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et rich

에테나(Ethena, 토큰명 ENA) 종합 분석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7. 26.
반응형


프로젝트 개요


에테나(Ethena)는 탈중앙화 합성 달러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로서, 전통 은행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 디파이 기반 달러 자산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이 프로토콜은 USDe라는 1달러 가치의 합성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 본드’**로 불리는 달러 표시 예치 자산(sUSDe)을 제공합니다  . USDe는 이더리움(ETH) 및 비트코인(BTC) 등의 담보 자산을 예치하고 동일한 규모의 선물 숏포지션을 취하는 델타중립 헤지 전략으로 1달러 가치를 유지합니다 . 이러한 설계로 완전 담보(1:1 담보) 상태에서 탈중앙성과 안정성을 추구하며, 스테이킹을 통해 달러 예치 수익(sUSDe 이자)을 얻을 수 있어 안정성과 수익성을 겸비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모델을 제시합니다  . 에테나의 거버넌스 및 유틸리티 토큰인 ENA는 이더리움 기반 ERC-20 토큰으로, 총 발행량 150억 개 중 약 63.5억 개가 현재 유통되고 있습니다 . ENA 토큰은 **프로토콜 거버넌스(의사결정 투표)**와 스테이킹 보상 분배 등에 활용되며, 에어드롭과 인센티브 캠페인을 통해 초기 분배되었습니다  .

개발사 및 팀


에테나 프로젝트는 2023년에 설립된 에테나 랩스(Ethena Labs)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 설립자 겸 CEO 가이 영(Guy Young)은 전통 금융권 출신으로 2023년 아서 헤이즈(前 BitMEX CEO)의 stablecoin 아이디어에 영감을 받아 회사를 창업했습니다 . 에테나 랩스는 설립 초기부터 Dragonfly Capital, 브레반 하워드 디지털, 프랭클린 템플턴, Binance Labs 등 유수의 투자사로부터 지원을 받았으며, BitMEX 공동창업자 아서 헤이즈, 크립토 인플루언서 코비(Cobie), 앤소니 사사노 등이 개인 투자자로 참여했습니다 . 2023년 7월 시드 라운드에서 600만 달러를 조달하였고, 2024년 3월에는 드래곤플라이와 Arthur Hayes가 주도한 전략적 투자 유치를 통해 1,400만 달러 규모의 펀딩을 완료했습니다 . 이후 2024년 말에는 프랭클린 템플턴, 판테라 등을 포함한 기관투자가들로부터 1억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급속한 성장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 개발팀은 Cerberus 캐피털, Wintermute, Goldman Sachs, Lido, Aave 등 전통 금융 및 크립토 업계 출신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토콜의 연구·개발과 보안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

로드맵 (출시 이래 현재까지의 주요 연혁 및 향후 계획)
• 2023년 Q1–Q3: 프로젝트 기획 및 개발 착수. 2023년 7월 에테나 프로젝트 공식 발표 및 시드 투자 유치 . 폐쇄형 테스트 및 일부 투자자 대상 프리런칭 진행 .
• 2024년 2월: 메인넷 공개 출시 및 USDe 안정코인 발행 시작. 2024년 2월 19일 첫 공개 예치로 USDe 공급이 시작되었고, 출시 한 달 만인 3월 13일 USDe 유통량 10억 달러를 돌파하며 빠르게 성장 . 출시와 함께 **샤드 캠페인(Shard Campaign)**을 통해 초기 참여자들에게 ENA 토큰 에어드롭을 예고하였고, USDe 공급량 조건 충족에 따라 4월 1일 캠페인이 종료되었습니다 .
• 2024년 4월: ENA 거버넌스 토큰 출시(4월 2일) 및 바이낸스 거래소 상장. ENA는 바이낸스 Launchpool을 통해 배포되었으며 초기 유통량은 15억 중 약 9.5%인 14.25억 개로 설정되었습니다  . 이어 BTC를 USDe 담보자산으로 도입(4월 4일)하여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기반의 담보도 활용 시작 . ENA 출시와 함께 Sats 인센티브 캠페인이 시작되어 5개월 간 유동성 공급자 보상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
• 2024년 Q2–Q3: 프로토콜 기능 확장 – DAO 거버넌스 투표 시스템 준비, Solana(SOL) 등 타 자산을 담보로 추가, 크로스체인 전개 등을 로드맵에 따라 추진  . 6월에는 Ethena의 stUSDe 토큰이 디파이 대출플랫폼 Aave에 통합되어 빠르게 예치자산이 증가했습니다 .
• 2024년 Q4: 에테나 프로토콜의 스테이블코인 성장 – 2024년 12월 기준 USDe 공급량 약 60억 달러로 증가하여 시가총액 기준 테더(USDT), USDC에 이어 세계 3위 달러 스테이블코인에 등극했습니다 . 同 시기 MakerDAO의 DAI를 추월했다는 분석이 나왔고 , Ethena 프로토콜은 2024년 한 해 약 2억 달러 이상의 수수료 수익을 올려 일부를 ENA 홀더와 공유하는 거버넌스 제안도 도입되었습니다 .
• 2024년 12월: 트럼프 가문이 후원하는 DeFi 프로젝트 World Liberty Financial (WLFI) 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발표 . 해당 파트너십으로 WLFI의 Aave 기반 플랫폼에 sUSDe를 핵심 담보자산으로 추가하는 거버넌스 제안이 제출되는 등 TradFi 및 정치권 인사와의 연결 고리를 확보했습니다 .
• 2025년 1분기: 에테나 랩스는 기관용 스테이블코인 iUSDe 계획을 공개하고 2024년 말 완료된 투자를 통해 전용 L1 블록체인 개발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 iUSDe는 sUSDe(스테이킹 버전 USDe)와 동일한 수익모델에 **규제 친화적 전송제한(wrapper)**을 추가하여 기관 투자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버전으로, 2025년 1분기 주요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
• 2025년 3월: 첫 번째 거대 토큰 락업 해제가 이루어졌습니다. 약 20.7억 달러 규모의 ENA 토큰이 베스팅 기간 종료로 풀려났으며, 직전 투자 유치 성공과 프로토콜 성장으로 ENA 시가총액이 4억 달러에서 15억 달러로 상승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 토큰 경제 설계 상 팀·투자자 물량 등이 단계적으로 시장에 풀리며, **탈중앙화 자율조직(DAO)**에 의한 거버넌스 체계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
• 2025년 6~7월: 미국 시장 진출 및 규제 대응 – 미국 신규 스테이블코인 법안(GENUIS Act) 통과에 발맞춰, 에테나는 **연방 인가를 받은 앵커리지 디지털 은행(Anchorage)**과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 내 USDtb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발표했습니다 . 이를 통해 기존 해외 발행 모델에서 벗어나 미국 기관들도 규제 기준을 준수한 USDe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입니다 . 이 소식으로 ENA 토큰 가격이 10% 이상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 또한 6월 12일에는 바이낸스US 거래소 상장을 통해 미국 이용자 대상 ENA/USDT 거래마켓이 열렸고, 7월 11일에는 한국 업비트 거래소 상장으로 원화마켓에도 진출하였습니다 .

향후 계획: 에테나 팀은 중장기적으로 USDe의 글로벌 활용성 확대와 탈중앙성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디파이 프로토콜 및 중앙거래소와 연계하여 USDe 수요를 늘리고, 현재 중앙화 거래소에 의존하는 헤지 포지션(선물 숏)을 추후 **탈중앙화 거래소(온체인 퍼페츄얼)**로 옮겨 리스크를 분산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 더불어 독자 블록체인 출시 가능성, 공개기업 스팩 합병 등을 통한 자금 조달과 생태계 확장 움직임도 업계에 포착되고 있어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

상장 현황 (주요 거래소 및 거래쌍)


에테나(ENA) 토큰은 2024년 4월 바이낸스 글로벌 거래소 상장을 시작으로 전세계 여러 거래소에 상장되어 활발히 거래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거래소와 거래 지원 현황입니다:

거래소 상장 시기 거래쌍 (마켓) 비고
Binance (글로벌) 2024년 4월 2일 ENA/BTC, ENA/USDT, ENA/BNB, ENA/FDUSD, ENA/TRY   Launchpool 프로젝트(50번째)로 선정되어 상장 
Upbit (한국) 2025년 7월 11일 KRW 마켓, BTC 마켓, USDT 마켓  상장 직후 약 24% 급등하며 500원대 형성 
Binance.US (미국) 2025년 6월 12일 ENA/USDT   미국 규제 대응 차원 상장
기타 주요 거래소 2024년 4월~현재 MEXC, LBank, KuCoin, Gate.io 등 다수  –

현재 ENA 거래는 **바이낸스(글로벌)**의 USDT 마켓 거래량이 가장 높으며, 전체 일일 거래량의 상당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업비트 이외에 코인원 거래소에도 ENA(KRW 마켓)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 기반 토큰이므로, Uniswap 등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한 거래 및 개인 지갑 보관도 가능합니다. 상장 이후 유동성 확대와 함께 2024년 4월 바이낸스 상장 직전 대비 ENA 토큰 가격은 약 5배 상승하는 등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실시간 시세 정보 (2025년 7월 기준)
• 현재 가격: 약 $0.57 (미국 달러) – 한화 약 ₩790 내외
• 시가총액: 약 $36억 5천만 (약 4조 8천억 원) – 글로벌 시총 30위대 규모 
• 일일 거래량: 약 $16억 7천만 (24시간 기준 거래량) 
• 유통 공급량: 6,354,687,500 ENA – 총 발행량 대비 약 42% 유통 
• 총 발행량: 15,000,000,000 ENA (최대 발행 한도) 

(출처: 2025년 7월 26일 코인마켓캡 실시간 시세 기준 )

위 수치는 실시간 시장 지표로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ENA 토큰은 출시 이후 2024년 4월 11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약 $1.52) 대비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2024년 하반기 저점 대비로는 크게 상승한 상태입니다  . 시가총액은 2025년 들어 급격히 증가하여, 현재 약 4조~5조 원 규모로 코인마켓캡 30위권의 대형 알트코인으로 올라와 있습니다 .

최근 뉴스 및 이슈 (최근 6개월 동향)
• 거대 투자 유치 및 생태계 확장: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이어진 투자 라운드에서 에테나는 프랭클린 템플턴, 판테라 캐피탈 등 전통 금융기관으로부터 1억 달러 투자를 유치했고, 이를 바탕으로 기관 대상 제품(iUSDe) 개발과 자체 블록체인 모색을 발표했습니다  . 또한 2025년 2월에는 해당 투자 소식과 함께 **트럼프 일가 지원 DeFi 프로젝트(WLFI)**와의 제휴 소식이 전해지며 화제를 모았습니다 .
• 업비트 상장 및 국내 투자 수요: 2025년 7월 11일 국내 최대 거래소 업비트에 ENA가 상장되면서 한국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상장 발표 직후 ENA 시세는 하루만에 20% 넘게 급등해 534원까지 치솟았다가 안정화되었고, 업비트에서 일 거래대금 수백억 원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입증했습니다  .
• 규제 호재 – 미국 시장 진출: 2025년 7월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법(GENIUS Act)이 통과되자 에테나는 앵커리지 디지털은행과 손잡고 미국형 스테이블코인 USDtb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 이는 에테나의 합성달러를 미국 규제 하에서 발행하는 첫 사례로 주목받았으며, 해당 소식에 ENA 토큰 가격도 단기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 이는 미 규제당국 승인 하에 미국 내 기관 투자자들이 Ethena의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수 있게 된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 토큰 언락 이벤트: 2025년 3월 대규모 초기 물량의 락업 해제가 이루어져 약 20억 달러 상당의 ENA 토큰이 시장에 풀렸습니다  . 시장은 이를 예의주시했으나, 이미 충분한 유동성 확보와 투자자 저변 확대 덕분에 가격 변동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되었습니다. ENA의 토큰노믹스는 투자자·팀 물량의 단계적 베스팅을 통해 급격한 공급 충격을 완화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파트너십 및 활용 확대: 윈터뮤트(Wintermute) 등 크립토 마켓메이커는 2024년 말부터 USDe를 거래 담보로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 Aave 등 디파이 프로토콜에서도 sUSDe 예치가 활성화되는 등 에테나 생태계 확장 소식이 이어졌습니다. 2025년 들어서는 전술한 WLFI 협업 외에도, 에테나의 파트너사가 나스닥 상장 추진 및 대규모 자금 조성 계획을 밝히는 등(StablecoinX/SPAC 합병) 에코시스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 기술적 이슈 및 논란: 높은 예치 이율로 급성장한 USDe에 대해 **일부 전문가는 테라/UST 사태(2022년)**를 떠올리며 지나친 레버리지 및 수익률 의존에 따른 디페깅 위험성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 에테나 프로토콜은 이에 대해 완전담보+헷지 구조와 실시간 투명성으로 기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과 다름을 강조하지만, 오프체인 거래소 의존도, 시장 급변시 담보유지 리스크 등은 지속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한편, 2024년 3월 ENA 출시 직후 가짜 ENA 토큰 사건이 발생하여 약 48만 달러 상당의 피해가 있었으나, 이는 바이낸스 Launchpool을 노린 피싱 공격으로 실제 프로토콜의 보안 취약점과는 무관한 해프닝으로 정리되었습니다 . 현재까지 에테나 자체의 치명적 사고나 규제 기관의 제재 이슈는 없으며, 거버넌스 안전성 강화와 규제 대응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공식 백서 , 코인마켓캡 ·코인게코 통계, 코인데스크  ·코인텔레그래프  등 전문지 보도, 업비트 공지 , Binance Research 리포트   등. 모든 정보는 2025년 7월 기준 최신 내용을 반영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