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istorie83

왕유(王維)의 한시 送秘書晁監還日本國(송비서조감환일본국)과 아베노 나카마로의 와카 백인일수 送秘書晁監還日本國(송비서조감환일본국) 일본으로 돌아가는 비서감 조형을 보내며 비서 조감의 일본 귀국을 전송하며-왕유(王維)積水不可極(적수불가극) : 바다의 큰 물결 끝이 없는데安知滄海東(안지창해동) : 어찌 이 바다의 동쪽을 알 수 있으리九州何處遠(구주하처원) : 세상 어느 곳이 이보다 멀까萬里若乘空(만리약승공) : 만리 공중을 타고 오르는 것 같도다向國惟看日(향국유간일) : 나라를 향하는데 보이는 것이란 오직 해歸帆但信風(귀범단신풍) : 돌아가는 배는 다만 바람에 맡긴다鰲身映天黑(오신영천흑) : 거북이 몸이 하늘빛에 비쳐서 검고魚眼射波紅(어안사파홍) : 물고기 눈이 파도 사이로 빨갛게 얼른거리네鄕樹扶桑外(향수부상외) : 고향 나무는 동해 저쪽에 있고主人孤島中(주인고도중) : 주인은 외로운 섬 안으로 간.. 2024. 12. 31.
일본 견당사 출신의 당나라 관료 아베노 나카마로(阿倍仲麻呂, 698?~770) 생애 업적 와카 아베노 나카마로(阿倍仲麻呂, 698?~770)는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의 견당유학생(遣唐留学生)으로서, 평생 동안 당(唐) 조정에서 활약하고 끝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비운의 귀족입니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다는 평을 들었고, 후일 중국 당나라에서 과거에 급제했을 정도로 학문과 문예 방면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였습니다. 한·중·일 삼국의 문인들과 깊이 교류하였으며, 이백(李白), 왕유(王維) 등 당대 최고 시인들과 서로 시를 주고받았습니다. 일본에서는 그가 남긴 와카(和歌)가 『백인일수(百人一首)』에도 채록되어 전하며, ‘고향 땅의 미카사산(三笠山)을 그리워하는 달’이라는 이미지로 유명합니다. 본문에서 언급된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과 그의 문학, 주변 인물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아베노 나카마로에 대해.. 2024. 12. 30.
오구라 백인일수 와카 시 전집 해설 포함 이번 포스팅은 오구라 백인일수(小倉百人一首) 100수 전곡(全曲)과 그에 대한 간략 해설을 정리한 것입니다. • 원문은 가마쿠라 시대 고어(古語)와 한자를 포함한 옛 표기로 된 일본어(와카) 원문입니다. • 이어서 현대 일본어(어휘 풀이)와 한국어 번역을 제시하고, 마지막에 핵심적인 감상·배경을 간단히 덧붙였습니다. • 각 시의 장단과 해석은 연구자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니, 아래 내용은 ‘예시적 번역 및 해설’로 봐 주세요.1~25번1. 덴지 천황(天智天皇) 원문秋の田の かりほの庵(いほ)の 苫(とま)をあらみわが衣手は 露にぬれつつ 1. 현대어 풀이 • 가을 논밭을 둘러싼 초라한 오두막의 얇은 지붕이 헐거워 • 내 옷자락은 이슬에 흠뻑 젖어만 가네 2. 한국어 번역 가을 논밭, 거칠어진 짚으로 엮은 오.. 2024. 12. 30.
청나라 역대 황제 계보 연호 청나라는 1616년 누르하치에 의해 후금(後金)이라는 이름으로 세워졌고, 1644년 명나라를 정복하면서 중국 대륙 전역을 통치한 왕조입니다. 이 왕조는 중국의 마지막 왕조로, 약 268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청나라 황제들은 각각 자신의 치세를 상징하는 연호를 사용했으며, 이는 황제의 통치 철학과 왕조의 상황을 담고 있습니다.청나라 황제와 연호1. 태조(太祖) 누르하치 • 연호: 천명(天命) • 재위 기간: 1616년 ~ 1626년 • 주요 업적: • 여진 부족을 통합하여 후금을 건국. • 명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며 세력을 확장. • 연호 풀이: • ‘하늘의 명령’을 받은 통치자로서 정당성을 강조. • 만주족이 중국 대륙에 진출할 기틀 마련.2. 태종(太宗) 홍타이지 • 연호: 천총(天聰, 162.. 2024. 12. 30.
송나라 역대 황제 계보와 연호 : 송태조 조광윤 송단종 북송 황제들1. 송태조 조광윤 (宋太祖 趙匡胤) • 재위 기간: 960년 ~ 976년 • 연호: • 건룡(建隆, 960~963) • 건덕(乾德, 963~968) • 개보(開寶, 968~976) • 생애:조광윤은 927년 출생하여 후주(後周)에서 장군으로 활약하며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960년 진교의 변(陳橋兵變)**으로 병사들의 지지를 얻어 후주의 마지막 황제를 퇴위시키고 송나라를 건국하였다. • 업적: 1. 중앙집권 체제 구축: • 절도사와 권신들의 병권을 회수하며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했다. • 지역 군사 권력을 약화시켜 내란 가능성을 줄임. 2. 경제 안정: • 세금을 낮추고 농업과 관개 시설을 확충하여 농민들의 삶을 안정화시켰다. 3. 분봉 정책: • 자신의 형제와 친척들에게 높은 작.. 2024. 12. 29.
당나라 역대 황제 연호와 계보 : 당고조 이연 당태종 현종 당애제까지 당나라 역대 황제 계보1. 당고조 이연 (唐高祖 李淵) • 재위 기간: 618년 ~ 626년 • 주요 업적: • 당나라 건국 (618년) • 중앙집권 체제 구축 및 경제 회복 • 수나라 잔존 세력 정벌, 초기 안정화 • 주요 사건: • 태원 봉기(617년): 당나라 창업 선언 • 현무문의 변(626년): 아들 이세민의 정변으로 황위 양위 • 최후: 태상황으로 물러나 635년 사망.2. 당태종 이세민 (唐太宗 李世民) • 재위 기간: 626년 ~ 649년 • 주요 업적: • 정관의 치(貞觀之治): 당나라 초창기의 황금기 • 국내 안정화 및 법제 정비 • 북방 돌궐 정벌 및 주변국에 대한 외교적 우위 확보 • 과거제 확립으로 관료 등용 강화 • 주요 사건: • 현무문의 변(626년): 황제 즉위 과정에서 형.. 2024. 12. 29.
중국사 역대 무장 상세 소개 손무 한신 제갈량 이적 곽거병 (시대별 평가 포함) 중국 역사에서 태공망(太公望)을 최고의 무인으로 기리며, 그를 ’무성왕(武成王)’이라 칭한 전통은 독특한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전통은 문(文)에서는 공자(孔子)를 최고로 대우하듯, 무(武)에서는 태공망을 최고로 여긴다는 상징적 체계에서 출발합니다. 무성왕묘(武成王廟)는 바로 이러한 무인들을 기리기 위한 제사 공간으로, 역사적으로 무인들의 업적과 위상을 재평가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기능해왔습니다.이제 시대별로 선정된 중국의 10대 명장을 살펴보며, 명단의 변화를 통해 당시의 역사적 맥락과 군사적 이상을 이해해 보겠습니다.당나라 시기(760년) 평가된 중국사 10대 명장당나라 시기에 꼽힌 명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진(秦) 무안군(武安君) 백기(白起) 2. 한(漢) 회음후(淮陰侯) 한신(韓信).. 2024. 12. 20.
한국어와 일본어가 비슷한 이유 일제 언어 언어순화 민주주의 대통령 의회 일제 잔재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 서구 사상과 학문, 제도, 문화 등을 한자어로 번역·조어한 뒤 한국어에 유입된 일본식 한자어(和製漢語)들을 더 폭넓게 정리한 목록입니다. 이러한 어휘들은 정치·사회·문화·사상·학문·기술·경제 등 전방위적으로 쓰이며,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에도 계속해서 한국어 어휘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일부 단어는 중국에도 역수출되어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 전체에 퍼진 경우도 많습니다. 즉, 일상에서 접하는 개념적 한국어와 일본어 어휘가 비슷한 이유는 현대 한국어가 일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입니다.(너무 근본적 영향이라 언어 순화도 불가능합니다)정치·사회·사상 분야 • 민주주의(民主主義), 자유(自由), 평등(平等), 인권(人權), 국민(國民), 국가(國家) • 헌법(憲法), .. 2024.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