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14

유유(劉裕, 363~422) – 남조 송나라의 개국 황제 무제 생애 업적 한족 왕조 유유(劉裕)는 중국 남북조 시대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인 송(宋, 420479)을 세운 개국 황제(재위 420422)로, 무제(武帝)라는 시호로 불립니다. 그는 한족 출신으로, 가난한 신분에서 시작해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으로 황제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입니다. 동진(東晉)의 귀족 정치를 종식하고 남조 체제를 확립한 그는, 남방 안정과 북벌을 통해 한족 왕조의 정통성을 되살리려 했습니다.1. 출신과 초기 생애 – 나무꾼에서 장군으로유유는 **363년, 강소성(江蘇省) 팽성(彭城)**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조상은 후한(後漢) 명문가 출신이었으나, 가문이 몰락해 가난한 농민으로 살아야 했습니다. 어린 시절 그는 나무꾼과 소금 장수로 생계를 이어갔고, 힘이 장사였다고 전해집니다.그는 젊은 시절부.. 2025. 1. 29.
위진남북조 역대 황제 계보 동진 서진 송 제 양 진 북제 북주 위진남북조 시대(220~589년)는 중국 역사에서 가장 복잡한 분열기로, 수많은 왕조와 군주들이 흥망을 거듭했습니다. 각 군주의 간략한 소개와 주요 연호를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위(魏, 220~265)조비(曹丕, 재위 220~226) • 소개: 조조의 아들로, 후한을 멸하고 위를 건국.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전론》을 저술. • 연호: 황초(黃初). • 특징: 구품중정제(九品中正制)를 시행해 귀족 중심 관료제 확립.조예(曹叡, 재위 226~239) • 소개: 조비의 아들. 군사적 역량으로 촉한의 제갈량과 대치. • 연호: 태화(太和), 청룡(青龍), 경초(景初). • 특징: 낙양 궁궐을 대규모로 확장, 사치로 국고 고갈.조방(曹芳, 재위 239~254) → 조모(曹髦, 재위 254~260) →.. 2025. 1. 29.
퇴근길 배달 부업 쿠팡이츠 배민커넥트 등록방법 배달단가 수익 사전교육 준비물 후기 퇴근길을 활용해 배달 부업을 하면 얼마나 벌 수 있을까요? 배민커넥트(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배달 플랫폼을 이용하여 직접 배달을 해보며 수익과 효율적인 배달 루트, 예상되는 문제점, 배달 초보자가 알아야 할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1. 배달 부업, 어떻게 시작할까요?배달 부업을 시작하려면 먼저 배달원 등록을 해야 합니다. 현재 배달 가능한 플랫폼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민커넥트: 원하는 지역에서 원하는 시간만 배달이 가능합니다. 배달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며, 건당 4000~8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달을 직접 수락하는 방식이므로 퇴근길 배달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 쿠팡이츠: 단건 배달 시스템으로 한 번에 하나의 주문만 수행합니다. 빠른 배달이 가능하며, 건당 5000~100.. 2025. 1. 29.
중국의 공산주의는 특정 시대의 수단일 뿐, 핵심은 수천년간 이어온 중화주의와 금권주의 이번에는 ‘공산당 체제’나 ‘자본주의·민주주의 도입 여부’ 같은 정치·경제 제도에 상관없이, “중국”이 아닌 “중화(中華)” 자체가 이 국가의 뿌리이며 구심점이라는 제 생각을 공유해보겠습니다. 즉 중화사상이 곧 일종의 ‘종교’처럼 중국을 지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사고방식·문화적 기반이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해보겠습니다.1. “중화”라는 사상적 구심점 1. 중화사상은 중국인의 ‘집단 정체성’ • 중국을 이야기할 때 많은 사람이 정치 제도(공산당, 사회주의 등) 또는 경제 발전 모델(시장경제, 개방정책 등)에 주목합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중국인들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는 것은 ‘공산주의’ 이념이 아니라, 오랜 역사와 전통으로 형성된 “중화사상”이라는 견해입니다. • 이는 중화사상이 사실.. 2025. 1. 28.
중국 대학 서열(한국 대학 서열과 비교) 이번에는 중국 주요 대학 서열(C9 리그 등)과,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서연고-서성한-중경외시-건동홍-국숭세단’ 구분을 대략적으로 비교했습니다. 실제 입시 난이도, 세계에서의 대학별 위상이나 전공별 차이는 중국이 훨씬 높은 수준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 표나 대응 관계는 어디까지나 편의상 추정한 것이며 절대적 기준은 아닙니다. 참고 • 중국 대학 서열은 일반적으로 C9 리그(청화·베이징대 등) → 그 다음 상위권(인민대·중산대·통지대·우한대 등) → 지역 명문 순으로 구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한국 대학 서열은 보통 ‘서연고’(서울대·연세대·고려대) / ‘서성한’(서강·성균관·한양) / ‘중경외시’(중앙·경희·외대·시립대) / ‘건동홍’(건국·동국·홍익) / ‘국숭세단’(국민·숭실·세종·단국) 식으로.. 2025. 1. 28.
딥시크 등장과 개인정보 논란의 이중성 [국내 AI vs. 해외 AI, 그리고 사용자 이중성에 대한 고찰]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딥시크(DeepSeek)라는 AI 프로그램의 프라이버시 정책과 관련된 글이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한 이용자는 딥시크가 사용자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중국 서버에 저장한다고 주장하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그러면서도 알리익스프레스(중국 서비스)는 잘 쓰지 않느냐?”라는 반론을 제기해, 이중적 태도가 아니냐는 논쟁이 불거졌습니다.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지적한 핵심은, 중국산이든 미국산이든, 사실상 많은 플랫폼 기업과 AI 서비스가 유사한 수준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예컨대 “네이버나 카카오도 회원가입부터 실명·생년월일·휴대폰번호 등을 모으고, 쿠키나 IP, 기기정보 등을.. 2025. 1. 28.
2025 중국 대학 순위 랭킹 서열 칭화대 북경대 푸단대 조장대 우한대 인민대 구교연맹 중국의 대학 입시는 가오카오(高考,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점수를 기반으로 하며, 대학별 명성, 학과 전공, 지역별 경쟁률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됩니다. 최근 정부가 농촌 출신 학생 할당을 확대하고, 지역별 점수 차등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변수가 있어, 단순 점수만으로 합격 여부가 결정되지 않는 면이 있습니다. 아래는 최근 동향을 반영한 주요 대학들의 입시 경쟁력 순위와 특징을 좀 더 자세히 정리한 내용입니다.1. 최상위권 대학: “C9 리그” (중국의 아이비리그)가오카오 상위 0.1% 내외의 엘리트 학생들이 입학하는, 중국 내 최고 권위의 대학들입니다. 수험생과 수험 열기를 고려한 현실적 난이도로 쳤을 때, 서울대 의대 수석이라도 구교연맹의 꼴지 대학에 들어.. 2025. 1. 28.
중국 한국 ai 역량 경쟁력 비교 1. 산업 역량: 규모 vs. 특화 기술의 구체적 대결(1) 중국: 국가 주도의 초거대 생태계 • 플랫폼 기업의 전방위 지배: •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검색, 전자상거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클라우드 서비스(예: 알리바바의 “ET Brain”)를 글로벌 시장에 확장. • 하드웨어 강자: 화웨이의 “Ascend AI 칩”은 텐센트클라우드와 연계해 중국 내 AI 인프라 60% 점유. DJI는 드론 시장 70% 장악하며 군사·민수용 AI 자율주행 기술 선도. • AI 특화 스타트업: SenseTime(얼굴 인식), Megvii(도시 감시), iFlyTek(음성 인식) 등이 정부 계약을 독점하며 시장을 재편. • 정책적 특권: • “AI 3대 클러스터” 구축: 베이징-톈진-허베이(.. 2025.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