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와 정치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 프로필 학력 나이 고향 주요이력 대장동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11. 11.
반응형


학력
• 출신학교: 경남 창녕 창녕대성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학사 졸업 .
• 사법시험: 1997년 제39회 사법시험 합격 (사법연수원 29기 수료) .

주요 경력
• 2000년대 초기: 사법연수원 수료 후 2000년 대구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여 창원지검 밀양지청, 수원지검 안산지청, 서울중앙지검 등 일선 검사로 경력을 시작 . 이후 대전지검에서 부부장검사, 대검찰청에서 검찰연구관 등을 지내며 실무 경험을 쌓음 .
• 2015~2018년: 창원지검 거창지청장(2015), 광주지검 특수부장검사(2016), 인천지검 특수부장검사(2017), 서울중앙지검 조사2부장검사(2018)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하며 특수·형사 분야 수사를 지휘 .
• 2019~2022년: 법무부 감찰담당관(2019)으로서 검찰 내부 감찰을 총괄하고, 부산지검 제2차장검사(2020) 및 서울고검 차장검사(2022, 서울고검장 직무대리 겸임) 등을 거치며 고위직으로 승진 . 2023년에는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부임하여 제주 지역 검찰을 이끌었다 .
• 2024년: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장으로 임명되어 전국 마약범죄 수사를 지휘함 . 이 보직은 2024년 신설된 마약범죄 대응 부서의 초대 부장으로서, 사회적 이슈인 마약 범죄 대응을 총괄한 역할이다.
• 2025년 ~ 현재: 대검찰청 차장검사로 승진 임명 (2025년 7월)되며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음 . 현재 검찰총장 공석 상태에서 검찰총장 직무대행으로서 대검찰청(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전국 검찰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

주요 수사 및 사회적 활동


2025년 2월, 노만석 당시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현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당시 마약·조직범죄부장으로서 그는 전국적인 마약 범죄 단속을 진두지휘하며, 마약류 범죄 근절이라는 사회적 현안 해결에 앞장섰다. 이처럼 노만석 검사는 여러 굵직한 수사와 현안을 책임지며 경력을 쌓아왔다.
• 이명박 전 대통령 “다스” 비자금 의혹 수사 (2017): 다스 횡령 등 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 비리 의혹 수사팀에서 활동하여, 전직 대통령의 기업 비자금 의혹 규명에 기여했다 .
• 국군기무사 계엄령 문건 사건 수사 (2018): 군·검 합동수사단 공동 단장으로서 박근혜 정부 시절 국군기무사령부의 계엄령 문건 작성 의혹을 수사했다 . 이 수사를 통해 당시 군 내부의 위법 행위 의혹을 밝혀내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항소 결정 (2025): 검찰총장 직무대행으로서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1심 판결에 대해 항소를 포기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은 검찰 내부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켜 서울중앙지검장이 책임을 지고 사퇴하고, 전국 검사들이 집단 반발하는 등 검찰 조직 내 갈등으로 번졌다 . 해당 사건은 노만석 대행의 리더십과 외압 논란 등을 두고 큰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최근 임명 및 직무대행 배경


노만석 검사는 2025년 7월 초 심우정 검찰총장이 임기 2년을 채우지 못하고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게 되었다 . 심우정 총장의 중도 사퇴는 새 정부의 검찰개혁 드라이브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노만석 당시 대검 차장검사(마약·조직범죄부장)가 후임 대검 차장 겸 총장대행으로 발탁되었다 . 이후 현재까지 약 4개월 이상 검찰총장 직위가 공석인 상황에서 노만석 대행이 검찰 조직을 이끌고 있으며, 차기 검찰총장 인선은 정부의 조직 개편 논의와 맞물려 지연되고 있다 .

현재 소속 및 관할지

노만석 직무대행은 현재 대검찰청에 소속되어 있으며, 검찰총장 권한대행으로서 대한민국 검찰 조직 전체를 관할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대검찰청에서 업무를 수행하며, 검찰총장 공석 기간 동안 검찰의 수사와 조직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  . 이는 검찰 조직의 “2인자”로 불리는 대검 차장검사 직위의 역할로서, 노만석 검사는 특유의 신중하고 온화한 리더십으로 혼란기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Sources: 대한민국 법무부·대검찰청 인사자료, 연합뉴스·뉴스1 등 주요 언론 보도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