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ie

한국어와 일본어가 비슷한 이유 일제 언어 언어순화 민주주의 대통령 의회 일제 잔재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4. 12. 7.
반응형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 서구 사상과 학문, 제도, 문화 등을 한자어로 번역·조어한 뒤 한국어에 유입된 일본식 한자어(和製漢語)들을 더 폭넓게 정리한 목록입니다. 이러한 어휘들은 정치·사회·문화·사상·학문·기술·경제 등 전방위적으로 쓰이며,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에도 계속해서 한국어 어휘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일부 단어는 중국에도 역수출되어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 전체에 퍼진 경우도 많습니다. 즉, 일상에서 접하는 개념적 한국어와 일본어 어휘가 비슷한 이유는 현대 한국어가 일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입니다.(너무 근본적 영향이라 언어 순화도 불가능합니다)


정치·사회·사상 분야
• 민주주의(民主主義), 자유(自由), 평등(平等), 인권(人權), 국민(國民), 국가(國家)
• 헌법(憲法), 의회(議會), 국회(國會), 의원(議員), 내각(內閣), 정당(政黨)
• 대통령(大統領), 총리(總理), 장관(長官), 지방자치(地方自治)
• 공화국(共和國), 왕국(王國), 공산주의(共産主義), 사회주의(社會主義), 자본주의(資本主義), 제국주의(帝國主義)
• 국제(國際), 외교(外交), 조약(條約), 동맹(同盟), 협정(協定)
• 혁명(革命), 반란(叛亂), 운동(運動), 시위(示威), 투쟁(鬪爭)
• 관료(官僚), 행정(行政), 제도(制度), 정책(政策), 법률(法律), 사법(司法)

경제·산업·과학·기술 분야
• 경제(經濟), 산업(産業), 상업(商業), 무역(貿易), 금융(金融), 은행(銀行)
• 회사(會社), 주식(株式), 상품(商品), 자본(資本), 화폐(貨幣), 시장(市場), 투자(投資)
• 과학(科學), 기술(技術), 발명(發明), 개발(開發), 공업(工業), 기계(機械), 기구(機構)
• 통계(統計), 지리(地理), 역사(歷史), 문헌(文獻), 인류(人類), 세계(世界)
• 물리학(物理學), 화학(化學), 생물학(生物學), 지질학(地質學), 수학(數學), 의학(醫學)
• 전기(電氣), 전력(電力), 전화(電話), 전신(電信), 전차(電車), 철도(鐵道)
• 공장(工場), 항만(港灣), 도로(道路), 교량(橋梁), 운송(運送), 유통(流通)

사회·문화·교육·예술 분야
• 사회(社會), 문화(文化), 문명(文明), 민족(民族), 관습(慣習), 전통(傳統)
• 교육(教育), 학교(學校), 초등학교(小學校), 중학교(中學校), 대학(大學), 연구(硏究), 학설(學說), 이론(理論)
• 문학(文學), 예술(藝術), 미술(美術), 음악(音樂), 연극(演劇), 희곡(戱曲)
• 종교(宗教), 철학(哲學), 사상(思想), 이념(理念), 관념(觀念), 가치(價値)
• 언어(言語), 문법(文法), 어휘(語彙), 사전(辭典), 번역(飜譯), 용어(用語)
• 신문(新聞), 잡지(雜誌), 출판(出版), 도서관(圖書館), 박물관(博物館), 전시회(展示會)

의료·보건·생활 분야
• 의료(醫療), 위생(衛生), 약국(藥局), 간호(看護), 진단(診斷), 치료(治療), 약물(藥物)
• 병원(病院), 환자(患者), 증세(症勢), 예방(豫防), 검사(檢査), 실험(實驗)
• 주택(住宅), 도시(都市), 인구(人口), 시민(市民), 주민(住民), 청년(靑年), 노인(老人)
• 생활(生活), 노동(勞動), 직업(職業), 역할(役割), 신분(身分), 군중(群衆)
• 편의(便宜), 시설(施設), 가정(家庭), 가족(家族), 사회복지(社會福祉)

행정·법·외교·군사 분야
• 행정(行政), 관청(官廳), 관리(管理), 조직(組織), 구조(構造), 관리(官吏)
• 재판소(裁判所), 검찰(檢察), 변호사(辯護士), 경찰(警察), 교도소(矯導所)
• 외교(外交), 영사관(領事館), 대사관(大使館), 협상(協商), 협의(協議)
• 군사(軍事), 육군(陸軍), 해군(海軍), 공군(空軍), 병기(兵器), 전략(戰略), 전술(戰術)

학술·연구·지식 체계
• 개념(槪念), 추상(抽象), 구체(具體), 논리(論理), 증명(證明), 정리(定理)
• 학문(學問), 학술(學術), 강연(講演), 연설(演說), 토론(討論), 논문(論文), 실증(實證)
• 관점(觀點), 견해(見解), 주장(主張), 의견(意見), 제안(提案), 평가(評價)
• 증거(證據), 검토(檢討), 연구소(硏究所), 실험실(實驗室), 자료(資料)

기타
• 현대(現代), 근대(近代), 시대(時代), 기회(機會), 시기(時期), 조건(條件), 요소(要素)
• 변혁(變革), 발전(發展), 개선(改善), 혁신(革新), 창조(創造), 계발(啓發), 계몽(啓蒙)
• 사고(思考), 감정(感情), 인식(認識), 의식(意識), 판단(判斷), 경험(經驗)
• 관계(關係), 의존(依存), 환경(環境), 영향(影響), 결과(結果), 효과(效果)
• 교양(敎養), 교훈(敎訓), 취미(趣味), 여가(餘暇), 독서(讀書), 독본(讀本)

위에 열거된 단어들은 한국에서 이미 일상적 또는 전문적 용어로 깊이 정착되었기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 기원이 일본식 한자어라는 인식을 갖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가 메이지 시대 일본 지식인들이 서양의 개념을 한자로 음차하거나 뜻을 살려 재구성한 뒤, 이를 조선시대 말기와 일제강점기 및 그 이후로도 한국이 수용·정착한 어휘들입니다. 이러한 단어들은 현대 한국어 어휘의 커다란 축을 이루며, 동아시아 지식인들이 한자를 공통 매개체로 서구 문명과 현대성을 받아들인 역사적 흔적을 잘 보여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