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멸의 칼날』은 카마도 탄지로(竈門炭治郎)를 주인공으로 귀살대(鬼殺隊)와 인간을 해치는 도깨비(악귀)들의 싸움을 그린 작품입니다. 아래에서는 가족 관계, 동료 관계, 적대 관계, 사제 관계로 구분하여 주요 등장인물들의 관계도를 정리합니다. 애니메이션과 만화 완결까지의 공식 설정을 토대로 하였으며, 팬 해석이 아닌 출처가 확인된 정보만을 사용했습니다.

가족 관계 (혈연 및 인척 관계)
• 카마도 가(竈門家): 카마도 탄지로는 카마도 네즈코(竈門禰豆子)의 친오빠로, 두 남매는 무잔의 습격 후 가문의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습니다  . 탄지로의 아버지 카마도 탄지로(竈門炭十郎)와 어머니 카마도 키에(竈門葵枝)는 탄지로가 귀살대원이 되기 전에 모두 별세하였는데, 특히 어머니 키에는 무잔에게 살해당했습니다 . 탄지로와 네즈코에겐 다케오·하나코·시게루·로쿠타 네 명의 어린 동생들이 있었지만, 이들 역시 무잔의 습격 때 모두 죽음을 당했습니다  . 탄지로는 가문의 장남으로서 도깨비가 된 여동생 네즈코를 인간으로 되돌리기 위해 길을 떠납니다 .
• 우부야시키 가(産屋敷家): 귀살대의 지도자인 우부야시키 카가야(産屋敷耀哉)는 97대 당주로서 귀살대원들의 정신적 지주입니다 . 그의 일가는 무잔과 혈연으로 이어진 distant 친척 관계이며, 이 때문에 일족에 저주가 내려져 카가야도 선천적 질병을 앓고 있습니다 . 카가야의 아내는 우부야시키 아마네, 자녀로는 장남 키리야(귀살대 후계 지도자)와 네 딸(히나키, 니치카, 카나타, 쿠이나)이 있습니다  . 카가야 일가는 무잔을 쓰러뜨리기 위해 자폭도 불사했는데, 카가야는 아내와 두 딸과 함께 목숨을 바쳐 무잔을 큰 폭발에 휘말리게 함으로써 최후결전에 기여했습니다 . (우부야시키 가문이 무잔의 혈족이라는 설정은 카가야의 얼굴 상처와 병약함의 이유로 언급됩니다 .)
• 렌고쿠 가(煉獄家): 렌고쿠 쿄쥬로(煉獄杏寿郎)는 전염주(炎柱)로, 부친 렌고쿠 신쥬로(煉獄槇寿郎)는 한때 염주였으나 아내의 죽음 후 술에 의지하는 나날을 보냈습니다 . 쿄쥬로의 어머니 렌고쿠 루카(煉獄瑠火)는 일찍 별세했지만, 생전에 쿄쥬로에게 **“강한 자는 약한 자를 지키라”**는 가치관을 심어주어 그의 신념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쿄쥬로의 남동생 렌고쿠 센쥬로(煉獄千寿郎)는 형을 동경하여 귀살대 수행을 했으나 검술 재능이 없어 계승을 포기했고, 형의 사후에는 남겨진 서류를 연구하여 탄지로에게 해의 호흡 비밀을 전해주는 등 돕는 역할을 합니다  . (센쥬로는 탄지로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히노카미 카구라의 13번째 형(型)에 대한 단서를 전달했습니다 .)
• 시나즈가와 형제(不死川兄弟): 풍주(風柱) 시나즈가와 사네미(不死川実弥)와 그의 남동생 시나즈가와 겐야(不死川玄弥)는 유일하게 살아남은 형제입니다. 과거 사네미는 어머니가 도깨비로 변해 가족들을 해치는 참극을 겪었고, 결국 어머니를 직접 처단해야 했습니다 . 이러한 트라우마로 사네미는 도깨비를 극도로 증오하게 되었고, 초반에는 탄지로와 네즈코 남매도 믿지 않았지만 , 네즈코가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된 후에야 비로소 그들을 동료로 인정하게 됩니다. 겐야는 형 사네미를 존경하면서도 형제 사이에 거리가 있었으나, 최종국면전에서 함께 싸우며 사네미는 진심으로 동생을 위하는 마음을 드러냅니다. (겐야는 전투 중 치명상을 입어 사망했으며, 사네미는 그 슬픔을 안고 끝까지 싸워 살아남았습니다.) 
• 코쵸우 자매(胡蝶姉妹)와 가족: 코쵸우 카나에(胡蝶カナエ)와 코쵸우 시노부(胡蝶しのぶ)는 친자매로, 전(前) 화주와 현(現) 충주입니다. 두 자매는 부모를 도깨비에게 잃은 뒤 함께 귀살대에 입문했고, 어린 츠유리 카나오(栗花落カナヲ)를 노예로 팔려던 부모로부터 구해내 양妹妹로 받아들이기도 했습니다 . 카나에는 상현2 도우마(童磨)에게 살해당하였고 , 이를 목격한 시노부는 언니의 복수를 결심합니다. 시노부는 훗날 도우마와 싸우며 자신을 희생하는 전략으로 그의 몸에 맹독을 퍼뜨렸고, 결국 양妹인 카나오와 이노스케가 그 독의 도움을 받아 도우마를 처단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 (시노부는 도우마에게 흡수되어 전사하지만, 그녀의 희생은 승리의 열쇠가 되었습니다.) 시노부는 생전에 카나오를 친동생처럼 아끼고 제자로 길렀으며 카나오는 코쵸우 가문의 의지를 이어나갔습니다 .
• 우즈이 텐겐과 가족: 우즈이 텐겐(宇髄天元)은 전(前) 음주(音柱)로 독특하게 세 아내와 가정을 이뤘습니다. 그의 아내들은 닌출신 쿠노이치들인 마키오, 스마, 히나츠루로, 텐겐과 1남 3녀의 다부다처 혼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 이들은 유곽 임무 등에서 서로를 깊이 신뢰하며 협력했고, 특히 텐겐이 상현6와 싸울 때 세 아내가 그를 도와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 텐겐은 이 전투 후 부상으로 귀살대를 은퇴했으나, 아내들과 함께 최종 결전까지 살아남아 우부야시키 일가의 경호를 맡았습니다 . 세 아내 또한 텐겐과 강한 유대 속에서 그의 은퇴 후 삶을 지켜주는 가족이 되었습니다.
• 그 외 가족 관계: 하시비라 이노스케(嘴平伊之助)의 친어머니 하시비라 코토하(嘴平琴葉)는 과거 상현2 도우마의 거짓 교단에 속았다 탈출하려다 살해당했습니다 . 코토하는 죽기 직전 어린 이노스케를 절벽 아래로 떨어뜨려 도망치게 했고, 이노스케는 이후 산속에서 멧돼지에게 길러지며 살아남았습니다 . 한편 아가츠마 젠이츠(我妻善逸)는 부모나 가문의 언급이 거의 없지만, 결말에서 카마도 네즈코와의 인연을 맺어 훗날 가계를 이은 것으로 암시됩니다. (에필로그의 현대 배경에서 등장하는 아가츠마 성의 남매는 젠이츠와 네즈코의 후손으로 묘사됩니다 .) 마찬가지로 카마도 탄지로와 츠유리 카나오는 최종결전 후 평화를 되찾은 시대에 가정을 이루었음이 그 자손의 등장을 통해 드러납니다 . (예: 현대편에 등장하는 카마도 카나타(竈門カナタ)와 스미히코는 탄지로와 카나오의 직계 후손입니다 .) 또한 칸로지 미츠리(甘露寺蜜璃)와 이구로 오바나이(伊黒小芭内)는 혈연관계는 아니지만 서로를 사랑하는 사이로, 최종 결전에서 함께 전사하기 직전에 다음 생에서 부부가 될 것을 약속하는 장면이 있었습니다 . 두 사람은 현대 시대에 환생하여 부부로 함께하는 모습이 그려지며, 인연이 이어졌음을 암시합니다 .
동료 및 우정 관계
• 탄지로와 동료들: 탄지로와 네즈코 남매는 여정을 시작한 이후 아가츠마 젠이츠, 하시비라 이노스케와 팀을 이루어 많은 싸움을 함께 해왔습니다. 네 사람은 최종 선별시험을 거쳐 비슷한 시기에 귀살대에 입대하였고 , 처음엔 성격 차이로 충돌도 있었지만 점차 서로를 소중한 친구兼전우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특히 겁쟁이인 젠이츠는 네즈코에 대한 호감과 탄지로의 인간적인 믿음직함에 이끌려 위험한 임무에도 자원하며 함께했고 , 이노스케도 거친 성격이지만 탄지로의 인정과 우정에 영향을 받아 팀워크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들은 무한열차 사건에서는 렌고쿠 쿄쥬로를 도와 하현1 엔무를 격퇴했고 , 유곽 사건에서도 우즈이 텐겐을 보좌하며 상현6 다키·규타로와 싸워 승리하는 등  여러 전투를 공조했습니다. 이러한 동료 관계 속에서 탄지로는 때때로 젠이츠와 이노스케를 달래거나 독려하며 맏형 역할을 했고, 젠이츠와 이노스케는 탄지로를 신뢰하며 따르는 모습을 보입니다. 최종 결전까지 이들은 끈끈한 우정을 바탕으로 서로를 지키고 도우며 싸웠습니다.
• 주(柱)들과 귀살대의 결속: 귀살대 주들은 초기엔 탄지로와 네즈코를 둘러싸고 의견 충돌이 있었지만, 우부야시키 카가야의 중재와 네즈코의 인간에 대한 강한 의지 확인 후 모두 두 남매를 동료로 받아들였습니다. 주들은 서로 성격이나 신념 차이로 마찰을 빚기도 하나 , 결정적인 순간에는 동료이자 가족처럼 단결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물주 토미오카 기유(冨岡義勇)는 처음 탄지로를 만났을 때 네즈코를 처단하려 했으나, 네즈코가 오빠를 지키려는 모습을 보고 마음을 바꾸어 두 남매를 살려주었습니다 . 기유는 자신의 스승에게 탄지로를 보내 귀살대에 입문시켰으며, 이후로도 탄지로를 후배 대원으로서 챙기고 함께 싸우는 동료가 됩니다 . 염주 렌고쿠 쿄쥬로는 무한열차 임무에서 탄지로 일행을 헌신적으로 지휘하며 보호했고, 그의 희생은 탄지로와 많은 주들에게 깊은 정신적 유산을 남겼습니다. 음주 우즈이 텐겐은 유곽 임무에서 탄지로·젠이츠·이노스케를 자신의 파트너로 받아들여 함께 작전을 수행했고, 그들을 내 새끼들이라 부르며 아꼈습니다. 안개주 토키토 무이치로와 연주 칸로지 미츠리도 도공 마을에서 탄지로 및 동료들과 힘을 합쳐 싸우며 신뢰를 쌓았습니다 . 최종 결전에서는 살아남은 모든 주와 탄지로 일행이 한꺼번에 힘을 합쳐 무잔에 맞섰고, 이 과정에서 서로를 몸으로 감싸고 보호하며 끈끈한 전우애를 확인했습니다. (예: 미츠리는 무잔과 싸우다 치명상을 입었을 때 이구로 오바나이가 그녀를 지켜주었고, 기유 역시 한 팔을 잃는 부상 속에서도 탄지로를 끝까지 지원했습니다  .)
• 귀살대 지도자와 대원들: 우부야시키 카가야(産屋敷耀哉)는 나이는 젊지만 온화한 인품과 결단력으로 모든 주들과 대원들의 깊은 존경을 받는 존재였습니다 . 주들과 대원들은 그를 오야카타사마 라 부르며 따랐고, 카가야 또한 대원들을 자식처럼 여기며 헌신했습니다. 카가야는 탄지로 남매의 가능성을 누구보다 먼저 인정하여 주들에게 그들을 받아들이라 설득하였고, 카가야의 믿음 덕분에 귀살대 내의 갈등이 해소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카가야는 최종 결전에서 자신의 생명을 바쳐 무잔을 약화시키는 함정을 꾸며 대원들의 승리를 도왔고 , 그의 죽음은 모두를 하나로 결집시키는 희생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카가야의 아들 우부야시키 키리야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최후의 지휘를 맡았고, 살아남은 주들과 대원들 역시 한 마음으로 그의 명령에 응하여 끝까지 싸웠습니다. 이러한 지도자와 부하의 굳건한 신뢰 관계는 귀살대가 끝내 무잔을 쓰러뜨리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 나비저택과 조력자들: 귀살대원들의 치료와 휴식을 담당하는 나비저택 식구들 간에도 따뜻한 동료애가 있습니다. 코쵸우 시노부와 카나오가 거주하는 나비저택의 간호 담당 카나즈키 아오이, 그리고 스미·나호·키요 등 소녀들은 탄지로 일행의 부상 치료와 재활훈련을 도와주며 정서적 지지가 되어주었습니다 . 비전투원인 그들도 귀살대의 일원으로서 같은 목표를 위해 힘쓰는 동료들입니다. 이 밖에, 탄지로의 검을 만드는 하가네즈카 호타루(鋼塚ほたる)나 도공 마을 사람들, 까마귀 카스가이 가라스(탄지로의 안내 까마귀)와 젠이츠의 참새 츤타로 등도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귀살대를 지원하는 소중한 동료들입니다  .
• 인간과 도깨비의 특별한 협력: 작품에서 도깨비는 대부분 인간의 적이지만, 예외적으로 인간과 협력하는 도깨비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타마요(珠世)와 유시로(愈史郎)입니다. 타마요는 무잔에게서 스스로 벗어난 지성적인 여자 도깨비로, 인간을 해치지 않으며 의술 연구에 평생을 바쳤습니다 . 탄지로가 네즈코의 치료법을 찾고자 할 때 타마요는 협력자가 되어 그의 편에 섰고, 탄지로 역시 네즈코의 혈액 제공과 상현의 피 채집 등을 도우며 타마요를 지원했습니다 . 타마요가 만든 유일한 제자 유시로는 그녀를 깊이 사모하고 보호하는 젊은 도깨비로, 두 사람은 인간을 돕기 위해 싸웠습니다 . 최종 결전에서 타마요는 자신의 연구 성과인 무잔을 약화시키는 약을 써서 무잔을 독살하려다 희생되었고  , 유시로는 그녀의 뜻을 이어 받아 무한성에서 시각 교란 혈귀술로 무잔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부상자 치료를 돕는 등 귀살대에 공헌했습니다 . 네즈코 또한 특이한 경우로, 탄지로의 동료이자 인간을 지키는 도깨비입니다. 우로코다키의 암시로 네즈코는 모든 인간을 가족으로 여기고 보호하도록 각인되었고, 실제로 동료들을 지키기 위해 다른 도깨비들과 싸우며 귀살대 편에서 활약했습니다 . 네즈코는 태양을 극복한 후 무잔에게 쫓기는 신세였지만, 끝내 인간으로 돌아와(무잔의 혈권에서 완전히 해방되어) 탄지로와 동료들의 곁을 지켰습니다 . 이처럼 타마요와 유시로, 네즈코는 도깨비이면서도 인간과 공동의 목적을 위해 협력한 특별한 사례들입니다.
• 십이귀월 내부의 관계: 악역 도깨비들 사이에도 독특한 관계가 존재합니다. 모든 십이귀월은 무잔을 최고 주군으로 모시며 그에게 절대 복종하지만 , 상현들 간에는 동료의식보다는 경쟁과 견제가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상현3 아카자는 상현2 도우마를 극도로 싫어하여 노골적으로 적대감을 보였고, 도우마는 아카자를 가벼이 여기며 비웃는 등 둘은 앙숙 같은 면이 있었습니다 (작중 대사에서 암시됨). 그러나 이들 악귀는 결국 무잔의 지휘 아래 같은 편으로 싸우기에, 인간측과 비교해 동료애는 희박합니다. 한편 무잔은 필요에 따라 부하 악귀들을 가차 없이 처단하기도 합니다. 하현의 5 루이가 처치당한 후, 무잔은 격분하여 하현들을 모조리 살해하고 하현1 엔무만 남겨두는 무자비함을 보였습니다 . 이러한 공포정치 속에서도 상현들은 100여 년간 변동 없이 무잔을 섬겼는데, 이는 그가 그만큼 압도적 공포와 권위로 군림했음을 의미합니다. 요컨대 악귀 측의 관계는 주종관계가 중심이며, 동료 간의 우정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다만, 상현6 남매 다키와 규타로처럼 친남매인 악귀도 있어 둘은 서로를 깊이 의지하였고, 최후를 맞을 때 함께 지옥에 가자며 서로를 위로했습니다 .)
적대 관계
• 탄지로 일행 vs. 키부츠지 무잔: 키부츠지 무잔(鬼舞辻無惨)은 천 년을 넘게 살아온 최초의 도깨비이자 모든 악귀들의 원흉으로, 탄지로 가족을 습격하여 비극의 발단을 만든 최대의 원수입니다 . 본래 일본의 AD 900~1000년대인 헤이안시대 사람인 무잔은 햇빛을 극복하는 완벽한 도깨비를 만들어 영원히 살고자 했고, 이러한 목적 때문에 탄지로의 가족을 시험삼아 도깨비로 만들려다 실패하고 학살했습니다 . 그 결과 탄지로는 부모와 형제들을 잃고 네즈코만 도깨비로 변하게 되었으며, 무잔에 대한 깊은 원한을 품게 되었습니다 . 이후 무잔은 네즈코가 햇빛 면역을 얻자 그녀를 노려 납치하려 하고, 귀살대는 이를 역이용해 무잔을 유인하는 최종 결전을 벌였습니다  . 무잔은 분노 속에 타마요와 많은 대원들을 살해하며 광폭하게 저항했으나 , 주들과 탄지로 일행의 필사적인 협공에 점차 몰렸습니다. 결국 동틀 녘의 햇빛을 피하지 못한 무잔은 소멸하였고 , 최후 발악으로 탄지로를 도깨비로 만들었으나 동료들의 노력으로 탄지로는 다시 인간으로 돌아왔습니다 . 이처럼 탄지로 vs 무잔의 구도는 작품의 주축이며, 무잔을 쓰러뜨려 네즈코를 인간으로 되돌린다는 탄지로의 숙명이자 귀살대의 숙원이었습니다.
• 귀살대 vs. 십이귀월 (상현·하현): 귀살대는 오니(도깨비)라 불리는 악귀들을 처단하는 조직인 만큼, 작품 대부분의 전투는 귀살대 대원과 무잔 휘하의 십이귀월 간에 벌어집니다. 상현들은 각각 주(柱, 하시라)급의 대원들과 격돌하여 많은 희생을 낳았습니다.
• 상현1 코쿠시보(黒死牟) vs 암주 히메지마 교메이(悲鳴嶼行冥) & 풍주 시나즈가와 사네미 등: 코쿠시보는 인간 시절의 이름 츠기쿠니 미치카츠로, 츠기쿠니 요리이치의 쌍둥이 형이라는 특별한 출신의 상현입니다 . 그는 최종 국면전에서 교메이, 사네미 두 주와 토키토 무이치로, 겐야 형제를 동시에 상대하는 압도적 전투력을 보였습니다. 이 싸움에서 무이치로와 겐야가 중상을 입고 목숨을 잃었지만, 끝내 교메이와 사네미의 합공으로 코쿠시보의 목을 베는 데 성공합니다 . 코쿠시보는 쓰러져 소멸하기 직전, 자신의 몰락한 모습을 보고 자결에 가까운 최후를 맞았습니다 . (코쿠시보는 죽으며 동생 요리이치의 유품인 피리를 품에 안고 있었고, 승부에서 패배를 인정했습니다 .)
• 상현2 도우마(童磨) vs 충주 코쵸우 시노부 & 카나오 & 이노스케: 도우마는 잔혹한 성격의 악귀로, 과거 코쵸우 카나에(시노부의 언니)와 하시비라 코토하(이노스케의 어머니)를 살해한 원흉입니다 . 시노부는 언니의 원수인 도우마와 맞서 싸우기 위해 자신의 몸에 독을 축적하는 전략을 세웠고, 결국 일부러 도우마에게 자신이 흡수당함으로써 그의 몸에 치명적인 등꽃 독을 퍼뜨렸습니다 . 약화된 도우마는 뒤이어 돌진한 카나오와 이노스케에 의해 최종적으로 목이 베여 처단되었습니다 . 이 전투로 시노부는 목숨을 잃었지만, 카나오와 이노스케는 합심하여 상현2를 격멸함으로써 시노부와 카나에의 복수를 완수했습니다. (참고로 도우마는 죽음 직전 시노부에게 흡수된 37kg 분량의 등꽃 독 때문에 속수무책이 되었고, 카나오와 이노스케는 팀 플레이로 그의 목을 베었습니다 .)
• 상현3 아카자(猗窩座) vs 염주 렌고쿠 쿄쥬로 & 후에 탄지로 일행: 아카자는 무한열차 편에서 렌고쿠 쿄쥬로와 사투를 벌인 끝에 쿄쥬로의 복부를 뚫고 치명상을 입혀 사망에 이르게 한 강적입니다 . 쿄쥬로는 끝까지 승리를 쟁취하려 분투했으나, 아카자의 재생능력에 역부족이었고 끝내 전사하고 말았습니다 . 이후 최종 결전의 무한성(무한성)에서는 탄지로와 기유가 아카자와 재회하여 복수전을 펼쳤습니다 . 격전 끝에 탄지로가 아카자의 목을 벴지만, 아카자는 스스로의 집념으로 목 없는 상태에서도 싸움을 지속합니다. 그러나 탄지로와 기유의 필사적인 맞움직임과, 탄지로가 주먹으로 아카자의 턱을 가격해 인간 시절의 기억을 되찾게 한 일 등이 겹치며, 아카자는 싸울 의지를 잃고 스스로 소멸하는 길을 택합니다 . (결국 아카자는 자기 몸을 스스로 파괴하며 사라졌고, 탄지로는 눈물을 흘리며 그 최후를 지켜보았습니다.)
• 상현4 한텐구(半天狗) vs 탄지로 일행 (탄지로, 네즈코, 겐야, 미츠리): 한텐구는 도공 마을 편에서 등장한 악귀로, 몸을 여러 분신으로 나누어 싸우는 까다로운 능력을 가졌습니다 . 탄지로와 네즈코 남매, 그리고 합류한 겐야와 미츠리가 각 분신들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고, 미츠리 연주는 특히 한때 한텐구의 거대 분신 조하쿠텐과 맞서다 죽음을 각오할 정도의 위기를 겪었습니다 . 최종적으로 탄지로가 히노카미 카구라의 기술로 본체 한텐구의 목을 베는 데 성공하여 승리합니다 .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한텐구는 마지막 숨이 붙은 채로 무잔에게 네즈코의 태양 면역 소식을 전하는 바람에, 이후 무잔이 네즈코를 노리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
• 상현5 교코(玉壺) vs 하주 토키토 무이치로: 도공 마을 편에서 상현5 교코는 도공들을 학살하며 날뛰었지만, 천재 검객 무이치로의 성장에 밀려 결국 패배했습니다. 무이치로는 각성한 집중력으로 교코의 강력한 변신 형태까지 압도하며 혼자서 교코를 베어 처단하였습니다 . (무이치로는 이 승리로 14살의 나이에 주로서 첫 상현 격퇴의 전과를 세웠습니다.)
• 상현6 (※상현6는 초기엔 형제 한 쌍이었습니다): 다키(堕姫)와 규타로(妓夫太郎) vs 음주 우즈이 텐겐 & 탄지로 일행: 윤회 유곽편에서 상현6 남매는 한몸처럼 협공하며 귀살대원들을 궁지로 몰았습니다. 그러나 우즈이 텐겐의 뛰어난 전투 감각과 탄지로, 젠이츠, 이노스케의 팀플레이로 결국 두 악귀의 양쪽 목을 동시에 베는 데 성공합니다  . 이 과정에서 젠이츠는 벽력일섬으로 다키의 목을 벴고, 이노스케도 지원하여 다키의 목을 운반하는 등 역할을 했으며 , 탄지로는 폭혈로 약화된 규타로의 목을 텐겐의 도움으로 벴습니다 . 다키와 규타로는 최후에 서로를 끌어안고 지옥으로 떨어지며 최후를 맞았습니다 . (이 싸움 후 텐겐은 팔을 잃는 중상을 입었지만 대원 무사를 확인하고 미소 지었습니다.)
• 하현과 기타 전투: 하현의 악귀들도 탄지로 일행과 여러 대결을 벌였습니다. **하현의 5 루이(累)**는 나타구모산에서 탄지로 남매를 궁지에 몰았으나, 네즈코의 혈귀술 폭혈과 탄지로의 히노카미 카구라 합동공격에 거의 죽을 뻔 했습니다 . 루이는 스스로 목을 잘라 위기를 넘겼지만 곧바로 등장한 토미오카 기유에게 목이 베여 최후를 맞았습니다 . 하현의 1 엔무(魘夢)는 무한열차에서 승객들을 위협했지만, 렌고쿠 쿄쥬로와 탄지로 일행의 공조로 소멸당했습니다 . 이 외에도 탄지로는 첫 임무에서 늪괴이를 처단했고 , 아가츠마 젠이츠는 숲의 거미하현에게 벽력일섬으로 승리했으며 , 카나오는 최종국면에서 상현4가 된 나키메(鳴女)의 눈을 베어 무력화시키기도 했습니다 . 귀살대원 개개인의 승부 외에도, 무잔은 하현들을 적대시하여 앞서 언급한 대로 하현 대부분을 직접 처단하기도 했습니다 .
• 내부 충돌과 갈등: 귀살대 내부에서도 초반에 탄지로 남매를 둘러싼 갈등이 있었습니다. 특히 풍주 사네미는 네즈코를 믿지 못해 일부러 그녀를 자극하며 공격했지만, 네즈코는 인간의 피를 보고도 참아내며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는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로써 우부야시키의 승인 하에 귀살대는 네즈코를 정식 동료로 받아들였습니다. 또한 기유는 원칙을 어기면서까지 탄지로 남매를 감싸 동료로 이끌었고 , 우로코다키 사콘지 역시 “만약 네즈코가 사람을 해치면 탄지로·기유·자신이 책임지고 자결하겠다”는 맹세로 다른 주들을 설득해 주었습니다 . 이런 에피소드는 인간과 도깨비 사이의 불신을 신뢰로 바꾸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한편, 악귀 측 내부에서도 아카자 vs 도우마처럼 반목이 있었지만, 이들의 다툼은 인간을 해치는 악행과는 별개로 짧게 스쳐가는 요소일 뿐 결국 모두 귀살대와 대립한다는 큰 흐름은 변함이 없습니다.
사제 관계 (스승-제자 및 계승 관계)
• 우로코다키 사콘지(鱗滝左近次)와 제자들: 우로코다키는 탄지로와 기유의 스승으로, 귀살대 전(前) 수주(水柱)였습니다. 토미오카 기유(冨岡義勇)가 스승에게 탄지로 남매를 소개하자, 우로코다키는 처음엔 탄지로의 상냥함에 회의적이었으나 결국 그를 제자로 받아들여 물의 호흡을 전수했습니다 . 탄지로는 우로코다키 밑에서 2년간 혹독한 수련을 거쳐 최종 선별에 합격했고, 이는 우로코다키가 수많은 제자를 잃은 후 오랜만에 본 성공이어서 그를 매우 기쁘게 했습니다 . 우로코다키는 탄지로를 손자처럼 여기며 아꼈고, 탄지로가 최종 선별을 통과했을 때 눈물까지 흘리며 기뻐했습니다 . 한편 기유는 탄지로보다 앞서 우로코다키의 문하를 졸업하여 현재의 수주가 되었는데, 기유와 함께 수련했던 동기 사비토와 마코모는 최종 선별 중 희생되었습니다 . 사비토(錆兎)는 특히 기유의 절친한 친구이자 정신적 버팀목이었으며, 기유에게 “네 목숨은 누이가 지켜준 선물”이라 일깨워준 인물이었습니다  . 사비토와 마코모의 영혼은 탄지로가 수련할 때 나타나 조언을 해주기도 했으며 , 이는 모두 우로코다키 사콘지와 그 제자들 사이의 인연을 보여주는 일화입니다. 우로코다키는 자신의 모든 제자들을 아끼는 스승으로, 탄지로에게 히노카미 카구라의 숨겨진 힘과 네즈코를 지키는 방법 등 다양한 조언을 주었고, 네즈코가 인간을 해칠 경우 자신의 목숨으로 속죄한다고 맹세하며 제자를 끝까지 보호하겠다는 사제 간 신뢰를 증명했습니다 .
• 쿠와지마 지고로(桑島慈悟郎)와 제자들: 쿠와지마 지고로는 귀살대 전(前) 명주(鳴柱), 즉 번개의 호흡을 쓰던 번개주 출신으로, 아가츠마 젠이츠와 카이가쿠의 스승입니다 . 그는 온화한 성품으로 젠이츠를 지도하여 벽력일섬 등 번개의 호흡을 전수했습니다. 젠이츠는 겁이 많고 낮은 자존감으로 수련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스승 지고로의 애정과 가르침 덕분에 일격필살의 재능을 꽃피울 수 있었습니다. 한편 지고로의 또 다른 제자 카이가쿠(獪岳)는 젠이츠의 선배였는데 마음이 삐뚤어져 최종국면 전에 무잔의 혈을 받아 도깨비가 되는 배신을 저질렀습니다 . 스승 지고로는 이에 큰 충격을 받고 제자의 죄를 속죄하고자 스스로 할복하였으며 , 이 소식은 젠이츠에게 분노와 슬픔을 안겨주었습니다. 최종 결전에서 젠이츠는 이미 상현6(新)으로 승격된 카이가쿠와 마주하여, 자신의 독자 개발 기술인 벽력일섬 제7형 화뢰신으로 카이가쿠를 쓰러뜨립니다 . 이는 스승의 원혼을 달래는 복수이자 성장의 증명이었습니다. 젠이츠가 남긴 편지에는 스승 지고로에 대한 감사와 그 뜻을 잇겠다는 다짐이 적혀 있었고, 이는 사제간의 깊은 정을 보여줍니다. (지고로는 죽기 전 “내가 지키지 못한 제자를 다른 제자가 처단하게 두었다”며 통탄했다고 전해지지만, 결국 젠이츠는 그 기대에 부응해 카이가쿠를 처단했습니다 .)
• 렌고쿠 쿄쥬로 & 칸로지 미츠리 (師弟): 사랑의 호흡 사용자 칸로지 미츠리(甘露寺蜜璃)는 원래 렌고쿠 쿄쥬로(煉獄杏寿郎)의 츠구코(継子) 출신으로, 쿄쥬로를 사부처럼 모시며 화염의 호흡을 수련했습니다 . 미츠리는 선천적으로 근육 밀도가 높은 특이체질 덕에 힘이 강했고, 쿄쥬로 밑에서 배운 호흡을 자신만의 사랑의 호흡으로 발전시켜 연주(戀柱)가 되었습니다 . 쿄쥬로는 미츠리의 열정과 재능을 아껴주었고, 미츠리는 스승 쿄쥬로를 존경하여 그의 염주 정신(약자를 지키는 정의감)을 이어받았습니다 . 무한열차 편 이후 쿄쥬로가 전사하자 미츠리는 크게 슬퍼했지만, 그의 마음을 태워라라는 유지를 가슴에 새기고 더욱 분발하여 귀살대에 힘을 보탰습니다. 최종 결전에서 미츠리는 목숨을 잃었으나, 죽기 전 “오바나이와 다음 생에는 결혼하자”고 약속하며 자신의 감정을 고백했고 , 이는 쿄쥬로가 생전에 그녀에게 가르쳐준 인간으로서 소중한 감정을 끝까지 지켜낸 장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츠리가 입던 특제 대원복도 쿄쥬로가 그녀를 위해 맞춰준 것이었습니다 .)
• 코쵸우 자매 & 츠유리 카나오: 코쵸우 카나에와 시노부는 앞서 언급했듯 어린 츠유리 카나오를 거두어 가족이자 제자로 삼았습니다 . 특히 시노부는 언니 카나에 사후 카나오를 자신의 츠구코로 삼아 직접 꽃의 호흡 등을 가르치고 감정표현이 서툰 카나오를 보살폈습니다 . 카나오는 스승이자 양언니인 시노부의 뜻을 이어 최종전까지 싸웠고, 시노부의 기술과 독을 사용하여 도우마를 쓰러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또한 카나오는 최후에 도깨비가 된 탄지로를 되돌리기 위해 시노부가 남긴 인간화 약을 주입하는 등, 끝까지 스승의 유산을 구현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카나오는 스승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는 훌륭한 계승자가 되었습니다.
• 히메지마 교메이 & 제자들: 암주 히메지마 교메이(悲鳴嶼行冥)는 비록 눈이 먼 인물이지만 귀살대 최강의 기량을 지닌 대들보로서, 여러 후배들에게 정신적 스승 같은 존재였습니다. 특히 시나즈가와 겐야는 호흡을 쓰지 못하는 자신을 대신해 교메이로부터 불경(佛經) 암송 등의 집중력 수련을 배워 전투에 활용했습니다 . 교메이는 어린 고아들을 보살피다 귀살대에 들어온 과거가 있어 마음이 자애로워, 대원들을 자식처럼 아끼고 조언을 해주곤 했습니다. 그의 언행은 법구경 같아서, 사네미 등 거친 성격의 주들도 교메이를 따르고 존경했습니다. (공식자료에 따르면, 교메이는 전투 시에도 동료들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감싸 안았다고 합니다.) 비록 교메이는 최종 싸움에서 목숨을 잃었지만, 그의 가르침은 다른 대원들에게 정신력의 지주가 되었습니다.
• 전세대와 계보: 현재 세대 이전의 귀살대 주들도 후진 양성에 관여했습니다. 예를 들어, 토미오카 기유의 스승 우로코다키 뿐만 아니라, 렌고쿠 신쥬로(煉獄槇寿郎)는 과거 자신의 아들 쿄쥬로와 츠구코 미츠리의 교육에 영향을 주었고, 우즈이 텐겐의 아버지는 닌자 일족으로서 텐겐을 혹독하게 길렀습니다. 또, 츠기쿠니 요리이치(継国縁壱)는 300년 전의 전설적인 검사로 모든 호흡의 시초가 된 해의 호흡 창시자인데 , 그의 직간접적 가르침이 여러 파생 호흡(불꽃, 물, 번개 등)의 탄생으로 이어졌습니다. 요리이치는 특히 탄지로의 조상인 스미요시(炭吉)와 우정을 맺어 히노카미 카구라(해의 호흡의 계승 무용)를 카마도 가문에 전수했고, 자신이 쓰던 화투귀 귀걸이도 스미요시에게 건네주었습니다  . 이 인연으로 탄지로는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히노카미 카구라(= 해의 호흡)를 배워 무의식 중에 수련해왔고, 결국 위기 때 이를 발휘하여 여러 차례 목숨을 구했습니다 . 즉, 요리이치 → 스미요시 → 카마도 가문으로 이어진 전승이 탄지로에게까지 내려온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를 넘은 사부와 제자의 계보 덕분에, 귀살대원들은 각자의 호흡과 기술을 익혀 악귀들과 맞설 수 있었습니다.
• 그 외 관계: 귀살대에는 츠구코 제도가 있어, 주가 자신의 후계로 지목한 뛰어난 대원을 가르칩니다. 츠유리 카나오(꽃의 호흡)는 시노부의 츠구코였고 , 칸로지 미츠리(사랑의 호흡)는 한때 렌고쿠 쿄쥬로의 츠구코로서 수련받은 바 있습니다 . 반면 하시비라 이노스케와 시나즈가와 사네미 등은 정식 스승 없이 독학이나 실전 경험으로 호흡을 터득한 예외적 케이스입니다. 이노스케는 산속에서 독자적으로 익힌 야생의 감각으로 짐승의 호흡을 구사하게 되었고, 사네미는 수많은 실전 속에 풍의 호흡에 개안을 이룬 것으로 묘사됩니다. 한편 악귀 측에서는 무잔과 그의 피조귀들의 관계가 일종의 사제 관계로 비추이기도 합니다. 무잔은 자신의 피를 나눠 인간을 도깨비로 만들고 강해질 방법을 가르치거나 명령을 내리지만 , 그것은 어디까지나 지배와 강요에 가까워 일반적인 師弟의 정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오히려 악귀들에게 무잔은 두려움의 대상이자 주인일 뿐이며, 무잔이 죽은 후 남은 악귀 유시로는 홀로 남아 스스로의 길을 걷게 됩니다  . (유시로는 현대까지 생존하여 세상에 남은 유일한 도깨비가 되었고, 스승 타마요의 초상화를 그리며 그녀를 기리고 있습니다 .)
以上와 같이 『귀멸의 칼날』의 인물들은 피를 나눈 가족 관계에서부터, 죽음을 각오한 동료애, 선악을 넘나든 인연, 엄혹한 대립과 사투, 그리고 의지를 계승하는 사제 관계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관계망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풍부한 인간관계도는 작품 스토리에 깊이를 부여하며, 최종 결말까지 독자들에게 많은 감동을 주었습니다.
(참고: 결말에서 주요 인물들의 환생과 미래 세대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예컨대 코쵸우 시노부와 카나에는 현대에 자매로 환생하고, 칸로지 미츠리와 이구로 오바나이는 부부로 환생하는 등 , 인물들의 인연이 세대를 넘어 이어짐을 보여줍니다. 이는 귀멸의 칼날 세계관에서 인연(絆)의 주제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2」 정보 (0) | 2025.08.30 |
---|---|
귀멸의 칼날 세계관 주요 용어 총정리 (0) | 2025.08.30 |
NBA 전현직 선수들의 농구 IQ 최고 순위 및 특징 (0) | 2025.08.29 |
애니메이션 ip 수익 박스오피스 순위 (0) | 2025.08.29 |
세계 스포츠 스타 몸값 상위 50인 (2025년 기준) (0) | 202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