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위장관계 약물
• 모사프리드: 위장 운동을 촉진하는 약물로, 위장 신경의 세로토닌 5-HT4 수용체를 자극하여 소화관 연동운동을 강화합니다  . 음식물이 위장에서 잘 내려가도록 도와 소화 불량, 속쓰림, 복부 팽만 같은 기능성 소화불량, 위식도역류질환 등에 사용됩니다 . 대표 제품: 가스모틴정, 모사프론정 등.
• 이토프리드: 위장 운동 촉진제로, 도파민 D2 수용체를 막고 아세틸콜린 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위장에 아세틸콜린 양을 늘림으로써 위 움직임을 활발하게 합니다 . 그 결과 하부 식도괄약근 압력을 높이고 위 배출을 촉진하여 소화 불량, 만성 위염 관련 증상, 위식도역류 등에 쓰입니다. 대표 제품: 가나톤정, 이토메드정 등.
• 레보설프리드: 위장 운동을 높이는 설피리드의 활성화 이성질체로,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고 세로토닌 5-HT4 수용체를 부분 자극하여 위장 운동과 소화액 분비를 촉진합니다 . 소화 불량, 속쓰림, 복부 팽만 등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며 , 대표 제품: 레보셀정, 엘프리드정 등이 처방됩니다.
• 트리메부틴: 장의 엔케팔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과도하거나 낮아진 위장관 운동을 정상화시키는 진경제입니다 . 위장 근육의 경련을 완화하고 운동 리듬을 조절하여 과민성대장증후군(배탈, 복통)이나 소화기 기능이상(복통, 구토)에 사용됩니다. 대표 제품: 폴리부틴정, 데브리드정(데브리닷) 등이 있습니다.
• 레바미피드: 위 점막을 보호하고 손상된 점막을 회복시키는 약물입니다. 위 점막에서 프로스타글란딘 E₂ 생산과 점액 분비를 증가시켜 위벽을 보호하고, 염증을 줄여줍니다 . 위염, 위궤양의 치료 및 예방에 쓰이며 항산화·항염 효과도 있습니다 . 대표 제품: 무코스타정, 레바미드정 등이 있습니다.
• 애엽 연조엑스 (애엽 95% 에탄올 연조 추출물): 쑥(애엽)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위점막 보호와 항염 효과를 갖는 천연 위장약입니다. 주성분인 유파틸린이 위 점막을 보호하고 염증을 억제하여 위염, 위궤양의 증상을 완화합니다 . 급·만성 위염에 따른 위점막 병변 치료에 쓰이며, 대표 제품: 스틸렌정(Stillen®), 위티렌정 등이 있습니다.
• 알마게이트: 위 속의 산도를 중화시키는 제산제입니다. 위산과다로 인한 속쓰림을 완화하고, 위 벽을 보호하는 작용을 합니다.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 과다(속쓰림, 위통) 등의 증상 개선에 사용됩니다 . 대표 제품: 알마겔현탁액, 알마트론정 등이 있습니다.
• 파모티딘: 위산 분비를 줄이는 H2 수용체 차단제로, 히스타민이 위벽 세포에 작용하는 것을 막아 위산 분비를 억제합니다.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역류성 식도염, 위염 등에 쓰이며, 라니티딘 대체제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 대표 제품: 가스터정, 팜티딘정 등이 있습니다.
• 라푸티딘: 2세대 H2 수용체 차단제로, 위산 분비 억제와 위점막 보호 이중 효과가 있는 항궤양제입니다 . 위산을 줄여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염 치료에 쓰이며 특히 야간 위산분비 억제에 효과적입니다. 대표 제품: 스토가정, 라푸티딘정 등이 있습니다.
• 라베프라졸: 위산 분비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프로톤펌프억제제(PPI)로, 위벽의 프로톤펌프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강력한 제산 효과를 냅니다.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역류성 식도염 등에 1일 1회 요법으로 사용됩니다 . 대표 제품: 파리에트정, 라비에트정 등이 있습니다.
• 에스오메프라졸: 오메프라졸의 S-이성질체로 개발된 PPI 제제로, 위산 분비를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 주로 역류성 식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치료에 쓰이며, 기존 PPI 대비 야간 위산 억제력이 개선되었습니다. 대표 제품: 넥시움정, 에소메졸캡슐 등이 있습니다.
• 티로프라미드: 진경제(경련 억제제)로 소화기관과 담도계의 평활근 경련을 완화합니다. 위장관 및 담도, 요로의 과도한 근육 수축을 줄여 복통을 가라앉히며, 담낭·담도 산통, 신장·요관 산통 등 급성 경련성 통증에 사용됩니다 . 대표 제품: 타스폰정, 티라미드정 등이 있습니다.
2. 항생제
• 세파클러: 세팔로스포린계 2세대 항생제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살균 작용을 합니다. 범위가 넓어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기관지염, 폐렴 등 호흡기 감염과 신우신염, 방광염 같은 요로감염에 흔히 처방됩니다 . 대표 제품: 유한 세파클러캡슐, 대웅 세파클러캡슐 등.
•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아목시실린과 베타락타메이즈 억제제 클라불란산의 복합제입니다. 클라불란산이 세균의 베타락타메이즈 효소를 막아 아목시실린의 작용을 보호하므로, 범위가 넓은 항생 효과를 냅니다 . 부비동염, 중이염, 폐렴, 피부연조직 감염, 요로감염 등에 쓰이며, 베타락탐 내성균에도 효과적입니다. 대표 제품: 오그멘틴정(Augmentin), 아목클란정 등이 있습니다.
• 클래리트로마이신: 매크롤라이드계 항생제로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균 증식을 막습니다.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의 일원으로 위궤양 치료에 쓰이며, 그 밖에 폐렴, 기관지염, 편도염 등 상·하기도 감염과 비정형균 감염에 효과적입니다 . 대표 제품: 클래리시드정(Klaricid), 크래신정 등이 널리 사용됩니다.
3. 소염·해열·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 록소프로펜: 프로피온산 계열 진통제로, 체내에서 활성형으로 전환되어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소염·진통·해열 작용을 나타냅니다. 위장 부작용이 비교적 적고 빠르게 통증을 완화하여 두통, 치통, 생리통, 관절염 통증 등에 쓰입니다. 대표 제품: 록소닌정, 록스펜정 등이 있습니다.
• 아세클로페낙: 디클로페낙 유사 계열의 NSAID로 염증 매개물질 생성을 억제하여 통증과 염증을 가라앉힙니다. 류마티스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요통 등 만성 관절통에 효과적이며, 위장 부담이 적도록 개발되었습니다. 대표 제품: 아세크로정, 에어낙정 등이 있습니다.
• 아세트아미노펜: 중앙에서 통증과 발열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해열진통제입니다. 뇌의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열을 내리고 통증을 완화하지만 소염 효과는 거의 없습니다. 비교적 안전하여 두통, 발열, 감기몸살 등에 1차 선택되며 , 대표 제품: 타이레놀정, 펜잘정(복합제) 등이 있습니다.
• 펠루비프로펜: 국내 개발 12호 신약인 프로피온산 계 NSAID로, COX-2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염증 물질과 통증 유발 물질 생성을 막습니다 . 관절염 등의 만성 통증부터 감기로 인한 급성 발열까지 적응증을 확대하였고 , 위장장애 발생을 줄인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 제품: 펠루비정, 펠루비에스정 등이 있습니다.
• 덱시부프로펜: 이부프로펜의 효과를 내는 우선순위 광학이성질체(S-형)만을 분리한 진통제로, 더 낮은 용량으로 동일한 진통·소염 효과를 냅니다. 관절염, 근육통, 발열 등에 쓰이며, 위장 부작용을 줄이고 효과 발현을 빠르게 한 것이 장점입니다. 대표 제품: 덱시부펜연질캡슐, 쿨센연질캡슐 등이 있습니다.
• 세레콕시브: 선택적 **COX-2 억제제(NSAID)**로 개발되어 위장 부작용을 줄인 소염진통제입니다. 관절 염증 부위의 COX-2만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의 통증과 수술 후 급성 통증 등을 완화합니다 . 대표 제품: 쎄레브렉스캡슐(Celebrex), 셀코кс캡슐 등이 있습니다.
4. 복합진통제
• 아세트아미노펜+트라마돌: 비마약성 진통제와 중추성 진통제를 조합한 처방 진통제입니다. 트라마돌이 중추에서 통증 신호를 억제하고 아세트아미노펜이 해열·진통 작용을 더해, 둘의 상호보완으로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합니다 . 마약성 진통제 대안으로 수술 후 통증, 만성 통증에 쓰이며 대표 제품: 울트라셋정(Ultracet), 트라마셋정 등이 있습니다.
5. 근육이완제
• 에페리손: 중추성 근이완제로, 척수와 말초 신경에 작용해 근육의 과도한 수축을 완화합니다. 다중 시냅스 반사를 억제하고 근방추의 긴장도를 낮춰 근육을 풀어주면서도 근력 저하는 최소화합니다 . 근육 경직으로 인한 통증(목·허리 통증, 경직성 마비)에 처방되며, 근육 긴장을 풀어 재활을 돕습니다 . 대표 제품: 마이오날정(Myonal), 에페신정 등이 있습니다.
6. 신경통 약
• 프레가발린: 신경세포 흥분을 억제하는 가바펜티노이드 계열 약물로, 과도하게 방출되는 신경 전달물질(글루타메이트 등)을 줄여 신경병증성 통증을 완화합니다. 당뇨병성 말초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 섬유근육통 등에 효과적이며, 불안 완화 효과도 일부 있습니다. 대표 제품: 리리카캡슐(Lyrica), 가바린캡슐 등이 있습니다.
7. 진해거담제 (기침 억제 및 가래 배출)
• 아세틸시스테인: 가래를 묽게 만드는 거담제로, 끈끈한 점액의 이황화 결합을 분해하여 가래를 묽게 하고 배출을 쉽게 합니다. 기관지의 가래粘稠(점조)으로 인한 기침에 쓰이며, 경구용·흡입용·주사용으로 모두 이용됩니다 . 대표 제품: 뮤코모스트액(흡입용 Mucomyst), 뮤코스텐정 등이 있습니다.
• 엘도스테인(에르도스테인): 점액용해 거담제로, 기관지 점액의 구조를 변화시켜 가래를 묽게 하고 기관지 섬모운동을 도와 배출을 촉진합니다. 급·만성 기관지염 등에서 사용되며, 복용 시 가래 양 증가와 기침 완화 효과를 보입니다. 대표 제품: 엘도스캡슐, 엘도코프캡슐 등이 있습니다.
• 암브록솔: 기관지 분비를 늘리고 폐 표면활성물질 분비를 촉진하여 가래를 묽게 만드는 거담제입니다. 또한 경미한 진해 효과도 있어 급성 기관지염,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 등의 가래 끓는 기침에 쓰입니다. 대표 제품: 뮤코솔반시럽(Mucosolvan), 암브록솔정 등이 있습니다.
• 레보드로프로피진: 중추에 작용하지 않고 기관지에서 직접 기침 반사를 억제하는 진해제입니다. 기관지 과민 반응을 조절하여 가래로 인한 기침을 감소시키며, 졸음 등 중추 부작용이 적습니다. 급·만성 기관지염에 의한 기침 완화에 효과적이며  대표 제품: 레피투스시럽, 레보카민정 등이 처방됩니다.
8. 소염제 (효소성 분해소염제)
• 스트렙토도르나제+스트렙토키나제: 단백질 분해효소 복합제로, 염증 부위의 고름이나 점액을 분해하고 혈전과 괴사조직을 용해하여 염증을 가라앉힙니다. 예전부터 기관지의 끈끈한 가래 제거나 염좌 후 부기 완화 목적으로 쓰였으나, 효능 입증 부족으로 현재는 사용이 줄었습니다 . 대표 제품: 바리다제정(Varidase).
• 브로멜라인: 파인애플 줄기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로, 염증 부위의 부종과 염증 매개물질을 분해하여 소염 작용을 합니다. 수술 후 부기나 염좌로 인한 부종 완화, 부비동염 등에서 부기 감소 목적으로 활용되며, 소화효소로도 쓰입니다. 대표 제품: 브로멜라인장용정(보령), 파인에이스정 등이 있습니다.
9. 항히스타민제 (및 호흡기 알레르기약)
• 슈도에페드린: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코 점막 혈관을 수축시킴으로써 코막힘을 완화하는 비충혈 제거제입니다. 콧물약에 흔히 복합성분으로 들어가며, 감기나 비염으로 인한 코 막힘 증상에 사용됩니다. (주의: 각성 효과로 불면이나 심장 두근거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 제품: 슈다페드정, 콜대원캡슐 등에 복합 포함.
• 베포타스틴: 2세대 비졸림성 항히스타민제로, 히스타민 H1 수용체를 차단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합니다. 효과 발현이 빠르고 졸음이 적어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결막염 등에 쓰입니다 . 대표 제품: 타리온정(일본 오리지널; 국내 동아ST 판매), 베포탄정 등이 있습니다.
• 레보세티리진: 기존 세티리진의 활성 이성질체로 만든 2세대 항히스타민제로 알레르기 비염, 만성 두드러기 치료에 쓰입니다. 소량으로도 히스타민 작용을 강하게 억제하여 효과가 뛰어나며, 졸음 부작용이 비교적 적습니다. 대표 제품: 자이잘정(Xyzal), 씨잘정 등이 있습니다.
• 클로르페니라민: 1세대 항히스타민제로 감기약과 알레르기약에 오랜 기간 사용된 성분입니다. 중추 진정 작용이 있어 졸음을 유발하지만 재채기, 콧물, 가려움 등을 잘 억제하여 감기 증상 완화, 두드러기나 가려움증 완화에 사용됩니다. 대표 제품: 클로르트리메톤정, 페니라민정(주사용 페니라민) 등이 있습니다.
• 몬테루카스트: 류코트리엔 수용체 차단제로, 기관지 염증을 유발하는 류코트리엔 작용을 억제합니다.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수축과 염증을 막아 천식 조절약으로 쓰이며, 알레르기 비염의 코막힘 등에도 효과가 있어 병용됩니다. 대표 제품: 싱귤레어정(Singulair), 몬테큐정 등이 있습니다.
10. 스테로이드제
• 메틸프레드니솔론: 부신피질호르몬(스테로이드) 제제로, 강한 항염증 및 면역억제 작용을 가집니다. 염증 매개물질 생성을 억제하고 면역반응을 감소시켜 류마티스관절염,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 자가면역 질환의 증상을 개선합니다. 대표 제품: 메드롤정(Medrol), 메디솔론주(솔루-메드롤) 등.
•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과 유사한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로, 강력한 항염증 효과가 있어 아토피피부염, 천식, 염증성 장질환, 각종 알레르기 반응 등에 폭넓게 사용됩니다.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 관리가 중요합니다. 대표 제품: 프레드니솔론정(성분명 그대로 여러 제약사 생산), 소론프레드정 등.
11. 혈압약
• 암로디핀: 칼슘채널 차단제(CCB)로서 혈관 평활근으로 들어오는 칼슘을 줄여 혈관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특히 말초 동맥을 확장시켜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며, 심장의 산소수요를 줄여 협심증 흉통 예방에도 쓰입니다. 대표 제품: 노바스크정(Norvasc), 암로디핀정(국산 제네릭 다수).
• 로사르탄: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로, 혈관을 수축시키는 호르몬인 안지오텐신 II의 작용을 막아 혈관 확장 및 혈압 강하를 유도합니다 . 고혈압 치료에 1차로 쓰이며,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진행 억제나 심부전 환자에도 도움이 됩니다 . 대표 제품: 코자정(Cozaar), 로잘탄정 등이 있습니다.
(암로디핀의 일반적인 제제는 암로디핀 베실산염 형태이며, 흔히 함께 표기됩니다.)
12. 항혈전약 (혈소판 응집억제제)
• 아스피린(저용량): 혈소판의 트롬복산 A₂ 합성을 영구적으로 억제하여 혈소판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하루 100mg 정도 저용량을 복용하면 심근경색,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되어 고위험 환자에 쓰입니다. 대표 제품: 바이아스피린장용정, 아스피린프로텍트정.
• 클로피도그렐: 간에서 활성 대사체로 전환되어 혈소판의 ADP 수용체(P2Y₁₂)를 불가역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혈소판 응집을 억제합니다. 스텐트 시술 후 재협착 방지, 뇌졸중 예방 등에 아스피린과 병용하거나 대체제로 쓰입니다. 대표 제품: 플라빅스정(Plavix), 클라비스정 등이 있습니다.
13. 당뇨약 (경구 혈당강하제)
• 메트포르민: 제2형 당뇨병 1차 치료제로, 간에서 포도당 신생을 억제하고 말초 조직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높여 혈당을 낮춥니다. 체중 증가나 저혈당 위험이 낮아 과체중 당뇨환자에 특히 유용하며 , 장기 복용 시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도 이점이 있습니다. 대표 제품: 글루코파지정(Glucophage), 다이아벡스정 등이 있습니다.
• 글리메피리드: 설폰릴우레아계 인슐린 분비촉진제로, 췌장의 베타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식후 고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지만 저혈당 위험이 있어 용량 조절에 유의해야 합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조절이 어려울 때 쓰이며, 대표 제품: 아마릴정(Amaryl), 글리미정 등이 있습니다.
14. 고지혈증약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 아토르바스타틴: 스타틴 계열 콜레스테롤 합성억제제로, 간에서 HMG-CoA 환원효소를 차단하여 LDL 콜레스테롤을 강하게 감소시킵니다. 강력한 효과로 고콜레스테롤혈증, 이상지질혈증 1차 약제로 쓰이며,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대표 제품: 리피토정(Lipitor), 아토르바정 등이 있습니다.
• 로수바스타틴: 가장 강력한 스타틴 중 하나로 LDL 콜레스테롤을 크게 낮추고 HDL은 약간 올립니다. 아침·저녁 무관 하루 한 번 복용하며, 당뇨 발생 위험 등 부작용은 낮은 편입니다.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위험 감소에 쓰이고 대표 제품: 크레스토정(Crestor), 로수젯정(에제티미브 복합) 등이 있습니다.
• 에제티미브+로수바스타틴: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제(에제티미브)와 스타틴을 결합한 복합제입니다. 에제티미브가 장의 콜레스테롤 흡수를 막고, 로수바스타틴이 간 합성을 억제하여 이중 효과로 LDL 콜레스테롤을 크게 감소시킵니다. 단일 요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사용되며, 대표 제품: 로수젯정, 아토젯정(아토르바스타틴+에제티미브) 등이 있습니다.
15.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 피나스테리드: 전립선 조직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생성을 억제하는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입니다. 남성 호르몬에 의한 전립선 비대 진행을 늦추고 크기를 줄여줘 양성 전립선비대증(BPH)의 배뇨 증상을 개선합니다 . 장기간 사용 시 전립선암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남성형 탈모 치료제 프로페시아와 동일 성분이지만 용량이 1mg으로 적음.) 대표 제품: 프로스카정(5mg), 프로페시아정(1mg) 등.
16. 뇌기능 개선제
• 콜린알포세레이트: 뇌에서 아세틸콜린 신경전달을 증가시켜 준다고 알려진 뇌 기능 개선제입니다. 신경세포막 구성 성분을 공급하여 기억력 저하 및 경도 치매 증상 개선에 쓰입니다 . 특히 노인성 경도인지장애, 알츠하이머병 초기 등에 처방되며, 한국에서 건강보험 적용 논란이 있었으나 일부 적응증에 유지되고 있습니다. 대표 제품: 글리아티린연질캡슐, 글리아타민연질캡슐 등.
각 약물의 작용 원리와 사용 용도는 이해하기 쉽게 요약하였으며, 괄호 안에 주요 참고 출처를 표시하였습니다.
'건강, 패션, 뷰티,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거옥 매장 상세 리뷰 (0) | 2025.09.05 |
---|---|
아이를 위한 가장 완벽한 해열제 안내서: 아세트아미노펜 vs. 이부프로펜 (0) | 2025.09.05 |
타이레놀 vs. 부루펜: 우리 집 약상자 속 두 진통제, 언제 어떻게 쓸까? (0) | 2025.09.05 |
우리 아이 열 날 때, 이부프로펜 vs 덱시부프로펜: 깐깐한 엄마의 최종 선택 가이드 (0) | 2025.09.05 |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 비교 성분 효능 해열제 (0) | 202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