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IT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해외 빅테크 기업들의 거센 공세와 AI 기술 격차에 직면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구글,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글로벌 플랫폼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으며, 국내 플랫폼의 경쟁력이 하락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1. 네이버·카카오의 실적은 증가했지만, 영향력은 하락세
양적 성장은 지속
• 네이버: 2024년 매출 10조 6337억 원, 영업이익 1조 96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9.96%, 31.66% 증가.
• 카카오: 2024년 매출 7조 9477억 원, 영업이익 53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증가 예상.
주가와 시장 평가는 부진
• 네이버: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시기 고점 대비 66% 하락.
• 카카오: 2022년 시가총액 51조 원 → 현재 17조 원 수준으로 급락.
수익성은 개선됐지만 시장 지배력은 약화
• 국내 플랫폼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며 검색 시장, 음원 스트리밍, AI 기술력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가 커지는 상황.
2. 검색 시장에서 구글에 밀리는 네이버
네이버의 점유율 하락
• 2022년: 네이버 61.2% → 구글 28.5%
• 2023년: 네이버 58.1% → 구글 31.8%
• 2024년 12월: 네이버 58.1% → 구글 33%
구글의 급성장 요인
• 검색 정확도 및 편의성 우위.
• AI 기술 기반 추천 알고리즘 강화.
• 모바일 중심의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제공.
3. 음원 시장에서도 해외 플랫폼 강세
유튜브의 압도적 우위
• 유튜브(무료): 53% 점유율로 1위.
• 멜론(카카오): **47.2%**로 2위.
• 유튜브 뮤직(유료): **25.8%**로 급상승.
스포티파이의 국내 시장 공략
• 무료 요금제 도입으로 사용자 급증.
• 글로벌 아티스트 및 플레이리스트 강점.
• AI 기반 개인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 강화.
카카오 멜론의 약세 원인
• AI 기술 활용 부족.
• 해외 음원 접근성 약화.
• 고객 맞춤화 서비스 부재.
4. AI 기술 격차 확대와 네이버·카카오의 대응
AI 기술에서 글로벌 빅테크에 밀리는 이유
• 기술 인재 부족: 해외와 달리 AI 인재 수급이 제한적.
• 데이터 자원 부족: 한국 내 AI 학습 데이터는 글로벌 수준에 비해 제한적.
• 투자 부족: 빅테크 대비 AI R&D 투자액 열세.
네이버·카카오의 AI 대응 전략
• 네이버: “온 서비스 AI”를 통해 검색, 쇼핑, 콘텐츠 전반에 AI 기술 도입.
• 카카오: AI 기반 대화형 서비스 ‘카나나’ 출시, 카카오톡의 AI 개인화 기능 강화 계획.
AI 기술에서의 한계
• 네이버와 카카오는 여전히 구글, MS, 오픈AI에 비해 기술 수준 격차 존재.
• 초거대 언어 모델(LLM) 분야에서 격차가 큰 상황.
5. 국내 플랫폼 경쟁력 약화의 원인
① 검색·음원 시장 주도권 상실
• 구글과 유튜브의 지배력 강화.
• AI 기술 활용 부족으로 인한 개인화 콘텐츠 약세.
② AI 기술력 부족
• 데이터 수집, 학습 자원 부족.
• AI 전문 인재 양성 미흡.
③ 글로벌 경쟁 심화
• 스포티파이, 넷플릭스, 디즈니+ 등 해외 기업들의 공세 가속화.
• 구글의 검색 및 광고 시장 잠식.
④ 사용자 경험 및 혁신 부족
• 네이버와 카카오의 UI/UX 개선 부족.
• 새로운 사용자 경험 제공 미흡.
6. 네이버·카카오의 생존 전략: AI 혁신과 사용자 중심 강화
네이버의 전략
• 클로바 X와 하이퍼클로바 활용한 AI 서비스 확대.
• 검색 플랫폼 강화: 비주얼 검색, 맞춤형 추천 강화.
• 커머스 AI 혁신: 스마트스토어 기반 개인 맞춤형 쇼핑 추천.
카카오의 전략
• AI 대화형 서비스 ‘카나나’ 출시.
• 카카오톡 플랫폼 강화: AI 기반 개인화 메시징 도입.
• 디지털 콘텐츠 확장: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엔터와 협력.
7. 결론: K-플랫폼의 생존을 위한 과제
네이버와 카카오는 단순한 양적 성장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AI 기술 격차 해소와 사용자 경험 개선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핵심 과제 정리:
1. AI 기술 혁신 가속화: 데이터 학습, 인재 양성 확대.
2. 사용자 중심 서비스 강화: 검색, 커머스, 음원 등에서의 경험 개선.
3. 해외 진출 강화: 글로벌 콘텐츠 및 서비스 확장.
4. 지속적 기술 투자: 초거대 AI 모델 개발 및 상용화.
5. 데이터 주권 확보: 국내 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활용 강화.
국내 플랫폼이 다시 주도권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기술 혁신과 사용자 중심 전략이 동시에 필요합니다. AI 시대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장기적인 R&D 투자와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이 핵심입니다.
'경제와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런 애쓰모글루(Daron Acemoglu) 프로필 학력 나이 고향 노벨경제학상 (0) | 2025.01.13 |
---|---|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AP 시스템 반도체 기업 순위 및 점유율 퀄컴 미디어텍 삼성 lsi (0) | 2025.01.13 |
유튜버, 미공개 영상 AI 기업에 판매…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 부상 (0) | 2025.01.13 |
2025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및 상세 분석 (0) | 2025.01.12 |
오리진 퀀텀 중국 양자컴퓨팅회사 개요 특허 기술력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