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MWC 2025에 방문하였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전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여 최첨단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는 가운데, 특히 화웨이(Huawei) 부스는 “Accelerating the Intelligent World”라는 거대한 슬로건 아래 AI, 초광대역(UBB), 클라우드,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 기술을 대규모로 전시하여 많은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화웨이 부스의 전반적인 디자인, 주요 전시 프로그램, 체험 내용, 그리고 현장에서 느낀 개인적인 인상을 중심으로 10,000자에 육박할 정도로 상세하게 소개해 드립니다.
1. 부스 전반적인 디자인과 분위기
1.1 웅장한 입구와 “Accelerating the Intelligent World” 슬로건

화웨이 부스는 전시장 입구에서부터 거대한 규모와 화려한 조명으로 단연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Accelerating the Intelligent World”**라는 대형 간판이 천장에 매달려 있었고, 그 아래로 수많은 LED 조명들이 은하수를 연상시키듯 빛나면서 부스 전체에 미래지향적인 분위기를 자아냈습니다. 부스 내부는 크게 여러 섹션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모든 섹션이 하나의 거대한 테마 아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방문객들은 자연스럽게 부스 곳곳을 돌아다니며 화웨이의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1.2 안내 데스크와 투어 가이드
부스 입구를 지나면 안내 데스크에서 화웨이 직원들이 반갑게 맞아주었습니다. 이들은 주요 전시 내용과 체험 존의 위치, 그리고 데모 시연 스케줄 등을 간단히 설명해 주었습니다. 사전에 예약된 그룹 투어도 진행되고 있었는데, 전문가가 직접 부스를 안내하며 핵심 기술과 신제품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안내 직원들은 모두 기술 이해도가 높았으며, 방문객들의 질문에 빠르게 답변해 주어 전문성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1.3 체험 구역과 동선 구성
부스 내부 동선은 초광대역(UBB) 네트워크, AI 및 클라우드, 스마트 디바이스, 자율주행 데모 등 여러 테마 존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각 존은 서로 다른 색감과 디스플레이 구성을 사용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지능형 세계”라는 큰 틀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벽면과 천장에 배치된 대형 스크린, 그리고 몰입감 높은 음향 시스템은 방문객들이 화웨이 기술을 다차원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습니다.
2. AI Enriching UBB Services – 초광대역 네트워크와 AI의 결합






2.1 첫 번째 사진 속 모습: AI Enriching UBB Services
첫 번째 사진에서는 “AI Enriching UBB Services”라는 간판 아래, 화웨이 직원이 방문객들에게 제품을 시연하고 있는 장면이 담겨 있습니다. 대형 TV 스크린에는 화웨이가 구현하는 초광대역 통신망(UBB)과 AI 기술이 결합된 솔루션 데모 영상이 재생되고 있었습니다. 현장에서 담당자는 UBB 네트워크를 통해 초고속, 초저지연, 고신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AI 알고리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2.2 AI를 활용한 네트워크 최적화 시연
이 체험 존에서는 화웨이가 보유한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을 직접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실시간 트래픽 모니터링과 예측 모델을 통해 각 구간에서의 지연(latency)이나 패킷 손실률을 사전에 감지하고, 네트워크 경로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연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나 통신사가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방문객들은 대형 모니터에 표시되는 네트워크 지표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AI가 통신망 운영에 어떤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지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2.3 산업별 적용 사례 소개
화웨이 담당자는 AI Enriching UBB Services가 통신 분야뿐 아니라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원격 의료,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예컨대,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이 필요한 원격 수술 환경에서 초저지연 네트워크와 AI 예측 모델이 결합하면, 의사와 환자가 위치한 곳이 달라도 실시간 협진이 가능해진다는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이처럼 초광대역 통신과 AI의 결합은 단순히 속도를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산업 전반의 업무 효율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었습니다.
3. 원격 자율주행 데모 – 동관(Dongguan)에서 바르셀로나까지 15,000km를 잇다
3.1 두 번째 사진: 15,000km 원격 자율주행 체험
두 번째 사진은 “Dongguan”과 “Barcelona” 사이의 거리를 15,000km로 표시한 대형 배경 그래픽 앞에서, 방문객들이 원격 주행 시뮬레이터를 체험하는 장면입니다. 이는 화웨이가 강조하는 초저지연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시연 사례로, 중국 동관(Dongguan)에 있는 실제 차량을 바르셀로나 현장에 설치된 모의 운전석에서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다는 컨셉을 보여주었습니다.
3.2 초저지연 통신과 AI 제어 기술
화웨이는 이 시연을 통해 UBB 네트워크와 AI 기반 제어 시스템이 결합된 자율주행 솔루션을 소개하였습니다.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는 스티어링 휠, 페달 등을 실제 차량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대형 디스플레이로 실시간 영상 피드백을 받아 차량을 주행할 수 있었습니다. 지연 시간이 극도로 낮아야만, 15,000km 떨어진 차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시연하며, 향후 6G 시대에 기대되는 초연결, 초저지연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을 직접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3.3 안전성과 확장 가능성
현장 담당자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인프라뿐만 아니라, 보안, 법·제도, 차량 센서 기술 등 다양한 요소가 갖춰져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원격 자율주행 데모가 시사하는 바는 매우 컸습니다. 향후 초연결 사회에서 물류, 교통, 산업용 로봇 등의 영역에서 원격 제어와 자율운행이 폭넓게 도입될 수 있다는 점을 시연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화웨이가 통신 장비 분야를 넘어 지능형 모빌리티 생태계를 주도하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4. 화웨이의 주요 기술 솔루션: AI, 클라우드, 스토리지, 오픈소스 OS
4.1 AI 플랫폼: DeepSeek 시리즈
화웨이는 MWC 2025에서 DeepSeek AI 시리즈를 선보이며, 대규모 AI 모델 트레이닝 및 추론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을 강조하였습니다. DeepSeek V3/R1 67B, Distill-Llama 70B, Ascend + DeepSeek Inference Appliance 등 다양한 AI 모델과 하드웨어 솔루션이 전시되어 있었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O&M(운영·유지보수), 오피스 자동화, 고객 서비스 등에 AI를 적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하였습니다. 담당자는 화웨이가 **자체 반도체 및 AI 칩(Ascend 시리즈)**을 보유하고 있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일괄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는 점이 큰 강점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4.2 클라우드·스토리지: OceanStor Pacific 9928
화웨이는 대규모 데이터 저장과 분석을 위한 스토리지 솔루션인 OceanStor Pacific 9928도 전시하였습니다. 모듈형 냉각 및 확장 설계를 통해 HPC, AI 학습, 클라우드 백엔드 등 고성능·대용량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점을 강조하였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에너지 절감 기능을 결합해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음을 시연하였습니다. 실제 부스 한편에는 내부 모듈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전시물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스토리지 설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냉각 효율은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4.3 오픈소스 OS: openEuler 및 Kunpeng 컴퓨팅
화웨이는 오픈소스 OS인 openEuler 기반의 글로벌 에코시스템을 강조하며, Kunpeng 서버 플랫폼 위에서 BSS(과금), OSS(운영), AI 모델 추론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습을 선보였습니다. 이는 통신사나 기업 고객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현장에서는 실제 서버 랙과 애플리케이션 데모를 통해 openEuler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최적화·운영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담당자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성화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openEuler 생태계를 더욱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5. 부스 내 다양한 시연 프로그램 및 체험 이벤트
5.1 실시간 AI 시연과 인사이트 공유
부스 곳곳에서 진행되는 실시간 AI 시연은 많은 방문객들의 발길을 붙잡았습니다. DeepSeek AI가 네트워크 O&M에 적용되는 예시나, 오피스 업무 자동화 시연 등은 모두 현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화웨이의 기술 임원진과 엔지니어들이 작은 세미나 형태로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AI·클라우드·네트워크의 통합 방향과 시장 전망을 설명하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5.2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존
한편,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존에서는 화웨이가 제공하는 기업용 클라우드·보안·데이터 분석 솔루션들이 전시되었습니다. 기업 고객 입장에서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 업무 자동화, 그리고 글로벌 분산 인프라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 과제를 화웨이 솔루션으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제조업 분야의 스마트 공장 구축 사례나 금융권의 실시간 분석 사례 등이 소개되었습니다.
5.3 체험 이벤트와 기념품
화웨이는 방문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QR 코드 스탬프 투어 같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부스 내 주요 존을 돌며 QR 코드를 스캔하면 AI 기술 관련 퀴즈가 제공되었고, 이를 모두 완료하면 기념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원격 자율주행 데모를 직접 시도해 보는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되어, 사전에 예약한 일부 방문객들은 짧은 시간이나마 실제 운전석에 앉아 동관에 있는 차량을 조종해 보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6. 부스 디자인의 디테일과 전체적인 인상
6.1 세련된 조명과 대형 디스플레이
화웨이 부스는 전반적으로 차분한 톤의 컬러와 미래지향적 조명, 그리고 군데군데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었습니다. 부스 중앙 상단에 설치된 LED 라이트들은 은은하게 깜빡이며, 화웨이 로고와 “Accelerating the Intelligent World”라는 문구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시각적 효과 덕분에 방문객들은 기술 전시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졌고, 부스를 둘러보는 내내 일관성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6.2 몰입형 사운드 환경
여러 데모 존에서는 설명 영상이나 AI 시연 장면을 보다 실감나게 전달하기 위해 몰입형 사운드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예컨대 원격 자율주행 존에서는 차량의 엔진 소리와 도로 소음을 적절히 재현하여, 사용자가 마치 실제 운전에 참여하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각 존 간에 소리가 겹치지 않도록 공간 배치를 세심하게 고려한 점도 눈에 띄었습니다.
6.3 방문객 동선과 편의성
화웨이 부스는 매우 넓은 공간을 활용하고 있었음에도, 방문객 동선이 복잡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안내 표지판과 진행 요원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원하는 전시 구역을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곳곳에 휴게 공간과 간단한 음료를 즐길 수 있는 바(Bar) 형태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긴 시간 동안 부스를 둘러봐도 피로감을 덜 수 있었습니다.
7. 종합 소감: AI와 초광대역으로 가속화되는 지능형 세계
화웨이 부스 방문을 통해 가장 크게 느낀 점은, **AI와 초광대역(UBB)**이 결합하여 우리의 삶과 산업 전반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했다는 것입니다. 원격 자율주행 데모는 단순한 쇼맨십이 아니라, 실제 상용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시연으로 보였고, AI Enriching UBB Services 코너에서는 네트워크 운영의 효율과 안정성을 한층 끌어올리는 다양한 솔루션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DeepSeek AI 시리즈, OceanStor Pacific 9928 스토리지, openEuler 기반 생태계 등은 화웨이가 통신 장비 제조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클라우드·AI·오픈소스를 아우르는 종합 ICT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Accelerating the Intelligent World”라는 슬로건은 그저 상징적 구호가 아니라, 실제 제품과 솔루션 전반에 걸쳐 구현된 구체적 전략이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8. 결론 및 향후 전망
올해 MWC 2025에서 화웨이는 방대한 부스 규모와 수준 높은 시연 프로그램으로, AI와 초광대역 네트워크가 결합된 미래 지능형 세계의 가능성을 선명하게 제시하였습니다. 초저지연·고신뢰성 네트워크가 가져올 자율주행, 원격 의료, 스마트 시티 등의 잠재력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예측하고 있는 부분이지만, 화웨이 부스에서 이를 직접 체험해 보니 그 실현 가능성이 더욱 가깝게 다가왔습니다.
물론, 이러한 기술들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보안, 제도, 표준화 등 많은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화웨이가 보여준 원격 자율주행 데모나 AI 네트워크 최적화 솔루션은, 향후 6G 시대에 접어들었을 때 우리가 누리게 될 초연결 사회의 구체적 모습에 대한 중요한 힌트를 주었습니다. 통신 장비·네트워크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화웨이가 앞으로도 AI·클라우드·오픈소스 생태계를 어떻게 확장해 나갈지 매우 기대됩니다.
결과적으로, 화웨이 부스 방문은 단순한 전시 관람을 넘어 기술 혁신과 미래 생활상의 변화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Accelerating the Intelligent World”라는 슬로건 아래, AI와 초광대역 통신이 결합하여 만들어 낼 새로운 지능형 사회의 모습을 미리 만나본 느낌이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화웨이가 추구하는 기술 비전과 글로벌 ICT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다시금 체감하였고, 미래 사회가 한층 빠른 속도로 변화해 갈 것임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이상으로 MWC 2025에서 체험한 화웨이 부스 후기를 마칩니다. 이번 글은 약 10,000자 분량으로, 부스 디자인, 주요 기술 솔루션, 원격 자율주행 데모, AI Enriching UBB Services, 스토리지 및 오픈소스 OS 전시 등을 총망라하여 자세히 소개하였습니다. 이 후기가 AI·클라우드·통신 네트워크가 결합된 미래 사회의 모습과 화웨이의 기술 역량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저는 다양한 글로벌 ICT 행사와 기업 부스를 직접 취재·체험하며, 새로운 기술과 혁신이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Tech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WC2025 zte 부스 개요 방문 후기 강점 (0) | 2025.03.06 |
---|---|
Mec2025 차이나모바일 개요 주요 사업 방문후기 (0) | 2025.03.06 |
MWC2025 샤오미 부스 후기 : 샤오미 15 ultra 라이카 하이퍼 os (0) | 2025.03.06 |
MWC2025 skt 부스소개 aidc aicc (0) | 2025.03.05 |
MWC2025 lg전자의 유니트리 휴머노이드 구입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