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한국을 방문해 카카오, SK, 삼성, 크래프톤 등 국내 주요 기업 및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논의하며, 글로벌 AI 경쟁에서 수익 창출과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모색하는 전략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1. 샘 알트먼의 한국 방문 주요 일정


① SK그룹과의 회동 (오전 8시)
•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간담회 (약 40분)
• AI 및 클라우드 관련 협력 논의 가능성
• SK텔레콤의 AI 전략과 오픈AI의 B2B API 협력 가능성 검토
② 오픈AI 빌더랩 행사 (오전 9시)
• 국내 IT 대기업(네이버, LG AI 연구원) 및 AI 스타트업(뤼튼테크놀로지스, 와들, 포티투마루 등)과 기술·전략 논의
• 오픈AI의 AI 서비스 확장과 국내 파트너십 확대 시도
③ 크래프톤과의 회동 (오전 10시 40분)
• AI 게임 캐릭터(CPC) 및 AI 기반 게임 개발 협력 방안 논의
• AI 생성형 게임 기술(GPT 적용) 도입 가능성
④ 카카오와의 협력 발표 (오전 11시)
• 챗GPT 기술을 카카오톡 및 카카오 AI 서비스 ‘카나나(Kanana)’에 통합
• 카카오는 ‘챗GPT 엔터프라이즈’를 전면 도입
• 카카오 플랫폼(5천만 명 이용)을 활용한 오픈AI의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
⑤ 삼성전자와의 비공개 회동 (손 마사요시 동석)
• AI 반도체, AI TV, AI 디바이스 협력 가능성
• 오픈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 요청 가능성
• 삼성의 AI 반도체를 오픈AI의 데이터센터 및 모델 운영에 활용할 가능성
2. 오픈AI의 한국 협력 배경 및 목표
① 수익성 확보가 절실한 상황
• 오픈AI는 현재 기업가치 1,570억 달러(한화 약 2,290조 원)로 평가받지만, B2C 사업(챗GPT 구독 서비스)에서는 적자를 기록 중
• 2024년 매출 37억 달러(한화 약 51조 원) → 적자 50억 달러(한화 약 68조 원)
• B2B API, 기업 파트너십을 통한 새로운 매출원 확보가 절실
② 카카오와의 협력 강화 → 대규모 사용자 확보
• 카카오톡(5천만 명 이용)과 챗GPT 기술을 결합하여 B2C·B2B 시장 확대
• 한국에서 챗GPT API를 활용하는 기업이 늘어날 가능성
③ 삼성과의 협력 → AI 반도체 확보 및 데이터센터 사업 확장
• 오픈AI의 AI 모델 운영을 위해 삼성의 AI 반도체를 활용 가능
•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트럼프 발표 데이터센터 건설 사업)와 연계한 협력 가능성
④ SK 및 국내 스타트업과의 협력 → AI 기술 생태계 확대
• SK텔레콤의 AI 인프라 및 클라우드 기술과 협력 가능성
• 국내 AI 스타트업(뤼튼테크놀로지스, 와들 등)과의 기술 파트너십 확대
3. 글로벌 AI 시장 경쟁과 오픈AI의 대응
①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의 도전
•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시한 ‘R1’ 모델이 오픈AI 대비 97% 저렴한 비용으로 운영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퍼플렉시티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딥시크 모델 도입 검토 중
• 오픈AI도 비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파트너십 확대 중
② 한국 시장 내 오픈AI의 장점
• 보안 문제로 인해 국내 기업들이 중국산 LLM(대형 언어 모델) API 도입을 꺼릴 가능성
• 오픈AI는 보안 신뢰도가 높아 국내 IT 기업들과 장기적인 협력 가능성이 큼
4. 결론 및 전망
• 샘 알트먼의 한국 방문은 B2B 시장 확대와 수익성 강화가 목표
• 카카오와의 협력으로 챗GPT의 한국 내 보급이 가속화될 전망
• 삼성과의 논의를 통해 AI 반도체·데이터센터 협력이 이루어질 가능성
• 중국 AI 기업 딥시크와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오픈AI는 비용 절감 및 글로벌 투자 유치를 강화할 것
🔥 향후 주목할 포인트
1. 카카오톡 내 챗GPT 적용 방식과 서비스 변화
2. 삼성과 오픈AI의 AI 반도체 협력 구체화 여부
3. 한국 내 챗GPT API 활용 기업 증가 여부
4. 중국 AI 기업과의 경쟁에서 오픈AI가 어떻게 대응할지
한국을 AI 비즈니스 확장의 주요 거점으로 삼으려는 오픈AI의 전략이 어떤 결과를 낼지, 앞으로의 협력과 시장 반응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IT & Tech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와 오픈ai의 협력 그리고 중국 딥기크 위협 (0) | 2025.02.05 |
---|---|
오픈AI vs. 딥시크, 글로벌 AI 패권 경쟁 본격화 (0) | 2025.02.04 |
Ipconfig 내 컴퓨터 pc 아이피 ip 주소 확인법 프롬프트창 네이버 (0) | 2025.02.04 |
오픈AI 딥리서치 DeepReaserch 에이전트 성능 활용법 깊이 있는 조사 4o o3 분석 유료 pro plus (0) | 2025.02.03 |
회의 미팅 내용 녹취 및 텍스트 변환 정리 방법 앱 솔루션 추천 클로바노트 gpt활용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