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와 정치

차기 조기 대선 여권 주요 대선주자 총정리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4. 4.
반응형


1. 이준석 (李俊錫, 1985년생 / 39세)

정치 성향: 개혁보수, 합리주의
대표 이미지: 청년 정치, 정치 개혁, 공정

서울 성동구에서 태어나 서울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과 경제학을 복수 전공했다. 원래는 교육과 벤처 분야 전문가로 활동할 예정이었으나, 2011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발탁으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보수 정당에서 젊은 목소리를 대변하며 청년·개혁 이미지를 구축했고, 2021년에는 제1야당 국민의힘의 최연소 당대표로 선출되며 정치적 전환점을 맞았다. 2024년에는 화성시에서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원내 입성에도 성공했다.

주요 키워드: 청년 리더십, 공정 담론, 여성·젠더 이슈 논쟁, 기존 보수에 대한 비판적 시각
정치 스타일: 직설적이고 논리 중심,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 능함



2. 안철수 (安哲秀, 1962년생 / 63세)

정치 성향: 실용 중도, 보수와 진보 아우르는 통합형
대표 이미지: 의사·벤처기업가 출신, 기술 중심 정치

부산 출신으로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및 의대 교수로 재직하던 중,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해 안랩(구 안철수연구소)을 창업했다. 2011년 ‘새 정치’를 슬로건으로 정치권에 등장하여 중도 세력의 대표 인물로 자리잡았다.

2012년 대선 출마를 시도하다가 문재인 후보와 단일화했고, 이후 국민의당 창당, 바른미래당 합류 등 독자적인 정치 세력을 구축해왔다. 대선 3회 출마, 서울시장 보궐선거 등 굵직한 선거 경험이 있으며, 2022년 대선에서는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를 통해 협력했다.

주요 키워드: 새 정치, 실용주의, 과학기술·교육 혁신, 중도 통합
정치 스타일: 온건하고 합리적, 충돌보다는 협의 강조



3. 홍준표 (洪準杓, 1954년생 / 71세)

정치 성향: 강성 보수, 자율과 안보 중시
대표 이미지: 검찰 출신 보수 강경파, 유튜브·직설 화법

경남 창녕 출신으로 고려대 행정학과를 졸업한 후 사법시험을 통해 검사가 되었다. 서울중앙지검 강력부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1996년 정계 입문, 이후 서울 동대문을 중심으로 국회의원 5선을 역임했다.

한나라당 원내대표, 한나라당 대표,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선후보 등 보수 정치의 중추적 인물로 활동해왔다. 2022년 대구시장으로 복귀한 후에도 유튜브 채널과 SNS를 통해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주요 키워드: 강한 보수, 반문재인·반진보, 유머 섞인 돌직구 화법
정치 스타일: 카리스마 있고 직설적, 전통 보수층과의 결속력 높음



4. 유승민 (柳承敏, 1958년생 / 67세)

정치 성향: 개혁보수, 따뜻한 공동체주의
대표 이미지: 경제전문가, 품격 있는 보수

대구 출신으로 경북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다가 2004년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박근혜 정부 시절 원내대표로 당의 정책 중심을 이끌었으나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는 발언을 계기로 갈등을 빚고 탈당, 바른정당을 창당하였다. 2017년 대선 후보로 출마하며 개혁보수의 대표 주자로 자리잡았고, 합리주의와 실용주의, 품격을 중시하는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키워드: 경제정책, 품격·도덕성, 합리적 보수
정치 스타일: 논리적이고 온건, 정책과 철학 중심



5. 한동훈 (韓東勳, 1973년생 / 52세)

정치 성향: 법치 보수, 젊고 세련된 이미지의 강경파
대표 이미지: 검사 출신 엘리트, ‘공정·정의’ 상징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 합격 후 검사로 재직했다.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을 비롯해 주요 특수부서를 맡아 ‘엘리트 특수통’으로 불렸다. 조국 전 장관 수사, 윤석열 총장 시절 핵심 라인 등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2022년 윤석열 정부 초대 법무부 장관으로 입각했다.

정치 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강한 메시지 전달력과 대중적 인지도를 기반으로 짧은 시간 내 야권의 차세대 주자로 부상했다. 2024년에는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을 맡았고, 이후 당대표에도 오른 바 있다.

주요 키워드: 검찰개혁 반대, 공정·정의, 젠틀한 이미지와 단호함의 결합
정치 스타일: 단정하고 논리적이지만 강경한 메시지, 언론·SNS 친화적



대조 요약표

이름 나이 배경 정치 성향 키워드
이준석 39 하버드, 청년 정치 개혁보수 공정, 세대교체, 디지털 정치
안철수 63 의사, 벤처 CEO 실용 중도보수 새 정치, 기술, 통합
홍준표 71 검사 출신 전통 강성보수 직설화법, 지방행정, 대중성
유승민 67 경제학자 출신 개혁 보수 정책중심, 온건 보수, 도덕성
한동훈 52 검사·법무장관 법치주의 보수 공정, 세련된 이미지, 단호한 추진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