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하신 부분만 골라 읽어보셔도 무방합니다.

1. IP 주소의 기본 개념
1. IP(Internet Protocol) 주소
• 인터넷이나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는 “주소” 역할을 합니다.
• 내부(사설) IP와 외부(공인) IP로 나뉩니다.
2. 내부(사설) IP
• 가정·사무실 공유기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는 IP 주소입니다.
• 보통 192.168.x.x, 10.x.x.x, 172.16.x.x ~ 172.31.x.x 형태이며, ipconfig로 확인되는 주소가 대부분 여기에 해당합니다.
3. 외부(공인) IP
•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로부터 할당받은, 외부 인터넷에 직접 노출되는 주소입니다.
• 공유기가 있는 환경에서는 모든 내부 기기가 이 공인 IP 하나를 ‘NAT’을 통해 공유해서 씁니다.
• 공인 IP는 ipconfig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별도 사이트나 검색 포털로 조회해야 합니다.
4. DHCP
• 공유기나 서버가 자동으로 IP 주소를 기기들에게 부여해주는 방식입니다. 대부분 자동 할당을 사용합니다.
5. DNS
• 웹사이트 주소(도메인)를 실제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 ex) naver.com → 125.209.xxx.xxx(실제 IP)
2. Windows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IP 확인
2.1. 명령 프롬프트 열기
1. Windows 10/11 기준
• 작업 표시줄 왼쪽 아래의 시작 메뉴 클릭
• 검색창 혹은 실행창에 cmd 또는 “명령 프롬프트” 입력 후 엔터
• 혹은 “Windows PowerShell”이나 “Windows 터미널(Windows Terminal)”도 동일 명령어 사용 가능
2. Windows 7/8
• 시작 버튼 → 검색창에 cmd 입력
• 또는 실행(Win + R) 창에서 cmd 입력 후 엔터
참고: 일부 네트워크 설정 변경 시에는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이 필요할 수 있으나, 단순 조회만 할 경우 기본 권한으로도 가능합니다.
2.2. ipconfig (기본 정보 확인)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면, 가장 간단히 입력할 수 있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ipconfig
이 때 확인되는 정보
• 이더넷(Ethernet) 어댑터 또는 무선 LAN(Wi-Fi) 어댑터 섹션에
• IPv4 주소 (내부 IP)
• 서브넷 마스크
• 기본 게이트웨이(공유기 주소)
예시 출력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연결별 DNS 접미사. . . . . : localdomain
IPv4 주소 . . . . . . . . . : 192.168.0.10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192.168.0.1
2.3. ipconfig /all (상세 정보 확인)
내 PC의 네트워크 어댑터 상세 설정(물리적 주소(MAC), DHCP 여부, DNS 서버 등)을 보고 싶다면 /all 옵션을 추가하면 됩니다.
ipconfig /all
출력 정보 예시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연결별 DNS 접미사. . . . . . . . . . . : localdomain
설명. . . . . . . . . . . . . . . . . . : Intel(R) Ethernet Connection
물리적 주소. . . . . . . . . . . . . . : 00-1A-2B-3C-4D-5E
DHCP 사용. . . . . . . . . . . . . . . : 예
자동 구성 사용. . . . . . . . . . . . : 예
IPv4 주소. . . . . . . . . . . . . . . : 192.168.0.10
서브넷 마스크 . . . . .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 . . . : 192.168.0.1
DHCP 서버. . . . . . . . . . . . . . . : 192.168.0.1
DNS 서버 . . . . . . . . . . . . . . . : 8.8.8.8
8.8.4.4
• 물리적 주소(MAC Address): 네트워크 카드의 고유 식별자
• DHCP 사용: 자동 IP 할당 여부
• DNS 서버: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IP로 변환해줄 서버 주소
• 임대 시작/만료 시간: DHCP 서버가 IP를 언제 할당했고 언제까지 유효한지
3. IP 재할당 및 네트워크 문제 해결 명령어
네트워크가 불안정하거나 IP가 제대로 안 잡힐 때 시도할 수 있는 명령어:
1. IP 해제(Release)
ipconfig /release
• 현재 할당받은 IP를 반환(해제)합니다.
2. IP 재할당(Renew)
ipconfig /renew
• DHCP 서버(공유기)에서 새로운 IP 주소를 다시 받아옵니다.
이 과정을 거친 뒤, 다시 ipconfig로 확인했을 때 IP가 정상적으로 잡히는지 체크하면 됩니다.
4. Windows 설정(그래픽 UI)에서 IP 주소 확인
명령어가 익숙하지 않다면, Windows의 설정 메뉴나 제어판에서도 IP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1. Windows 10/11 “설정”에서 확인
1. 시작 버튼 → 설정(톱니바퀴 아이콘)
2.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선택
3. 왼쪽(또는 상단) 메뉴에서 Ethernet(유선) 또는 Wi-Fi(무선) 클릭
4.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속성 혹은 상세 정보(버전별로 메뉴 이름 다름) 확인
5. IPv4 주소, 서브넷 마스크, DNS 주소 등이 표시됩니다.
Windows 11에서는 “네트워크 및 인터넷 → 고급 네트워크 설정 → 어댑터 옵션” 등으로 경로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4.2. Windows 7/8, 전통적 제어판에서 확인
1. 시작 → 제어판
2.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3. 화면 왼쪽 혹은 메인에 있는 어댑터 설정 변경 클릭
4. 연결 중인 어댑터(이더넷/무선) 아이콘 우클릭 → 상태
5. 자세히(Details) 버튼을 누르면 IP 주소, 서브넷, 게이트웨이 등 확인 가능
5. 외부(공인) IP 주소 확인 방법
공유기를 쓰는 환경에서는 ipconfig로 나오는 IP가 192.168.x.x 같은 내부 IP입니다.
외부(공인) IP 주소를 확인하려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됩니다.
1. 네이버 포털에서 검색
• 네이버 사이트(https://www.naver.com)에서 검색창에 “내 ip 주소” 또는 “ip 확인” 등을 입력합니다.
• 검색 결과 상단(또는 중간)에 현재 사용하는 공인 IP 주소가 표시됩니다.
• 예: “현재 사용 중인 IP는 211.xxx.xxx.xxx입니다.” 등의 메시지
2. 기타 IP 조회 사이트
• https://www.whatismyip.com/
• https://www.myip.com/
•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현재 사용 중인 공인 IP가 바로 표시됩니다.
3. 공유기 관리 화면
•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192.168.0.1 혹은 192.168.1.1 등)에 로그인하면 WAN 상태(외부 IP)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6. IP 충돌 및 네트워크 장애 시 대처 방법
1. IP 충돌
• 고정 IP를 여러 대가 동시에 사용 중이거나, DHCP 범위 밖 주소를 잘못 입력했을 때 발생 가능
• “IP 충돌” 알림이 뜰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이 안 될 수 있음
• 해결: 고정 IP 사용을 피하고 DHCP 자동 할당으로 전환하거나, 공유기 DHCP 설정 범위를 수정
2. 네트워크 어댑터(드라이버) 문제
• 드라이버가 손상되거나 구버전이면 IP 할당에 문제 발생 가능
• 해결: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혹은 재설치
3. 공유기 재부팅
• 공유기 전원을 껐다가 10~20초 후 다시 켜면, IP 충돌이나 임대 문제 등이 해결되는 경우가 많음
4. 방화벽 / 보안 프로그램 충돌
• 특정 보안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거나 임의로 IP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음
• 해결: 문제 발생 시 일시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꺼보고 테스트
5. ipconfig /release → ipconfig /renew
• 위 명령어 조합으로 IP를 재할당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음
7. 추가 팁 (FAQ)
1. IPv6 주소가 보이는데?
• Windows는 기본적으로 IPv6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fe80::~~~~ 같은 주소가 보이면 IPv6 주소입니다.
• 일반적으로 IPv4를 주로 사용하므로, IPv6를 특별히 쓸 일이 없다면 그대로 두어도 문제 없습니다.
2. VPN 사용 시
• VPN(가상 사설망)에 연결되어 있으면 가상 어댑터가 추가로 표시되며, 그쪽에 할당된 IP가 또 따로 보입니다.
• 실제 물리적 네트워크 어댑터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고정 IP 설정 필요 시
• 서버 운영이나 포트포워딩처럼 고정 IP가 필요하다면,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 → IPv4 속성”에서 직접 IP,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공유기의 DHCP 범위와 겹치지 않도록, 범위 밖 주소를 설정해야 IP 충돌을 피할 수 있습니다(예: DHCP 범위가 192.168.0.2~50이면, 고정 IP를 192.168.0.100처럼).
4. macOS / Linux
• macOS: 터미널에서 ifconfig 혹은 ip addr show
• Linux: 터미널에서 ip addr show 또는 옛 방식인 ifconfig (별도 패키지 필요할 수 있음)
• Windows가 아닌 환경이라면 다른 명령어를 사용하나, 개념은 동일합니다.
8. 전체 요약
1. 내부 IP 확인:
• ipconfig (기본 정보)
• ipconfig /all (자세한 정보)
• Windows 설정(네트워크 및 인터넷)이나 제어판 → 네트워크 상태 → 자세히(Details)
2. 외부(공인) IP 확인:
• 네이버에서 “내 ip 주소” 또는 “ip 확인” 검색 시 상단에 표시
• 전용 사이트(WhatIsMyIP.com, myip.com 등) 이용
•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WAN IP 확인
3. 문제 발생 시:
• ipconfig /release → ipconfig /renew로 IP 재할당
• 공유기/PC 재부팅
• 드라이버(장치 관리자) 확인, 방화벽 설정 점검, IP 충돌 여부 확인
4. 필요하다면 고정 IP 설정
• 공유기 DHCP 범위 밖 주소를 수동으로 지정
5. 이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상태 파악과 IP 충돌, 연결 문제를 대체로 해결 가능
위 단계를 숙지하면, 일반적인 네트워크 연결 문제부터 IP 주소 충돌, 공유기 설정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간단하게는 ipconfig 하나로 내부 IP 확인이 가능하고, 네이버 검색이나 특정 IP 조회 사이트를 통해 내 외부 IP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시면 됩니다.
'IT & Tech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AI vs. 딥시크, 글로벌 AI 패권 경쟁 본격화 (0) | 2025.02.04 |
---|---|
샘 알트먼의 한국 방문과 오픈AI의 전략 분석 (0) | 2025.02.04 |
오픈AI 딥리서치 DeepReaserch 에이전트 성능 활용법 깊이 있는 조사 4o o3 분석 유료 pro plus (0) | 2025.02.03 |
회의 미팅 내용 녹취 및 텍스트 변환 정리 방법 앱 솔루션 추천 클로바노트 gpt활용 (0) | 2025.02.03 |
GPT‑4, o1, o3 mini 비교: 성능, 특장점 및 활용법 총정리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