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Tech 정보

광둥성 AI 3인방: 중국 AI 산업의 미래 량원펑 양즈린 허카이빙 딥시크 문샷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2. 5.
반응형


최근 중국 AI 산업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물들이 광둥성 출신이라는 점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딥시크(DeepSeek)의 창업자 량원펑(梁文锋), 문샷AI(Moonshot AI)의 창업자 양즈린(杨植麟), 그리고 매사추세츠공대(MIT) 전자공학·컴퓨터공학 부교수이자 세계적인 AI 연구자인 허카이밍(何恺明)이 그들입니다.


중국 과학 기술 매체 ‘콰이커지(快科技)’는 이들을 **‘광둥 AI 3인방(廣東AI三傑)’**이라 부르며, 중국 AI의 미래를 결정할 핵심 인물들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이들은 각각 자연어 처리, 생성형 AI, 컴퓨터 비전 등 AI 산업의 주요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며, 최근 AI 모델 개발 경쟁에서 중국이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량원펑: 딥시크 창업자, 중국 LLM 경쟁의 중심에 서다

량원펑은 광둥성 우촨시 미리링촌(村) 출신으로, 저장대학교에서 전자정보공학과 컴퓨터공학을 전공하였습니다. AI 기술을 금융에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하다가 2016년 AI 기반 헤지펀드인 **하이플라이어(High-Flyer)**를 공동 설립하였고, 이후 2023년 5월 AI 연구 부서를 분리하여 **딥시크(DeepSeek)**를 창립하였습니다.

딥시크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인공지능 일반지능(AGI)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2025년 1월에는 고성능 AI 모델 ‘R1’을 공개하여 미국 실리콘밸리와 글로벌 AI 업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딥시크는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메타 등 글로벌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중국 대표 AI 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https://valuable12.com/entry/딥시크DeepSeek-창립자-량원펑Liang-Wenfeng-프로필-학력-나이-고향-딥시크의-파장

딥시크(DeepSeek) 창립자 량원펑(Liang Wenfeng) 프로필 학력 나이 고향 딥시크의 파장

1. 딥시크(DeepSeek) 개요: 중국 AI의 새로운 선두 주자항저우에 본사를 둔 **딥시크(DeepSeek)**는 중국을 대표하는 인공지능(AI) 기업으로, 세계적으로도 주목받는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

valuable12.com


2. 양즈린: 문샷AI 창업자, 초거대 언어 모델 경쟁에서 앞서가다


양즈린은 광둥성 산터우시 출신으로, 칭화대를 졸업한 후 미국 카네기멜런대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그는 구글의 AI 연구팀 구글브레인에서 근무하였으며, 애플에서 딥러닝 분야의 핵심 연구자로 활동했습니다.

2023년 3월, 그는 AI 스타트업 문샷AI(Moonshot AI)를 창립하였으며, 장문(長文) 답변에 특화된 AI 모델 ‘키미(Kimi)’를 출시하여 주목을 받았습니다.

문샷AI의 특장점
1. 장문 생성 능력
• 키미는 최대 200만 자 분량의 긴 글을 매끄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다른 AI 모델들이 간결한 답변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달리, 키미는 심층적이고 논리적인 장문의 글을 작성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소설, 보고서, 연구 논문, 법률 문서 등의 작성을 지원합니다.
2. 정확하고 일관된 문맥 유지
• 기존 AI 모델들은 긴 글을 생성할 때 앞뒤 문맥이 어긋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지만, 키미는 이를 최소화하여 논리적인 글을 생성합니다.
3. 중국어 기반의 강력한 언어 처리
• 중국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되어 있으며, 자연스러운 번역 및 다국어 지원도 가능합니다.

문샷AI 사용법
• 기업 및 연구 기관:
• 키미를 활용하여 대규모 문서 자동화(보고서, 논문, 백서 등)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법률 및 금융 분야에서 정확한 문서 생성 및 검토를 지원합니다.
• 개인 사용자:
• 장문의 글을 작성할 때 아이디어 정리, 초안 작성, 퇴고 작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책이나 소설을 집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샷AI는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대형 테크 기업들로부터 투자를 받으며 빠르게 성장하였고, 현재 기업 가치는 33억 달러(약 4조8100억 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키미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36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3. 허카이밍: AI 연구의 선구자, 컴퓨터 비전 혁신을 주도하다


허카이밍은 광둥성 광저우시 출신으로, 칭화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홍콩중문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 아시아 연구소를 거쳐 메타(구 페이스북) AI 연구소에서 연구직으로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MIT 전자공학·컴퓨터공학 부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2015년 **잔차신경망(ResNet, 殘差神經網)**을 개발하여 AI 기반 이미지 인식과 분류의 정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이 기술은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으며, 의료 영상 분석, 자율주행, 감시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4. 광둥성, 중국 AI 산업의 중심으로 떠오르다


광둥성은 전통적으로 중국의 제조업과 무역 중심지였으나, 최근 AI 산업의 핵심 허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18년 이후 광둥성 정부는 신시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을 발표하고 AI 인재 양성과 연구 개발(R&D) 지원에 집중 투자하였습니다.

그 결과, 2023년 기준 광둥성의 AI 산업 규모는 1800억 위안(약 35조8500억 원)에 달하며, 관련 기업 수는 1200개를 넘어섰습니다. 화웨이,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대기업들도 광둥성에서 AI 연구 개발을 강화하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 아래 AI 관련 인프라와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5. 중국 AI의 미래, ‘광둥 AI 3인방’이 결정한다

량원펑, 양즈린, 허카이밍은 AI 연구와 비즈니스 양 측면에서 중국의 AI 산업을 이끌어가는 핵심 인물입니다. 이들은 각각 딥시크(LLM), 문샷AI(장문 생성 AI), 허카이밍(컴퓨터 비전)이라는 서로 다른 AI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 AI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 AI 산업이 앞으로 글로벌 AI 시장에서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이지만, 광둥 AI 3인방이 주도하는 AI 혁신이 그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