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Tech 정보

2025년 2분기 스마트폰 AP 칩셋 시장 순위 및 기업별 동향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10. 27.
반응형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25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칩셋 시장에서는 미디어텍이 37%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고, 퀄컴이 26%로 2위, 애플이 14%로 3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서 유니삭(13%), 삼성(6%), 화웨이(하이실리콘, 4%) 순으로 시장 점유율이 나타났습니다 . 특히 상위 두 업체인 미디어텍과 퀄컴이 전체 시장의 약 63%를 차지하며 과반 이상을 점유했습니다. 이러한 구도 변화의 배경에는 업체별 출하량 증감이 있었는데, 애플은 계절적 비수기로 출하량이 줄어들면서 점유율이 소폭 하락한 반면 , 유니삭은 저가형 LTE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선전에 힘입어 출하량을 늘리며 점유율을 끌어올렸습니다 .

2025년 2분기 주요 AP 업체별 실적 하이라이트

1. 미디어텍(MediaTek)

37%의 점유율로 1위를 유지했습니다 . 프리미엄 및 중저가 부문 수요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전체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감소했으나, 새로운 Dimensity 8350/8400 칩의 다수 설계 승인을 확보한 덕분에 Dimensity 8000 시리즈 출하량은 증가했습니다 .

2. 퀄컴(Qualcomm)

26%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 그러나 프리미엄 부문에서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시리즈의 성장 둔화와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의 수요 약세로 인해 2025년 2분기 전체 출하량은 전분기보다 감소했습니다. 반면, 신규 중급형 칩셋인 스냅드래곤 7 4세대와 기존 7 3세대 모델의 출하 증가로 스냅드래곤 700 시리즈 물량은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

3. 애플(Apple)

14%의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 . 다만 아이폰 판매가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주춤하면서 칩셋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4. 유니soc(UNISOC)

13%의 점유율로 4위를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출하량이 증가했습니다  . LTE 제품군을 앞세워 미화 99달러 이하의 초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했고,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로부터 LTE 칩셋 설계 승인을 다수 확보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샤오미의 Redmi A5 4G 시리즈에 칩셋을 공급하며 추가 주문을 따내는 등 저가형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습니다 .

5. 삼성(Samsung)

6%의 점유율로 5위를 유지했습니다 . 2025년 2분기 엑시노스(Exynos) 칩셋 출하량은 전분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는데 , 중급 모델인 갤럭시 A56(엑시노스 1580 탑재)과 갤럭시 A26(엑시노스 1380 탑재)의 안정적인 판매가 이러한 출하량 유지의 주요 배경이 되었습니다 .

6. 화웨이(Huawei, 하이실리콘)

4%의 점유율로 6위를 기록했으며 ,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습니다 . 중국 내 탄탄한 브랜드 충성도를 바탕으로 노바 14 시리즈와 퓨라(Pura) 80 시리즈 등의 신모델 출시가 하이실리콘 칩셋 출하량 증가를 견인하며, 자국 시장 중심으로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