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건강의 가치 금전적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4. 14.
반응형




1. 기본 전제: 하루 당 차이


이전 산정에서는 “하루 병원 체류 시 건강한 날과의 경제적 격차”를 다음 네 항목을 합해 약 1백만원(1,000,000 원/일) 정도로 가정했습니다.
• 직접 의료비 (병실, 약제 등)
• 간접 생산성 손실(업무 결근 등)
• QALY 손실(삶의 질 저하)
• 심리·사회적 비용(우울, 사회 단절 등)



2. 생애 기준 환산을 위한 가정

(1) 추가로 발생하는 병원 입원일수

건강한 생활을 유지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는 병원 입원일수는, 만약 건강하지 못한 상태라면 여러 해에 걸쳐 누적될 수 있습니다. 가정 예시는 두 가지로 보수적/심각한 경우를 나누어 봅니다.
• 보수적 가정:
• 연간 평균 추가 입원일수: 7일
• 적용 기간: 30년 (예를 들어, 50세부터 80세까지)
• 총 입원일수: 7일 × 30년 = 210일
• 더 엄격한 가정:
• 연간 평균 추가 입원일수: 15일
• 적용 기간: 30년
• 총 입원일수: 15일 × 30년 = 450일

(2) 하루당 경제적 격차

앞서 산정한 대로 1일 입원 시 약 1백만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가정합니다.

(3) 삶의 질 및 QALY 개선 효과

건강한 생활을 통해 얻는 추가 QALY 개선 효과(예, 스트레스 감소, 우울증 예방, 생산성 향상 등)도 생애 총액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보수적으로
• 건강한 생활이 평생에 걸쳐 추가 1~2 QALY의 개선 효과로 이어진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 1 QALY 당 가치를 1억 원으로 본다면, 12 QALY → 1억2억원의 경제적 가치가 추가됩니다.



3. 생애 기준 총 경제적 혜택 산정

(A) 입원일수 회피 효과
• 보수적 경우:
210일 × 1,000,000 원/일 = 210,000,000 원
• 엄격한 경우:
450일 × 1,000,000 원/일 = 450,000,000 원

(B) QALY 개선 효과
• 보수적 가정: 1 QALY 개선 → 100,000,000 원
• 좀 더 긍정적 가정: 2 QALY 개선 → 200,000,000 원

(C) 기타 간접 비용 절감 (예, 장기 생산성 향상 등)

이 외에도 병원 입원과 관련된 가족, 사회적 비용(예: 가족 지원 비용, 재입원 위험 감소 등)도 고려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위 두 항목을 중심으로 산정합니다.



4. 산정 예제
• 보수적 시나리오:
• 추가 병원 입원 회피 효과: 210,000,000 원
• 추가 QALY 개선: 100,000,000 원
• 생애 총 경제적 혜택: 210,000,000 + 100,000,000 = 310,000,000 원 (약 3억 1천만원)
• 엄격한 시나리오:
• 추가 병원 입원 회피 효과: 450,000,000 원
• 추가 QALY 개선: 200,000,000 원
• 생애 총 경제적 혜택: 450,000,000 + 200,000,000 = 650,000,000 원 (약 6억 5천만원)

이외에도 만약 극심한 건강 악화로 인해 매년 입원일수가 더 늘어나거나, 정신건강 및 사회적 비용이 더 크게 발생한다면, 그 차이는 1억 원 단위 이상(예: 1~2억원) 더 클 수도 있습니다.



5. 결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여 병원에 입원하는 날들을 예방하는 것의 생애 기준 경제적 효과는,
• 보수적 가정에서는 약 3억 원 내외,
• 더 심각한 경우에는 6억 원 이상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추산을 내볼 수 있습니다.

즉, 단 하루 병원 체류와 건강한 날의 차이가 약 1백만원에 달한다고 해도, 평생 동안 누적되는 입원 일수와 그로 인한 삶의 질 저하, 생산성 손실 등을 모두 감안하면 전체 경제적 차이는 수억 원에서 수십 억 원에 이를 수도 있는 매우 큰 규모의 경제적 가치를 지니게 됩니다.

이러한 산정은 여러 가정을 단순화한 결과임을 감안하고, 개별 사례나 정책 결정 시에는 보다 정교한 역학연구와 보건경제학 모델이 필요하다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