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와 정치

헌법재판관 경상도 출신 명단 정리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4. 4.
반응형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헌법 수호와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핵심 기관으로, 그 구성원인 재판관들의 출신 지역은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반영합니다. 특히 경상도 지역은 역사적으로 많은 법조인을 배출하였으며, 현재 헌법재판소에서도 경상도 출신 재판관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경상도 출신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상세한 프로필입니다.




1. 문형배 재판관
• 출생: 1966년 2월 11일
• 출신지: 경상남도 진주
• 학력:
• 진주 대아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 졸업
• 주요 경력:
• 1992년 부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이후, 부산고등법원 판사, 창원지방법원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며 주로 부산과 창원 지역에서 법관으로 활동하였습니다. 
• 2016년 부산가정법원장을 지냈으며, 2018년 부산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로 재직 중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역임하며 진보 성향의 법관 모임에서 활동하였습니다. 
• 특이 사항:
• 2023년 이종석 전 헌재소장 퇴임 이후, 최선임 재판관으로서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맡아 헌재를 이끌고 있습니다. 



2. 이미선 재판관
• 출생: 1970년 1월 18일
• 출신지: 부산광역시
• 학력:
• 부산 학산여자고등학교 졸업
• 부산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 부산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 졸업 
• 주요 경력:
• 1997년 서울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이후, 청주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 대전고등법원 등에서 판사로 근무하였습니다.
• 2010년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내며 노동법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았습니다. 
• 2017년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를 역임한 후, 2019년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 특이 사항:
• 임명 당시 역대 최연소 헌법재판관으로 주목받았으며, 국제인권법연구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등 인권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습니다. 



3. 정형식 재판관
• 출생: 1961년 9월 2일
• 출신지: 경상북도
• 학력:
• 서울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졸업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전공 석사과정 수료 
• 주요 경력:
• 1988년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판사로 임관한 이후, 서울가정법원,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등에서 판사로 근무하였습니다.
• 2001년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으며, 이후 청주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행정법원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 2023년 대전고등법원장을 지낸 후, 같은 해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 특이 사항:
• 뚜렷한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며, 고위 법관 출신으로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헌법재판소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4. 김복형 재판관
• 출생: 1968년 5월 5일
• 출신지: 부산광역시
• 학력:
• 부산서여자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 졸업
• 주요 경력:
• 1995년 서울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이후, 울산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로 근무하였습니다.
• 2008년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으며, 이후 대구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 2024년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 특이 사항:
• 다양한 법원에서의 근무 경험과 대법원 재판연구관으로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헌법재판소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