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산업

구글 유튜브 등 해외 플랫폼 공세에 직면한 네이버·카카오, 영향력 저하 위기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1. 13.
반응형


국내 대표 IT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해외 빅테크 기업들의 거센 공세와 AI 기술 격차에 직면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구글,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글로벌 플랫폼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으며, 국내 플랫폼의 경쟁력이 하락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1. 네이버·카카오의 실적은 증가했지만, 영향력은 하락세

양적 성장은 지속
• 네이버: 2024년 매출 10조 6337억 원, 영업이익 1조 96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9.96%, 31.66% 증가.
• 카카오: 2024년 매출 7조 9477억 원, 영업이익 53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증가 예상.

주가와 시장 평가는 부진
• 네이버: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시기 고점 대비 66% 하락.
• 카카오: 2022년 시가총액 51조 원 → 현재 17조 원 수준으로 급락.

수익성은 개선됐지만 시장 지배력은 약화
• 국내 플랫폼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며 검색 시장, 음원 스트리밍, AI 기술력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가 커지는 상황.

2. 검색 시장에서 구글에 밀리는 네이버

네이버의 점유율 하락
• 2022년: 네이버 61.2% → 구글 28.5%
• 2023년: 네이버 58.1% → 구글 31.8%
• 2024년 12월: 네이버 58.1% → 구글 33%

구글의 급성장 요인
• 검색 정확도 및 편의성 우위.
• AI 기술 기반 추천 알고리즘 강화.
• 모바일 중심의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제공.

3. 음원 시장에서도 해외 플랫폼 강세

유튜브의 압도적 우위
• 유튜브(무료): 53% 점유율로 1위.
• 멜론(카카오): **47.2%**로 2위.
• 유튜브 뮤직(유료): **25.8%**로 급상승.

스포티파이의 국내 시장 공략
• 무료 요금제 도입으로 사용자 급증.
• 글로벌 아티스트 및 플레이리스트 강점.
• AI 기반 개인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 강화.

카카오 멜론의 약세 원인
• AI 기술 활용 부족.
• 해외 음원 접근성 약화.
• 고객 맞춤화 서비스 부재.

4. AI 기술 격차 확대와 네이버·카카오의 대응

AI 기술에서 글로벌 빅테크에 밀리는 이유
• 기술 인재 부족: 해외와 달리 AI 인재 수급이 제한적.
• 데이터 자원 부족: 한국 내 AI 학습 데이터는 글로벌 수준에 비해 제한적.
• 투자 부족: 빅테크 대비 AI R&D 투자액 열세.

네이버·카카오의 AI 대응 전략
• 네이버: “온 서비스 AI”를 통해 검색, 쇼핑, 콘텐츠 전반에 AI 기술 도입.
• 카카오: AI 기반 대화형 서비스 ‘카나나’ 출시, 카카오톡의 AI 개인화 기능 강화 계획.

AI 기술에서의 한계
• 네이버와 카카오는 여전히 구글, MS, 오픈AI에 비해 기술 수준 격차 존재.
• 초거대 언어 모델(LLM) 분야에서 격차가 큰 상황.

5. 국내 플랫폼 경쟁력 약화의 원인

① 검색·음원 시장 주도권 상실
• 구글과 유튜브의 지배력 강화.
• AI 기술 활용 부족으로 인한 개인화 콘텐츠 약세.

② AI 기술력 부족
• 데이터 수집, 학습 자원 부족.
• AI 전문 인재 양성 미흡.

③ 글로벌 경쟁 심화
• 스포티파이, 넷플릭스, 디즈니+ 등 해외 기업들의 공세 가속화.
• 구글의 검색 및 광고 시장 잠식.

④ 사용자 경험 및 혁신 부족
• 네이버와 카카오의 UI/UX 개선 부족.
• 새로운 사용자 경험 제공 미흡.

6. 네이버·카카오의 생존 전략: AI 혁신과 사용자 중심 강화

네이버의 전략
• 클로바 X와 하이퍼클로바 활용한 AI 서비스 확대.
• 검색 플랫폼 강화: 비주얼 검색, 맞춤형 추천 강화.
• 커머스 AI 혁신: 스마트스토어 기반 개인 맞춤형 쇼핑 추천.

카카오의 전략
• AI 대화형 서비스 ‘카나나’ 출시.
• 카카오톡 플랫폼 강화: AI 기반 개인화 메시징 도입.
• 디지털 콘텐츠 확장: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엔터와 협력.

7. 결론: K-플랫폼의 생존을 위한 과제

네이버와 카카오는 단순한 양적 성장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AI 기술 격차 해소와 사용자 경험 개선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핵심 과제 정리:
1. AI 기술 혁신 가속화: 데이터 학습, 인재 양성 확대.
2. 사용자 중심 서비스 강화: 검색, 커머스, 음원 등에서의 경험 개선.
3. 해외 진출 강화: 글로벌 콘텐츠 및 서비스 확장.
4. 지속적 기술 투자: 초거대 AI 모델 개발 및 상용화.
5. 데이터 주권 확보: 국내 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활용 강화.

국내 플랫폼이 다시 주도권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기술 혁신과 사용자 중심 전략이 동시에 필요합니다. AI 시대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장기적인 R&D 투자와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이 핵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