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지리 (Geography)
시안은 중국 북서부 산시(陝西)성의 성도로, 중남부의 관중(關中) 평원에 위치한 역사도시입니다. 서쪽으로는 간쑤(甘肅)와, 동쪽으로는 산시(山西)·허난(河南) 등지와 접하며 중국 내륙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형적으로 시안은 주변 여덟 개 하천이 만들어낸 비옥한 충적 평야 지대에 있으며 남쪽으로 진령(秦岭) 산맥 북쪽 기슭을 경계로 하고, 북쪽으로는 황하의 지류인 웨이허(渭河) 강을 따라 펼쳐져 있습니다 . 동쪽 약 100㎞ 거리에는 도교의 5대 성산 중 하나인 화산(華山)이 솟아 있고, 북쪽으로 조금만 나가면 황토고원 지대가 펼쳐져 시안을 둘러싼 독특한 자연 경관을 이룹니다 .
시안은 온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여, 여름에는 무덥고 습윤하고 겨울에는 춥고 건조한 특징을 보입니다 .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는 온난습윤(Cwa)과 냉대습윤(Dwa) 기후의 경계에 해당하며, 연평균 기온은 약 14°C 수준입니다 . 1월 평균 기온은 0°C 안팎까지 내려가고 7월 평균 기온은 27°C에 달할 정도로 한서의 차이가 뚜렷합니다 . 강수량은 주로 여름초가을(710월)에 집중되고 겨울에는 눈이 오기도 하나 많이 쌓이지는 않습니다 . 봄철에는 북쪽 사막지대의 영향으로 황사가 발생하고, 여름에는 국지적인 천둥폭풍이 짧게 지나가는 등 계절별 기후 변화가 뚜렷합니다 . 한편, 기후 변화로 인한 극한 현상으로 최근 2025년 7월에는 시안 관측 사상 최고기온인 42.3°C까지 올라가는 등 이상고온이 기록되기도 했습니다 .
2. 역사 (History)
시안은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고도로 손꼽히는 도시입니다. 약 3,100년 전에 도시로 건설된 이후 주(周)⋅진(秦)⋅한(漢)⋅당(唐) 등 13개 왕조에 걸쳐 총 1,200년 이상 수도 역할을 수행한 곳으로, 중국 문명의 요람이라 불릴 만큼 풍부한 역사 유산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 특히 고대에는 장안(長安)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중국의 정치·경제·문화 중심지였고, 베이징·난징 등과 함께 중국의 4대 고도(古都) 중 하나로 꼽힙니다 . 전한(前漢)과 당나라 시기에 장안은 실크로드의 동쪽 기점으로서 국제 교역과 문화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하여 세계적으로도 유명했습니다 . 이러한 역사적 중요성 덕분에 시안은 “중화 민족의 발상지”이자 세계 4대 고대 문명 도시의 하나로도 일컬어집니다.
고대 주나라 문왕 때 시안 지역에 풍경(灃京)과 호경(鎬京)이 세워져 수도가 된 이래, 진시황이 중국을 최초로 통일하면서 수도 함양(咸陽)을 시안 인근에 두고 전국을 통치하였습니다  . 이후 한 고조 유방이 이곳에 장안성을 건설하여 한나라의 수도로 삼았고, 수⋅당 시대에도 대흥성(大興城) 및 장안성으로 불리며 당시 세계 최대 규모 도시로 번영을 누렸습니다. 당나라 시기 장안은 인구 백만이 넘는 국제 도시였고, 중앙아시아와 유럽까지 연결되는 비단길의 시발점으로서 “천하의 도시”로 불릴 정도로 위세를 떨쳤습니다. 이러한 역사로 인해 시안에는 오늘날까지도 당대(唐代)의 대안탑(大雁塔)과 명대에 축조된 고성벽 등 수많은 문화유산이 남아 있습니다.
시안 교외 린퉁(臨潼)에 있는 진시황 병마용(兵馬俑) 1호갱 발굴현장의 전경. 진시황릉 부근에 묻혀 있던 수천 개의 테라코타 병사·전차상이 1974년 처음 발견되어 세계적인 고고학 유산으로 평가된다. 시안의 대표적인 역사적 유산으로는 진시황릉과 병마용을 들 수 있습니다. 시안 시내에서 동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린퉁 지역에 위치한 진시황(기원전 3세기 진나라 시황제)의 능묘 지하에는 실물 크기의 테라코타 군대인 병마용이 매장되어 있었는데, 이는 1974년 우물을 파던 현지 농부들에 의해 우연히 일부가 발견되면서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 이후 수 년간의 발굴로 수천 기에 달하는 무장 병사와 마차·전마 토용들이 세 개의 갱에서 출토되어 전세계에 충격을 주었으며, 진시황의 유적과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 이 병마용 갱은 살아 있는 병사가 아닌 토용 군대를 묻어 황제를 사후에도 호위하고자 했던 진시황의 장대한 규모의 장례 문화유산으로 평가받습니다. 그 밖에도 시안에는 한나라 황제들의 무덤에서 출토된 여러 토용 인형들과 당대 궁전인 대명궁 유적, 당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가 전해지는 화칭지(華清池) 온천 등 수많은 역사 유적지가 분포해 있습니다. 명나라 시대 축조되어 현재까지 완벽에 가깝게 남아 있는 시안 고성 성벽도 유명한데, 둘레 약 13.7km, 높이 12m에 이르는 이 성벽은 중국에서 가장 잘 보존된 성벽 중 하나로서 도시의 랜드마크가 되고 있습니다  .
시안은 근현대사에서도 중요한 무대가 되었습니다. 1936년 12월, 국민당 장제스(蔣介石)가 이곳에서 중국 공산군 토벌을 지휘하던 중, 장쉐량(張學良) 장군 등에 의해 감금되어 시안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공산당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고 제2차 국공 합작(항일 민족통일전선)이 이루어져, 일본에 맞선 항일 전쟁에 국공 양당이 협력하는 전환점이 마련되었습니다 . 이후 중일전쟁과 국공내전을 거치며 시안은 전략적 후방 도시로 기능하였고, 1949년 5월에 공산당 인민해방군이 시안을 접수하여 신중국의 통치하에 들어갔습니다. 마오쩌둥 시대에는 제3차 경제건설의 일환으로 시안이 중공업과 국방 공업의 거점으로 선정되어 내륙 산업 발전이 촉진되었으며 ,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현대 시안은 서북지역 최대의 산업·과학 도시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3. 안보 (Security)
역사적으로 시안이 자리한 관중 평원은 사방이 산악과 하천으로 둘러싸여 “금성천리(金城千里)”라 불릴 만큼 천혜의 요새 지형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 실제로 한나라 건국 당시 책사 장량(張良)은 “관중 지역은 동쪽으로 소산(崤山)과 함곡관(函谷關)을 두르고, 서쪽으로는 융주(陇州)와 촉(蜀)과 연결되어 있어 철옹성과 같으며 하늘이 내린 곡창지대”라고 칭송하며 수도 입지로 추천하였고, 이는 이후 수많은 왕조가 시안을 중심으로 서북 내륙에서 기반을 다진 역사적 배경이 되었습니다 . 이러한 지리적 이점은 군사적 측면에서도 반영되어, 시안은 외세의 침략과 전란 속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후방으로 기능하며 중국 통일 왕조들의 핵심 거점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 등으로 동쪽 낙양과 장안을 잃은 당 조정이 한때 장안에 웅거하며 세력을 유지했던 일이나, 국민당 정부가 항일전쟁 시기에 충칭으로 천도하기 전 서안에 주둔하여 서북 방위를 강화한 일 등이 있습니다.
현대 중국에서도 시안과 산시성 일대는 전략적 안보 요충지로 평가받습니다. 1960년대 마오쩌둥 시기에는 만일의 외부 침공에 대비해 중국 내륙에 산업과 국방 인프라를 구축하는 이른바 “3선 건설”이 추진되었는데, 이때 시안에는 항공, 우주, 전자, 방위산업 관련 주요 공장과 연구시설이 대거 건설되었습니다 . 그 결과 오늘날 산시성은 핵·우주항공·항공기·병기·전자·조선 등 6대 국방과학 산업이 집결된 국가 핵심 거점으로 발전하였으며, 연구소·공장·대학이 연계된 완비된 국방 기술 연구·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 시안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은 미사일과 우주발사체, 위성 기술, 항공기와 군용 전자장비 개발 등 첨단 무기체계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어 중국 국방력의 심장부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 실제로 시안과 그 주변에는 중국 군수산업의 굵직한 기업과 기관들이 포진해 있는데, 예를 들어 시안 항공기공사(西安飛機工廠)는 중국 공군의 주력 폭격기인 H-6와 대형 수송기 Y-20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시안 위성측정통제센터(XSCC, 26기지)와 같은 우주 관제 시설이 시안에 위치하여 중국 위성·우주선의 추적, 텔레메트리, 제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시안 위성측정통제센터는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 소속으로 중국 우주발사 및 위성운영의 핵심 관제소 역할을 하며, 1970년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동방홍 1호 발사 시부터 위성 추적과 제어를 담당해 온 유서 깊은 기지입니다  .
이처럼 시안은 산업적으로도 군民융합의 거점으로 발전하여, 시안의 첨단 과학단지들은 군사 기술을 민수에 응용하고 민간의 혁신을 군사에 도입하는 군민 융합 정책의 선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예컨대 시안 남부의 시안 국가민용항천산업기지와 서부의 시안 병기산업기지 등 여러 국방 첨단 산업단지가 구축되어 항공우주, 전자정보, 신소재, 인공지능 등 분야의 기업과 연구소를 집약하고 있습니다 . 2025년에는 시안에서 첨단제조 및 국방과학기술 산업박람회가 개최되어, 드론·반도체·우주항공 등 분야의 최신 기술 제품을 대거 선보이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시안이 단순한 방산 공장 지대를 넘어 첨단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종합하면 시안은 지정학적으로 중국 서북부의 관문이자, 국방과 기술 산업이 융합된 안보 전략 도시로서의 중요성을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4. 교육 (Education)
시안은 북경, 상해 등에 버금가는 중국 서부 최대의 교육 및 과학연구 중심지입니다. 오랜 역사 속에 축적된 문화 기반과 현대적인 과학 정책이 결합되어, 시안에는 수많은 우수 대학과 연구 기관들이 밀집해 있습니다. 현재 시안에는 49개의 고등교육 기관이 있으며, 이들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수는 약 63만 2천 명에 달합니다  . 대학원 수준의 연구생 과정도 활발하여, 석사·박사 과정 대학원생만 약 18만 7천 명이 재학(2023년 기준)하고 있습니다 . 이는 시안 시의 상주 인구 1,300만 명 중 10% 이상이 대학 또는 그 이상의 교육을 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성인 인구 대비 **고등교육 이수 비율 10.92%**로 이 수치는 중국 주요 도시 중 1위에 해당합니다 . 매년 시안 지역 대학에서 배출되는 석·박사 졸업자 수만 1만 명 이상으로, 이러한 풍부한 인재 풀은 지역의 혁신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시안에는 중국 최고 수준의 명문 대학들이 다수 포진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공과대학 계열의 시안교통대학(西安交通大学)과 서북공업대학(西北工業大学)은 나란히 중국 C9나 985공정 등 최상위권 대학으로 손꼽히며, 공학·과학 연구에서 세계적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종합대학인 서북대학(西北大学), 정보통신 특성화 대학인 시안전자과학기술대학(西安电子科技大学), 교통·토목 특화의 장안대학(长安大学), 사범 교육의 거점인 섬서사범대학(陕西师范大学), 국방의학 분야의 공군군의대학 등이 있어 시안에는 무려 7개의 대학이 중국 정부의 “쌍일류(世界一流大学 및 일류학과)” 건설 대학 명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러한 쌍일류 대학 수로 보면 시안은 광저우, 우한, 청두 등과 함께 전국 4위권에 해당할 정도로 교육 자원이 풍부합니다 . 특히 시안교통대학은 중국 서부 지역 발전을 위해 1956년 상하이에서 시안으로 옮겨온 이래, 공학·의학·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서북공업대학은 항공우주·해양공학·재료 분야에서 강점을 지니며 국방 분야 연구도 선도하고 있고, 시안전자과기대학은 정보통신 및 사이버 보안 분야 인재를 육성하는 등 각 학교들이 특성화된 강점을 보입니다.
시안의 과학기술 연구 역량도 중국 최고 수준입니다. 네이처 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시안은 연구 논문 산출 기준으로 세계 Top 20 도시 안에 들 정도로 활발한 과학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시안 소재 대학들과 중국과학원 산하 연구소 등을 합치면 시안에는 3000여 개의 각종 과학 연구기관과 661개의 독립 연구소가 있으며, 국가중점실험실 및 국가공정기술센터도 40여 개 이상 위치합니다 . 중국과학원 및 공정원 원사(院士) 45인이 시안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고, 해마다 수천 건의 특허와 학술 성과가 이 도시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 최근에는 시안시가 추진하는 산학연계 혁신 전략의 일환으로, 대학들이 새로운 캠퍼스와 과학단지를 확충하는 움직임도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시안교통대학은 인근 시씬신구(西咸新区)와 손잡고 최첨단 연구단지인 중국 서부 혁신항(科技创新港)을 건설하여 대학 연구성과의 산업화와 스타트업 지원을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 서북공업대학 등 다른 대학들도 시안 교외에 연구센터와 창업단지를 조성하며 지역 산업과 연계한 교육 혁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시안은 교육·인재 도시로서 서부 개발을 선도하고, 풍부한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첨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5. 경제 (Economy)
시안은 중국 서부 지역의 경제 중심지로, 전통 산업과 신흥 첨단산업, 관광산업이 조화를 이루는 종합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2023년 시안의 지역 총생산(GDP)은 약 1조 201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2% 성장하였는데, 이는 전국 평균을 웃도는 수준으로 팬데믹 이후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인 것입니다 . 1차 산업(농림어업)은 GDP의 2.7%를 차지했고, 2차 산업(공업 및 건설)이 34.5%, 3차 산업(서비스업)이 62.8%를 차지하여 서비스 산업이 경제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산업별로는 장비 제조, 전자정보, 자동차, 항공우주 등의 제조업과 금융, 관광, 물류 등의 서비스업이 고르게 발달해 있습니다. 2023년 말 기준 시안의 1인당 GDP는 약 92,128위안(한화 약 1,650만원) 수준까지 상승하여 중진국 이상의 소득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산업 구조를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시안은 석유화학, 기계, 방직, 군수공업 등의 기반이 탄탄한 공업 도시였으며 개혁개방 이후에는 전자통신, 자동차 제조, 관광 서비스가 급성장해 왔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반도체, 항공우주, 신에너지차, 바이오의약 등 첨단 기술 산업이 지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시안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시안에는 국가급 하이테크 기업만 12,500개 이상이 활동 중이며, 연간 발명 특허 출원·승인 건수도 5만 건을 돌파하여 중국 혁신도시로서의 위상을 보여줍니다 . 특히 전자정보 산업에서는 세계적인 기업의 투자가 이루어졌는데, 대표적으로 한국 삼성전자가 2012년 약 100억 달러를 투자해 시안 고신기술산업개발구에 대규모 반도체 메모리 공장을 건설하였습니다 . 이 프로젝트는 삼성전자 역사상 최대 해외 투자이자, 중국 전자산업 분야에서도 개혁개방 이래 최대 규모의 외국인 투자로 기록되었습니다 . 이후 삼성은 2017년 추가로 70억 달러를 투입해 2기 생산라인을 증설하였고, 그 결과 2017년 한 해에만 삼성 시안공장이 창출한 수출입액이 611억 위안에 달해 시안 전체 무역총액의 22.5%를 차지할 정도로 지역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 또한 삼성의 진출로 100여 개의 관련 부품 협력사가 시안에 따라 들어서 약 1,000억 위안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부가효과도 나타났습니다 . 이러한 외국인 투자 유치 노력의 결과로, 2023년 현재 시안에는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중 253개사가 지사나 공장을 설립하였으며 , 2023년 한 해에만 신규 외국인투자 기업 309개가 설립되고 실제 외자 이용액이 12.53억 달러로 전년보다 13.7% 증가하는 등 대외 개방도 활발합니다 .
시안의 제조업 분야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약진이 두드러집니다.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인 BYD는 시안에 연간 150만 대 생산 능력을 갖춘 초대형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공장은 2024년 BYD 그룹 내에서 처음으로 연간 100만 대 이상의 자동차를 생산한 기지가 되었습니다  . 시안은 BYD의 핵심 생산 거점으로, 2022년 시안에서 생산된 신에너지차(전기차 등) 총 102만 대 중 98%에 해당하는 약 99.5만 대를 BYD 한 회사가 생산하였을 정도입니다 . 이러한 전기차 생산 붐과 함께 관련 부품 산업, 배터리 산업도 성장하여 시안은 중국 서부의 미래차 산업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항공우주 제조(위성, 항공기 부품 등), 전자 통신 장비, 신소재 산업에서도 시안은 산시성의 풍부한 과학기술 인력과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시안의 하이테크 산업은 시안 남부의 하이테크산업개발구와 서부의 경제기술개발구 등을 중심으로 집적되어 있으며, 이들 단지는 국가級 반도체 산업기지, 소프트웨어 단지, AI·빅데이터 단지 등으로 지정되어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한편, 관광산업은 시안 경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 분야입니다. 시안은 진시황릉과 병마용을 비롯하여 다수의 세계적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은 물론 전 세계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입니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시안 방문객 수는 연 3억 명을 넘었고 , 코로나19로 주춤했던 관광은 2023년에 빠른 회복세를 보여 국내외 관광객 2억7800만 명을 유치하며 전년 대비 33.1% 증가하였습니다 . 이에 따라 관광 수입도 약 3,350억 위안을 올려 무려 65.0%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 관광 수입 규모는 시안 GDP의 4분의 1 이상에 달할 정도로 지역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며, 호텔·요식·소매·교통 등 연관 서비스업에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습니다. 시안시는 이러한 문화 관광 자원을 활용하여 “역사문화 국제관광도시”로의 브랜딩을 추진하고 있으며, 야간 경관 조성, 페스티벌 개최, 스마트 관광 플랫폼 도입 등으로 관광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3년 시안은 관광업의 강력한 반등과 함께 사회소비 판매액도 전년 대비 3.7% 증가하여 4,812억 위안에 달했고 , 특히 요식업 소비가 18% 급증하는 등 내수 진작에도 관광이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시안은 또한 물류 및 교통의 허브로서 “일대일로(一帶一路)” 이니셔티브의 핵심 거점 중 하나입니다. 지리적으로 중국 본토 중앙에 위치한 시안은 동서남북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해 왔으며, 현대에는 고속철도, 고속도로, 국제공항이 모두 모이는 종합 교통망의 중심지입니다 . 특히 시안은 중앙아시아·유럽을 잇는 신유라시아 랜드브리지 경제회랑의 시발점으로서, 중국~유럽 간 국제 화물열차 노선인 “창안호(長安號)“가 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한 해 동안 창안호 국제열차는 5,351편이 왕복하여 전년 대비 15.3% 증가했으며, 약 464만 8천 톤에 이르는 화물을 운송함으로써 전년 대비 물동량도 12.9% 증가했습니다 . 이 노선을 통해 시안은 중앙아시아와 유럽 40여 개 도시와 물류로 연결되어 중국 내륙 수출입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안은 중국 정부의 서부대개발 전략 하에 서안항공경제권 건설, 국제무역물류단지 조성 등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향후 서북지역의 비즈니스 중심지로 도약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종합 평가: 시안은 천년 고도의 유산을 간직하면서도 첨단 과학기술과 교육, 산업이 어우러진 다면적 발전 도시입니다.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와 풍부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시안은 중국 내륙의 경제 성장 거점이자 국방 과학의 요람으로서 그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습니다. 역사문화 관광, 첨단 제조와 연구개발, 물류 허브 기능까지 갖춘 시안은 앞으로도 서부 중국 발전과 일대일로 구상의 핵심 축으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통계 지표 (2023년 기준):
• 인구: 약 1,307.8만 명 (상주인구) , 도시화율 79.9%
• GDP: 1조 2011억 위안 (성장률 +5.2%) ; 1인당 GDP 9.21만 위안 
• 산업구조: 1차 2.7% / 2차 34.5% / 3차 62.8% 
• 관광: 방문객 2.78억 명, 관광수입 3,350억 위안 (+65.0%) 
• 무역: 수출입 총액 3,598억 위안 (대“一带一路” 연선국 교역 +16.4%) 
• 외자: 글로벌 500대 기업 253개 진출, 신규 FDI 기업 309개, 외자유치 12.53억 달러 
• 교육: 대학 63개교, 재학생 84.68만 명; 대학원생 18.75만 명 ; 쌍일류대학 7개교 
자료 출처: 산시성 통계연감    , 시안시 통계공보   등 최신 자료 인용.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후쿠오카 4박5일 11월 여행 일정 추천 (0) | 2025.10.26 |
|---|---|
| 東大門スパレックス観光ガイド(Dongdaemun SPAREX) (0) | 2025.10.22 |
| レンズを通して見るソウルの心臓部:東大門・清渓川 究極の撮影スポットガイド (0) | 2025.10.21 |
| 3박 4일 후지노미야 여행 일정 추천 (0) | 2025.10.21 |
| 서해 노을에 물든 화개정원과 교동도의 가을 (0) | 202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