 AI 기술력이 각각 상호 보완적 역할을 수행하며, 분산 투자 전략이 유망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모건스탠리의 “Humanoid 100” 보고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단순한 미래 기술이 아니라, 이미 투자와 산업 구조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핵심 테마임을 보여줍니다.
• 브레인 영역에서는 AI와 반도체 기술이 로봇 두뇌를 구성하며,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합니다.
• 바디 영역은 중국 및 대만 기업들이 주도하며, 고정밀 부품과 제조 역량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합니다.
• 인테그레이터 영역에서는 Tesla, Hyundai, Apple 등 글로벌 기업들이 실제 상용화를 추진하며, 이들 기업이 앞으로 시장 판도를 결정할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의 보급과 기술 발전은 노동시장, 제조업, 소비자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파급 효과를 미칠 것이며, 이에 따른 투자 기회도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은 각 분야별 핵심 기업의 기술력과 시장 입지를 면밀히 분석해, 미래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 분석은 모건스탠리 “Humanoid 100” 보고서의 핵심 내용과 전반적인 데이터, 그리고 각 분야별 주요 기업의 역할 및 기술적 특징을 종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수치와 최신 정보는 모건스탠리의 원본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투자 결정 시 추가적인 재무 분석과 시장 동향 파악이 필요합니다.
'IT & Tech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CE 자격증 개요 준비방법 가점 사례 평가방식 총정리 시험일정 (0) | 2025.02.17 |
---|---|
자율화와 자동화 차이 개념 인공지능 (0) | 2025.02.16 |
ChatGPT와 Perplexity AI 기술적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제공 방식, 수익 모델, 활용 사례 비교 (0) | 2025.02.16 |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프로필과 퍼블렉시티 (0) | 2025.02.16 |
아라빈드 스리니바스(Aravind Srinivas) 프로필 학력 나이 고향 퍼블렉시티 창업자 ceo mwc2025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