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et rich

2025년 7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수혜 유망 알트코인 총정리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7. 25.
반응형


2025년 7월 현재, 한국과 글로벌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제화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이에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주요 알트코인 프로젝트들을 정리합니다. 아래에서는 국내 프로젝트와 해외 프로젝트로 구분하여, 각 코인의 핵심 정보와 평가 항목을 표로 요약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발의된 원화 스테이블코인 법안과 미국의 GENIUS법(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 통과 등 글로벌 규제 강화 트렌드를 고려하여 선정하였습니다  . 평가 기준은 다음 여섯 가지입니다.
1. 스테이블코인 발행 여부 및 플랫폼 역할 – 해당 코인이 직접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거나, 스테이블코인 발행 플랫폼으로 활용되는지 여부
2. 법적 규제 대응력 – 인가제・등록제 충족 여부, 상환청구권 보장, 자기자본 요건 충족 등 법적 요건 대응 현황
3. 담보 구조 및 유동성 안정성 – 스테이블코인 담보 자산의 종류 (예: 현금, 국채, 암호자산, 실물자산 등) 및 1:1 페그 안정성 확보 방안
4. 주요 거래소 채택 및 유통량 – 국내외 주요 거래소 상장 여부, 시가총액과 발행량(유통량) 등 시장 규모와 유동성
5. 정부/공공기관/대기업 협업 – 해당 프로젝트가 정부, 공공기관 또는 대형 금융・IT기업과 제휴나 협력한 사례
6. 향후 제도화 수혜 가능성과 기술적 확장성 – 앞으로 법제화에 따른 성장 기대 효과, 기존 금융시스템과의 접목, 기술 업그레이드 계획 등

국내 스테이블코인 및 관련 인프라 프로젝트


한국에서는 2023~2025년 사이 디지털자산 기본법 논의와 함께 원화(KRW)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려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7월 여당 주도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허용 법제화를 가속화하고 있는데, 민병덕 의원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근거를 담은 법안을 발의하고 정부도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국내 주요 금융기관과 테크기업들이 앞다투어 원화 스테이블코인 출시 준비에 나섰습니다  . 아래 표는 한국 법안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가능성이 높은 국내 프로젝트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프로젝트 (코인) 시가총액・발행량 (2025.7) 발행 주체 및 플랫폼 역할 법적 규제 대응력 담보 구조 및 안정성 거래소 채택 및 유통 현황 협업/제휴 (정부·기업) 제도화 수혜 전망 및 기술 확장성
은행연합 KRW 스테이블코인 (가칭) N/A – 2025~26 출시 예정  KB국민・신한 등 시중 8개 은행 컨소시엄원화 1:1 연동 토큰 발행 계획 . KFTC(한은망) 연계 고려 인가제 추진: 디지털자산기본법(DABA)로 발행 허가 ; 은행 예치금 토큰화 모델 검토 . 이용자 상환청구권 보장 예정 예금담보 100%: 참여은행 보유 원화예금/현금으로 1:1 준비금. 필요시 신탁 기반 발행 검토 . 국내 결제망 연계로 안정성 높임 국내 미상장 (법 통과 후 발행)발행시 국내 모든 거래소 기축통화 가능성. 예상 유통량 거대 (은행 예치금의 일부 토큰화) 정부·한은 소통: KFTC 협업으로 은행간 결제망 통합 ;디지털자산 공동협의회 구성. 원화주권 수호 핵심: 달러코인 대응 위해 정부 지원  .은행 인프라 활용해 대규모 상용화 유력. 향후 국제 송금, 디파이 접목 가능
카카오뱅크/Kakao Pay 스테이블코인 (BKRW 등) N/A – 상표 출원 완료, 준비 중  카카오뱅크 (인터넷전문은행 1위) 및 카카오페이– 자체 원화 스테이블코인 출시 계획. BKRW, KRWB 등 12종 상표 출원  인가제 예상: 은행 라이선스 보유 (자본금 충분). 법 통과 즉시 발행 가능 . 이용자 보호 위해 예치금 1:1 교환 보장 방침 현금 100% 준비금: 카카오뱅크 자체예치금 및 은행예금 담보. 카카오페이 연계로 결제 즉시 현금화 지원. 국내 미상장 (법 통과 대기).카카오페이 앱 등 1,400만 사용자 대상 지급 예상. 추후 업비트 등 거래소와 연동 가능 관계사 협력: 카카오 생태계 (은행-페이-메신저) 내 활용. 정부 금융규제 샌드박스 참여 가능성. 빅테크 주도 혁신: 정부 친화적 핀테크로 규제 수혜 .국내결제, 해외송금에 카카오 플랫폼 활용 대중화 잠재력.
KRWS (커먼즈재단) N/A – 초기 발행 개시 (2025.7) 발표  커먼즈재단 (비영리 블록체인 연구재단)– 국내 독자 블록체인 기술 기반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준법 추진: 2023년부터 상표/도메인 확보 . 민간발행 허용 시 즉시 대응. 환불권 보장 위해 감사 체계 구축 계획 복합 담보: 현금・국채 외에 은(銀) 등 실물자산 기반 . 국내 3위 은 생산업체와 제휴하여 은 비축→ 다각화 담보로 페그 안정 도모 글로벌 거래소 상장 추진 중 . (국내 법 통과 전 해외 위주 유통).상위 20위권 거래소 다수와 협의 진행  실물경제 제휴: 대성금속 등 은(銀) 자산보유 기업 MOU . 블록체인 MicroBitcoin 오픈소스 8년 지원 경력 차별화 전략: 실물자산 담보로 신뢰 확보 노림 .법제화 시 국내외 거래소 동시 진출 목표. 기술적으로 자체 체인 기반 확장성 강조
WEMIX$ (위믹스 달러)(위믹스 토큰) WEMIX 시총 약 $5.2억 (7월)WEMIX$ 유통량 $2,760만 개 (1$ 고정)   위메이드 (KOSDAQ 상장 게임사)– 게임 플랫폼 위믹스3.0 체인에서 달러 연동 WEMIX$ 발행. WEMIX 토큰으로 거버넌스 역할 해외 법인 통해 발행: 기존 스테이블코인 규제 공백 활용, 전액 담보로 투명성 제고. 향후 국내법 시행 시 라이선스 획득 고려 USD 기반 100% 담보: USDC 등 검증된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1:1 담보 . 실시간 준비금 공시 및 기관 회계 감사 진행 WEMIX$ 글로벌 거래소 상장 (OKX 등).국내 미상장이나, 위믹스 토큰은 업비트 등 재상장. WEMIX 토큰 시총 100위권 내 마이크로소프트 등 투자 유치 (위믹스 토큰);다수 게임사 파트너. 정부와 메타버스 협력 시도 경험 (과기부 지원사업 참여) 게임 경제 확장: 게임아이템 거래에 달러 스테이블 활용으로 규제수혜 기대. 법적 인정 시 게임머니 대체 가능. 자체 L1으로 TPS 확보해 확장성 양호
클레이튼 (Klaytn, KLAY) 시총 약 $8.7억, 유통량 3.19억 KLAY   카카오 자회사 Ground X 개발 L1 블록체인.타 플랫폼 대비 거래속도 우수. CBDC・스테이블코인 플랫폼 활용 사례 有 규제 친화적 구조: 거버넌스에 카카오・LG 등 대기업 참여 (반직권형 체인). 2021년 한국은행 CBDC 파일럿 수행  등 정부 프로젝트 경험 담보 자산 없음 (플랫폼 코인). 대신 KCT-USD/KRW 토큰 발행 지원: KLAY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 (테라 KRT 등 사례 있었음) 업비트・바이낸스 등 상장. KLAY 일 거래량 $5천만 이상. NFT・디파이 활성. 카카오 생태계 지원으로 국내 이용자층 多 한국은행 CBDC 테스트 파트너 ;LG전자・신한은행 등 거버넌스 멤버. 카카오 공동체 활용 여러 정부 프로젝트 참여 원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유력후보: KakaoBank 등 카카오 계열 연계 쉬움. 기술 확장성 높아 타 국가 CBDC에도 활용 여지. 국내 법제화 시 표준 플랫폼 기대

주석: 상기 국내 프로젝트 중 은행연합 및 카카오 계열 스테이블코인은 아직 발행 전이지만, 관련 법안이 통과될 경우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특히 은행권의 컨소시엄 코인은 공식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서, 정부 및 중앙은행의 정책적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한편 테라(루나)의 실패 사례 이후, 한국에서는 담보 100% 보유와 인가제 발행을 골자로 한 안전장치들이 논의되고 있어 , 담보 구조가 투명하고 규제를 준수하는 프로젝트들이 시장의 신뢰를 얻을 전망입니다.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및 관련 알트코인 프로젝트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EU 등을 중심으로 스테이블코인 규제정책이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2025년 GENIUS Act를 통해 연방 차원의 스테이블코인 규율을 제정하고 (예: OCC 인가 또는 은행연계 발행, 1:1 현금・국채 준비금, 월별 공시 의무 등) , 주요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으로 편입하기 시작했습니다 . EU도 MiCA 규정으로 유로화 등 법정통화 연동 스테이블코인(EMT, ART)을 엄격히 감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글로벌 기업 및 크립토 프로젝트들이 규제 준수형 스테이블코인을 속속 선보이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퍼블릭 블록체인들도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해외 주요 스테이블코인 및 관련 알트코인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가치 비교를 위해 일부는 스테이블코인 자체 포함). 최신 시가총액과 유통량, 운영주체 등의 데이터는 2025년 7월 기준입니다.

프로젝트 (코인) 시가총액 / 유통량 (2025.7 기준) 발행 주체 및 플랫폼 역할 법적 규제 대응력 담보 구조 및 안정성 거래소 채택 및 유통 현황 정부/기업 협업 사례 제도화 수혜 전망 및 기술 확장성
테더 (USDT) $1,620억 (유통량 약 1,620억 개)  시장 점유율 1위 테더사 (아이피넥스 계열) – 달러 連動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 멀티체인 (이더리움, 트론 등) 유통 규제 개선 진행 중: 과거 불투명성 지적 받았으나, 2024년부터회계 감사 보고 공개 및 준비자산 비중 확대. EU MiCA 적용 준비 현금 및 현금등가물 100%: 달러 예치금+미국 단기 국채 위주 구성 . 1:1 상환 약정. 이자부 자산 편입으로 이익 창출 세계 최대 거래소들에 광범위 상장. 24시간 거래량 $1,430억 달해 전체 암호시장 기축통화 역할  . 트론 등 L2에서 수수료 저렴 민간 기업과 직접 협업 사례는 적지만, 여러 체인과 제휴 (트론, 이더 등). 일부 국가에서 법정화폐 대체 수단으로 사용 (예: 터키, 아르헨티나 등) 규제 편입 시 최대 수혜: 이미 시장 지배적이며, 규제신뢰 확보시 규모 더욱 증가 전망. 다만 각국 감독 하에 공시·준비금 투명성 지속 개선 필요.
USD코인 (USDC) $640억 (유통량 640억 개)  시장 2위 서클(Circle) – 코인베이스 파트너. 달러 연동 USDC 발행.다중체인 공급 (이더리움, 솔라나, 알고랜드 등) 규제 선도: NY금융청 비트라이선스 취득, 미 재무부와 협력. 2025년 미국 GENIUS법 준수 준비 (준비금 전액 현금/국채) . EU에서도 프랑스 등록 및 e-머니 면허 추진 현금・단기국채 100%: 투명성 최고 수준 – 매월 회계법인 감사보고 . 상환청구권 명확. 뱅크런 대응 유동성 확보 (美 MMF 투자) 광범위 채택: 코인베이스 등 미국 대형거래소 기축. NFT마켓, 디파이의 기본 스테이블로도 활용. 일 거래량 약 80억 달러 . 정부/기업 협력: 미 연준 디지털달러 논의 참여. 비자, 마스터카드 결제연동 파일럿. 머니그램 등 송금업체와 파트너십. 규제명확성 최대 수혜: 투명・합법성 강조로 기관 신뢰 확보 . 미국 안정법 통과로 대형은행 예치금 안정성↑. 향후 글로벌 CBDC와 연계 가능성 (브릿지 통화)
페이팔 USD (PYUSD) $12.4억 (유통량 12.4억 개, 급성장 중)  PayPal – 2023년 출시된 달러 스테이블코인. Paxos와 제휴로 발행(ERC-20 이더리움 토큰) 완전 준법: 발행사 Paxos는 NY신탁 인가 보유. PayPal은 미 규제기관 보고 준수. 리워드 지급 시 증권성 이슈 검토 (이자 3.7% 프로그램 운영)  현금+예금+국채 100%: 고객자금 전액 보전. 페이팔 계정 통해 언제든 1:1 상환 보장. 준비금 내 미국 국채 비중 높여 안정성 확보 페이팔 앱 내 7천만 사용자 활용. 외부 거래소 상장: 코인베이스 등 지원. 2025년 솔라나 체인 지원으로 송금 수수료↓ & 유동성↑  대형기업 채택: 메타마스크 등 지갑과 통합. 이베이 등 전자상거래 결제 적용 검토. 일부 미국 상점에서 스테이블결제 시범 빅테크 도입 가속: 규제 명확해지며 IT공룡 적극 참여 사례. PayPal 네트워크로 소매결제 보편화 기대. 다른 핀테크의 스테이블 진출 촉매제
리플 (XRP)+ Ripple Stable (RLUSD) XRP 시총 약 $370억 (공급 529억 XRP)RLUSD 유통량 미공개 (기관 대상)  Ripple社 – XRP Ledger 운영 주체. XRP는 브릿지통화로 사용.RLUSD: 2025년 출시한 기관용 달러 스테이블코인 (Ripple Liquidity USD) 규제 승소 및 인가 시도: 2023년 SEC 소송 일부 승리로 XRP 비증권 확인. Ripple社는 미국 OCC 국법은행 허가 신청 진행 중. RLUSD는 연방기관 감독하에 발행  XRP: 변동가치 (미담보).RLUSD: 현금 100% 예치 및 실시간 감사로 보수적 운영. RippleNet 사용 은행들이 담보 예치. 완전준비금으로 보안성 강조  XRP는 전세계 대부분 거래소 상장. 시총 5위권 대형 자산. ODL 등 활용. RLUSD는 비공개 시장 위주 유통 (기관 간 유동성 공급) 중앙은행・정부: 팔라우 정부 USD 스테이블코인 XRP Ledger 상 발행 지원  ; 부탄 CBDC 파일럿 협력. 은행들와 국경간 결제망 구축 제도화 후 도약: XRP, 美규제 확립으로 은행결제 채택 가능성↑. RLUSD 등 자체 스테이블로 기관시장 공략 . XRPL 기반으로 다국적 CBDC 플랫폼 확장 기대
스텔라 (XLM) 시총 약 $80억 (공급 268억 XLM) Stellar 재단 – 초당 1만 tx 이상 결제 특화 체인. 자체 스테이블은 없으나USDC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 지원 플랫폼 (Stellar 네트워크) 규제 친화 노선: ISO 20022 준수 메시징, FATF 트래블룰 솔루션 제공 등 금융권 표준에 맞춤. 미국/EU 정책 그룹에 자문 참여. XLM: 플랫폼 토큰 (변동). 체인 상 USDC, EURC 등 발행 지원 – 1:1 담보는 각 발행사 책임. Stellar 자체도 준비금 풀 운용하여 유동성 공급 USDC의 대표적 멀티체인 중 하나 . 머니그램이 스텔라USDC로 현금-크립토 환전망 구축. XLM은 주요 거래소 상장, 글로벌 송금 코리도에서 활용 머니그램 제휴: 현금 <-> USDC 교환 서비스 2022~ 활성 . 우크라이나 구호 프로젝트에 스텔라 사용. IBM World Wire 과거 협업 송금시장 성장 수혜: 규제로 스테이블코인 국제송금 합법화 시 Stellar망 이용 증가. 금융 포함성 프로젝트에 채택 기대. 기술 업그레이드로 AMM 등 디파이 기능 추가
트론 (TRX)+ USDD 스테이블코인 TRX 시총 $100억 (유통 896억 TRX)USDD 시가총액 $7.3억 (연동 유지) Tron 재단/DAO – 트론 퍼블릭체인 (저가 수수료, 스테이블코인 전송 多). 자체 달러 스테이블 USDD 발행 (초기 알고리즘 → 현재 과담보) 탈중앙 조직: 싱가포르 등 해외 거점 운영으로 규제 영향 적음. 다만 USDD 알고리즘 이슈 후 달러채권 담보로 전환해 규제 대응. 글로벌 규제와는 다소 거리가 있음 USDT 주력 체인: 트론망에 USDT 810억 달러 유통 (이더리움보다 多) . USDD: TRX 등 암호자산 담보 280%↑로 오버콜래털라이즈 유지. TRX는 바이낸스 등 상장. 중국계 시장에서 활발. USDT 트론판은 아시아 송금에 사실상 표준. USDD는 거래소 10여 곳 상장. 정부 협력: 그레나다 WTO대사 역임 등 창업자 영향력. 도미니카공화국 법정화 토큰 발행 지원. 한때 삼성블록체인 월렛 파트너. 시장 수요 지속: 저가 수수료 강점으로 스테이블 전송 활용 지속. 규제 강화 속 투명성 제고하면 입지 유지. TRX 자체는 이자농사 등 DeFi 확장으로 수요 견인
메이커다오 (MKR)+ 다이 (DAI) stable MKR 시총 $75억 (유통 90만 MKR)DAI 유통량 57억 DAI (탈중앙 스테이블) MakerDAO 재단 & 커뮤니티 – DAI 스테이블코인 발행 프로토콜 운영. MKR 토큰은 거버넌스 및 비상시 담보경매 역할. 준법 자율규제: DAI 1:1 상환이 아닌 프로토콜 기반이라 법 적용 모호. 그러나 Maker는 준법 노력으로 미국 국채 등에 투자하여 실물담보 비중↑ . RWA 편입으로 규제수용성 제고 초과담보 방식: 이더리움 등 암호자산 담보 + 미국 국채, 현금예금 등 실물자산 담보 80% 구성. 과담보(현재 130~150%)로 DAI 가치 안정. 상환청구권은 스마트컨트랙트로 자동보장. DAI는 시총 4위 스테이블코인. 대부분 디파이 플랫폼에서 기본 담보자산으로 채택. 중앙거래소에도 상장. MKR은 주요 거래소 거래 지원, 유동성 양호. 전통금융 제휴: 미국 은행들과 담보예금 파트너십(DAI 발행 위해 예치). 프랑스 SocGen은행의 채권토큰을 담보로 DAI 대출 사례. 탈중앙 스테이블의 생존: 규제 강화로 중앙발행 코인들↑에도 DAI는 검열저항 대안으로 자리. 실물채권 편입으로 안정성+수익 확보 . 향후 자체 체인(L2) 확장 계획으로 스케일업
체인링크 (LINK) 시총 $140억 (유통 7.5억 LINK) Chainlink Labs – 다양한 블록체인에 오라클 네트워크 제공. 스테이블코인 분야에서는 Proof-of-Reserve(준비금 증명), 가격피드 등 핵심 인프라 담당 간접 규제준수: 직접 발행 아닌 데이터 제공자로, 각국 증권 규제 영향 적음. 대신 투명성 제고 툴 제공으로 규제기관과 공조 (예: 준비자산 실시간 검증 서비스) 담보 없음: LINK 토큰은 오라클 노드 담보/지불에 사용. 오라클이 제공하는 Proof-of-Reserve 통해 USDC 등 발행사의 준비금 실재 검증 , 스테이블 담보 안전성 지원 체인링크 오라클은 DeFi 프로토콜 대다수 채택. USDP, TUSD 등 스테이블코인들이 준비금 증명에 LINK 오라클 활용. LINK 토큰은 코인베이스 등 상장, 시총 20위권 금융기관 제휴: SWIFT 협력하여 CBDC・은행간 통신 PoC 진행. 미국 은행연합 USDF 프로젝트에 기술자문. 규제하 디파이 핵심: 투명성 요구 상승으로 오라클 수요 증가 . 체인링크는 CCIP 등으로 체인간 스테이블 이동 솔루션도 제공, 스테이블코인 확산에 기여.

주석: 2025년 상반기 전세계 스테이블코인 총 공급량은 약 2,68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 미국・EU의 제도권 편입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이더리움 같은 L1 플랫폼(스테이블코인 대부분이 발행되는 기반망)도 큰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실제로 Ethereum 네트워크는 USDT, USDC를 비롯한 주요 스테이블코인의 결제 처리량 증가로 트랜잭션 수수료 수익이 상승했고, 레이어2 솔루션들도 스테이블코인 이동을 흡수하며 확장 중입니다 . 또한 각국의 규제 친화적 환경 덕에 유로화 스테이블코인 (EUROe 등), 엔화・홍콩달러 스테이블코인 등도 속속 등장하고 있어, 향후 특정 법정화폐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과 그 인프라 토큰들이 새로운 금융시장 핵심 플레이어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