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05

GitHub Actions에서 Nix를 이용한 완전 불변형(Immutable) 빌드 환경 구축기 CI 환경의 ‘예측 불가능성’을 제거하라.개발자마다, 워크플로마다, 시간대마다 달라지는 빌드 결과에 좌절했던 경험이 있다면 —이제 GitHub Actions에서도 Nix를 활용하여 완전한 재현 가능(100% reproducible) 빌드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이 글은 GitHub Actions 내에서 Nix shell로 래핑된 Job 환경을 만드는 방법,그리고 Nix의 flake 기반 CI template 구조화를 통해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장하는 불변형 CI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실제 사례를 다룹니다.⸻🎯 왜 Nix인가? • 🧪 의존성 충돌 제거: 시스템 환경과 무관하게 독립적인 패키지 설치 • 🧱 불변성: 시간이 지나도 동일한 버전, 동일한 결과 보장 • 🧬 재현 가능성: 커밋 해.. 2025. 5. 30.
GitHub Actions를 Kubernetes 내부 서비스로 완전히 이식하기: Self-Hosted Action Runner Mesh 구축기 퍼블릭 CI에 의존하지 않고, 사내 망 내부에서 완전한 GitHub Actions 생태계를 운영하는 방법.GitHub Actions의 워크플로를 완전 사내망 Kubernetes 클러스터 내부에서 실행되도록 구성하며,GitHub Webhook → K8s 서비스 Mesh → Runner Pod 자동 생성 → Argo CD 자동 배포까지 연결하는GitHub Actions Runner Mesh 구조를 구축합니다.⸻🎯 목적 • GitHub Actions 워크플로를 사내망 Kubernetes 클러스터 내부에서 실행 • 워크플로별로 개별 Runner Pod를 생성하고 Job 단위로 Auto Terminate • Runner Autoscaler + GitHub Webhook + Service Mesh + Namesp.. 2025. 5. 30.
검색과 클릭에서 ai의 시대로 전통적 지식 플랫폼의 입지 약화위키피디아나 네이버 지식인처럼 오랫동안 ‘누구나 물으면 답을 얻을 수 있는’ 집단 지성의 창구로 각광받아 왔던 온라인 지식 공유 플랫폼들이 최근 급격히 위축되는 모습은 그간 쌓아 온 명성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 줍니다. 2022년 11월 챗GPT가 공개된 이후 이용자들은 더 이상 복잡한 커뮤니티 게시판을 뒤지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AI 채팅창에 질문을 입력하는 즉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편리함을 선택하기 시작했습니다.⸻챗GPT 공개 이후 변화 가속미국 개발자 전용 Q&A 플랫폼인 스택오버플로우의 사례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 줍니다. 2008년 9월 설립 이래 개발자들 사이에서 ‘성지’로 불리며 매달 20만 건 안팎의 질문과 답변이 오가던 이.. 2025. 5. 30.
Feature Store CI/CD as Code Feast + Hopsworks Feature Store + Kubeflow Pipelines + OPA Gatekeeper + Seldon + Argo CD를 연동해, 특성 정의→엔ジン 실행→バリデーション→서ービング→モニタ링→자가 복구까지 모두 코드로 선언·자동화하는 Feature Store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합니다.⸻🎯 목표 1. Git에 FeatureSet CRD로 특성(Feature) 스키마·인그레스 조인 쿼리·유효성 검사 로직 선언 2. Argo CD Sync → Feast Core 및 Hopsworks Project에 FeatureSet 자동 등록 3. Kubeflow Pipelines로 배치·스트리밍 조인 작업(Beam/Spark) 실행→Offline Store 적재 4. Feat.. 2025. 5. 30.
AI-Driven Predictive Autoscaling as Code Kubeflow Forecasting + Prometheus + KEDA Custom Scaler + Argo CD Self-Heal을 연동해, 실시간 메트릭과 **시계열 예측 모델(Prophet/TensorFlow)**을 활용하여 클러스터 워크로드를 사전 예측 기반으로 자동 확장·축소·복구하는 Predictive Autoscaling 파이프라인을 코드로 완전 자동화합니다.⸻🎯 목표 1. Git에 ForecastConfig CRD로 워크로드별 예측 윈도우·모델 파라미터 선언 2. Argo CD Sync → Kubeflow Pipelines가 과거 메트릭 데이터 수집 및 예측 모델(Prophet/TensorFlow) 학습 3. 학습된 모델을 컨테이너 이미지로 패키징·레지스트리에 푸시 4. Promethe.. 2025. 5. 30.
일시적 2주택 보유조건 기간 리스크 대출 사례 상세 이번에는 일시적 1가구 2주택(이하 ‘일시적 2주택’) 보유 시 주요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며, 각 리스크 유형별로 관련 법령, 사례, 정책 변화 등을 반영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일반적 설명을 넘어, 현실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세무 리스크, 행정처분, 금융 규제, 주거 전략상의 파급 효과까지 포함하였습니다.□ 일시적 1가구 2주택 보유 시 주요 리스크 분석 및 해설⸻1.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 미충족 리스크일시적 2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비과세 특례는,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다만 이 혜택은 엄격한 요건 하에 주어지므로, 요건 불충족 시 고율의 양도세가 부과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① 비과세 특례 요건(2024년 기준) • 기존 주택 보유 요건: 2년 이상 보유 필수(조정대상지.. 2025. 5. 30.
122. Data Mesh Governance as Code Apache Atlas + LakeFS + OpenLineage + OPA Gatekeeper + Argo CD 기반으로, **데이터 제품(Data Product)**의 메타데이터·버전·계보(Lineage)·정책을 모두 코드로 선언·자동화하는 차세대 데이터 거버넌스 파이프라인을 구축합니다.⸻🎯 목표 1. Git에 데이터 제품 정의(DataProduct CRD) 및 스키마·카탈로그 매니페스트 선언 2. Argo CD Sync → LakeFS에 데이터 레이크 버전 브랜치 생성·관리 3. Atlas Hook으로 GitOps로 선언된 메타데이터·스키마를 Atlas에 자동 등록 4. OpenLineage 에이전트로 ETL·ML 파이프라인 이벤트 수집 → 계보(Lineage) 캡처 5. OPA Gatekeeper.. 2025. 5. 29.
하향세 삼성전자의 특허침해 피소와 패소, 배상 판결, 상습적 특해 침해의 유혹 ① 사건 개요 및 배심원 평결2025년 5월 28일, 미국 텍사스 동부지방법원(Eastern District of Texas)의 배심원단은 삼성전자가 일본의 전자기업 맥셀(Maxell)의 특허를 침해하였다는 판단을 내리고 1억1,170만 달러(한화 약 1,535억 원)에 달하는 손해배상 평결을 내렸다. 이 평결은 맥셀이 2023년 9월 제기한 소송의 결과로, 삼성이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스마트싱스(SmartThings)’와 자사 스마트폰 기술에서 맥셀이 보유한 특허를 무단으로 사용했다고 본 판단에 따른 것이다. 비록 이번 평결이 아직 ‘최종 판결(final judgment)’은 아니며, 항소 등의 절차가 남아 있지만, 배심원단이 삼성의 ‘고의 침해(willful infringement)’를 인정했.. 2025. 5.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