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Tech 정보

Mec2025 차이나모바일 개요 주요 사업 방문후기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3. 6.
반응형

아래 글은 MWC 2025 현장에서 확인한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 부스 전시 내용을 기반으로 한 후기입니다. 현장에서 촬영된 여러 장의 사진을 바탕으로, 차이나 모바일이 제시한 주요 기술·서비스를 하나씩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5G-Advanced, AI 대형 모델(JIUTIAN), 무원(無源) IoT, Beidou 위성 시스템, 산업용 AI 안전관리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차이나 모바일이 어떠한 혁신을 보여주었는지 자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차이나 모바일 부스의 전반적인 분위기

MWC 2025는 세계 최대 규모의 모바일·통신 박람회로,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통신 인프라뿐 아니라 AI, IoT, 클라우드, 위성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된 기술 역량을 부스 전반에 걸쳐 강조하였습니다.
• 거대한 LED 스크린: 부스 메인 스테이지에는 지구(지구본) 이미지를 크게 투사해, 차이나 모바일의 글로벌 확장성과 ‘연결의 가치’를 상징적으로 표현했습니다.
• AI, 5G, Industry 키워드**: 부스 곳곳에 “AI+”, “5G-A”, “Smart and Lightweight Terminal” 등 차이나 모바일이 주력하는 미래 기술과 산업 협업 솔루션을 한눈에 볼 수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부스 전체가 “차세대 이동통신과 AI가 결합해 산업 전반을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관람객들에게 통합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있었습니다.

2. China Mobile “JIUTIAN Large Models” – 산업 특화 대형 모델

가장 먼저 눈길을 끈 것은 “China Mobile JIUTIAN Large Models” 전시 존이었습니다. 대형 디스플레이에는 “Language Model, DeepThinking Model, Speech Model, Vision Model, MultiModal Model” 등 다양한 AI 모델 구성이 소개되었습니다.

2.1 JIUTIAN 모델의 특징
• 산업별 요구 사항에 특화: 단순한 범용 AI 모델이 아닌, 통신·제조·에너지·교통·광고 등 각 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세분화하여 제공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128K 초장문맥(Context) 처리: 최대 128K에 달하는 긴 문맥을 이해할 수 있어, 방대한 문서나 로그 데이터 등을 한 번에 분석하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 멀티모달(MultiModal) 처리: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이미지·영상 등을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예컨대 음성 입력→이미지 생성 혹은 텍스트 분석→영상 요약 등 복합적 AI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2.2 적용 시나리오
• 통신사 운영: 네트워크 운용·장애 진단 등에 AI 분석을 접목하여, 장애 예측 및 자동 복구가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 기업 업무 자동화: 기업 내부 문서를 빠르게 분석하고, 음성·이미지를 자동 분류·태깅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높이는 등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습니다.
• 고객 서비스: 고객 문의에 대해 JIUTIAN 모델이 실시간 응대하거나, 음성 인식을 통해 고객의 의도를 분석해 자동화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AI Phone & “Smart and Lightweight New Terminal”

다음으로 주목할 만한 전시는 AI Phone과 Smart and Lightweight New Terminal 섹션이었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이 직접 스마트폰을 생산한다기보다, 여러 파트너사(예: ZTE, 퀄컴, 유니SOC 등)와 협력하여 새로운 폼팩터나 AI 기능을 강화한 단말기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였습니다.

3.1 AI Phone
• 3D 음성 변환: 발표 자료에는 음성·언어 변환 기술이 소개되어, 사용자가 한 언어로 말하면 AI가 실시간으로 다른 언어·음성 톤으로 바꿔주는 시연이 이뤄졌습니다.
• AI 비서·보조: 음성 명령만으로 앱 실행, 정보 검색, 메시지 작성 등이 가능하며, 24시간 대기 모드를 통해 항상 사용자 요구에 즉각 반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강조했습니다.
• ZTE 등 파트너 협업: 화면 하단에는 ZTE 로고를 비롯해 여러 제조사 로고가 보여,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통합된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의도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3.2 Smart and Lightweight New Terminal
• Chips 5+ / Modules 15+ / Terminal 100+: 퀄컴(Qualcomm), UNISOC, BliuWave 등 다양한 칩셋·모듈 업체, 그리고 100종 이상의 단말기 생태계를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 적용 사례: 스마트 글래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형 IoT 기기 등이 언급되었으며, eRedCap(저전력 5G 기술) 등을 활용해 소형화·경량화된 5G 단말을 대량 보급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4. 무원(無源) IoT: RFID 한계를 넘어서는 자동화 네트워크

**“무원물联网: 从单点识别到泛在感知”**라는 슬라이드에서는, 전통적인 RFID 기반 작업이 **‘단일 지점 식별’**에 머무르는 반면, 무원(無源) IoT는 대규모 네트워킹, 해당 태그의 위치 추적, 자동화 운영 등을 가능케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RFID vs. 무원 IoT
• RFID: 독립된 리더기에서 근접 거리의 태그를 수동으로 스캔해야 함(인력 소모, 거리 제한).
• 무원 IoT: 태그가 별도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기지국이나 분산 노드가 전파를 ‘트리거(激励)’로 쏘아주고, 태그가 업링크로 데이터를 보냄.
• 적용 분야: 대형 물류창고, 제조 라인, 자산 관리, 재고 추적 등 광범위한 자동화가 가능해짐.
• 장점: 저비용·쉬운 배치·유지보수 불필요(무원 태그이므로 배터리 교체 X), 실시간 위치 추적과 데이터 수집.

5. Smart Cockpit: 자동차 기업·차량 소유자·정부를 연결하다

“Smart Cockpit: Empowering Automobile Enterprises with Intelligent Production, Vehicle Owners with Smart Travel, and Governments with Digital Governance”라는 전시는, 차이나 모바일이 자동차 산업과 정부·개인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인상적이었습니다.
• People-Vehicle-Home Centralized Operation Platform: 하나의 계정 시스템을 통해, 개인·가정·차량 정보를 통합 관리. 예컨대, 차에서 집의 IoT 기기를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자동으로 보험사·정부 기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 Connected Mobile Architecture: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스마트폰,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동해, 차량용 앱·결제·네비게이션 등을 통합 제공.
• 정부와 디지털 거버넌스: 교통 관리, 도로 안전, 공공 서비스 등에서 차량 데이터와 연동해 교통 흐름 최적화, 안전 감독 강화 등의 시나리오가 제시되었습니다.

6. 5G + Beidou: 정밀 위치 추적 시대

**“5G + Beidou | Rough to Precise, 2D to 3D”**라는 슬라이드는, 전통적 항해 방식(별자리, 나침반)에서 GPS/글로나스/갈릴레오/베이더우(北斗) 등 글로벌 위성항법시스템(GNSS)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5G 통신망과 Beidou를 결합해 cm(센티미터) 단위의 정밀 위치 파악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Digital Age: 5G 기지국이 RTK(Real-Time Kinematic) 보정 신호를 제공하거나, ‘참조 스테이션(Reference Station)’을 운영하여, 기존 GNSS의 오차 범위를 크게 줄인다는 개념입니다.
• 활용 사례: 자율주행(차선 변경 시 cm급 오차 허용), 드론 물류 배송, 항만·공항의 무인 운송, 농업 자동화(정밀 파종·수확) 등에서 혁신적인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7. AI + Industrial Surveillance: 광산 안전을 위한 지능형 감독

마지막으로, “AI + Industrial Surveillance Ensures Safe Production in Mines” 전시에서는 차이나 모바일의 AI가 광산 안전 분야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보여주었습니다.
• JIUTIAN Large Model 기반 안전 감독: BRICS Industrial Innovation Contest에서 Gold Award를 수상했다는 문구가 눈에 띄었습니다.
• 멀티모달 감지·판단: 광산 내 카메라·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영상을 AI가 분석해, 위험 요소(붕괴 가능, 가스 누출, 장비 이상 등)를 실시간 예측·경고합니다.
• Benchmark Case: 실제 적용 사례에서 사고율을 크게 줄였고, 인력을 현장에 상주시켜야 하는 부담도 완화되었다고 합니다.

8. 종합 평가: 차세대 통신과 AI 융합의 청사진

차이나 모바일은 이번 MWC 2025에서 **“5G-Advanced + AI + 산업별 솔루션”**을 중심축으로 삼아, 폭넓은 기술 포트폴리오와 적용 사례를 선보였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포인트가 돋보였습니다.
1. AI 대형 모델(JIUTIAN)을 통한 산업 지능화
• 단순히 ‘챗봇’ 수준을 넘어, 음성·영상·텍스트를 아우르는 멀티모달 AI로서, 기업 운영·정부 행정·제조 공정 등 실제 산업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솔루션임을 강조했습니다.
2. 무원(無源) IoT 및 경량 단말
• 5G가 대역폭과 속도를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eRedCap 같은 저전력 솔루션을 통해 소형 IoT 디바이스까지 포괄하는 그림을 제시했습니다. 무원 IoT 태그로 산업 현장을 자동화하고, 경량 단말로 B2B/B2G 시장을 개척하려는 전략이 돋보입니다.
3. 정밀 위치 서비스(5G + Beidou)
• 차이나 모바일이 위성항법(베이더우)과 5G를 융합해 ‘서브 미터(sub-meter)→센티미터급 정밀도’로 발전시키려는 계획은, 자율주행·스마트 물류·농업·건설 등 광범위한 분야에 파급 효과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4. 산업 안전 및 스마트 시티
• 광산 안전 관리나 차량·교통 관제 등, 공공 인프라와 산업 안전 영역에 AI를 적용해, 정부·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차이나 모바일은 MWC 2025에서 5G-Advanced, AI 대형 모델, IoT, 정밀 위치 서비스, 산업 디지털화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였습니다. 단순한 통신 서비스 제공자에서 벗어나, 통신+AI+산업 솔루션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 ICT 파트너로 도약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통신 인프라: 5G-A, eRedCap, 무원 IoT, 경량 단말
• AI 생태계: JIUTIAN Large Model, AI Phone, AI+산업 안전
• 위성·정밀 측위: 5G + Beidou 융합
• 스마트 산업: 자동차·교통·광산·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적용 사례

차이나 모바일 부스는, **초연결(5G-Advanced)**과 **초지능(AI 대형 모델)**이 접목되어 산업 현장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정부·기업·개인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 자리였습니다. 향후 이들이 제시한 미래 비전이 어떤 속도로 현실화될지, 그리고 글로벌 통신·AI 시장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미칠지 주목할 만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