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Tech 정보

박혜진 서강대학교 디지털자산 주임교수 프로필 학력 나이 고향 바이야드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8. 22.
반응형


현재 직함 및 소속

• 서강대학교 AI·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 AI·디지털자산 융합 최고위과정 주임교수. 2025년 9월 국내 최초로 개설된 해당 최고위 과정의 설계를 맡아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
• 주식회사 바이야드(Byard) – 대표이사(CEO). 블록체인 기술 기업인 바이야드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로 활동 중이다 .
• 심산벤처스(Simsan Ventures) 런던 – 한국지사 벤처파트너 겸 투자 총괄 파트너. 영국계 벤처캐피털인 심산벤처스에서 한국 시장 투자를 책임지고 있다 .
•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 대학원 – 디지털자산⋅블록체인 공학석사 주임교수(겸임). 블록체인∙디지털자산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aSSIST 경영대학원의 석사 과정을 공동 운영하고 있다 .

학력 및 경력

• 학력: 서강대학교 학사 (영미문화 및 정치외교학 전공) 졸업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를 취득하고, 스위스 프랭클린 대학교(Franklin University Switzerland) 경영학 박사 학위를 aSSIST 공동 프로그램을 통해 받았다 . 이러한 국내∙해외 학술 배경을 바탕으로 정책학과 경영학을 겸비한 융합 전문가로 성장하였다.
• 경력: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분야에서 정책·산업·교육·투자 전반을 아우르며 활동해온 전문가이다 . 국내 스타트업과 글로벌 투자사를 잇는 역할을 하며, 각종 정부 자문위원회와 블록체인 관련 포럼에도 참여해 왔다. 특히 Web3.0 포럼의 발기인 및 부위원장을 역임하여 차세대 웹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

연구 분야 및 주요 관심사

•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자산 전반 –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암호화폐)의 기술적 동작원리부터 산업 적용까지 폭넓게 다룬다. 가상자산 정책 및 규제에도 관심이 높아, 디지털자산 기본법과 글로벌 규제 동향에 관한 분석을 지속해 왔다  .
• 스테이블코인 및 디지털 금융 – 법정화폐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의 결제∙금융 시스템 활용 가능성과 규제 방향을 연구한다. 특히 스테이블코인을 전통 금융과 가상자산을 잇는 관문으로 조망하며, 한국의 통화전략 도구로 활용될 방안을 제언해왔다  .
• Web3 및 분산 인터넷 – 탈중앙화 웹(웹3.0) 생태계 전반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메타버스와 NFT, 디파이(DeFi), STO(증권형 토큰) 등 새로운 디지털 자산 활용 사례와 비즈니스 모델을 탐구한다. 이러한 혁신 기술들을 통해 디지털 자산의 가치 창출과 개인 주권 강화를 실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주요 저술 및 활동

• 저술 활동: 2025년 공동 출간된 전문서 「스테이블코인: 머니 리셋」의 저자로 참여하였다. 이 책에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정책 환경과 산업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디지털자산과 전통 금융을 연결하는 미래 전략을 제시하였다  . 이 외에도 다수의 온라인 칼럼과 기고를 통해 블록체인 업계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있다.
• 언론 기고: 경제매체 오피니언뉴스에 「박혜진의 블록체인 아카이브」 연재 칼럼을 게재하며,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현황과 글로벌 벤처투자 동향 등에 대한 견해를 전달하고 있다 . 또한 테크M 등 IT 전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규제 및 디지털자산 정책에 대한 소신을 밝힌 바 있다 .
• 강의 및 발표: 서강대 최고위 과정과 aSSIST 석사과정에서 블록체인·디지털자산 관련 강의를 진행하며 업계 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아울러 2025년 8월 국회에서 열린 ‘디지털자산 혁신법’ 세미나 등에 전문가 자격으로 초청되어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글로벌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서강대 가상자산 프로그램 및 센터와의 관련성

• AI·디지털자산 융합 최고위 과정: 박혜진 교수는 서강대학교 AI·SW융합대학원에서 신설된 최고위 교육과정의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인공지능과 가상자산을 융합한 국내 최초의 최고위 과정으로, 산업계 CEO, 금융권 임원, 정책 입안자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자산 전략을 교육한다 . 박 교수는 박수용 AI융합대학원장과 함께 커리큘럼을 설계하였으며,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임원 강연 및 참가자 포럼을 도입하는 등 혁신적인 교육 방식을 주도하고 있다  .
• 서강대 블록체인 연구센터: (간접적 연관) 서강대학교는 이전부터 지능형블록체인연구센터(IBRC) 등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연구와 인력 양성을 해왔다. 박혜진 교수는 기술 연구보다는 산업 응용과 정책 측면 전문가로서, 해당 연구센터의 학술적 성과를 실무 교육 프로그램에 접목시켜 실무형 블록체인 리더 양성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서강대가 가상자산·블록체인 분야의 선도 대학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출처: 박혜진 교수 공식 프로필 및 언론 보도     등. 모든 정보는 서강대학교와 관련 기관의 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