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와 정치

이흥구 대법관 프로필 학력 나이 고향 주요이력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5. 2.
반응형

요약


이흥구 대법관(1963년 3월 30일生)은 경상남도 통영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공법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제32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1993년 판사로 임용되어 서울·부산·대구 등지의 법원에서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   . 1985년 민추위 사건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1987년 특별사면 후 복권되었으며   , 2019년 사법행정자문회의 재판제도분과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 2020년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대법관으로 임명된 이 대법관은 의료과실 책임 확대 해석 판결의 재판장 역할을 맡았으며  , 2025년 이재명 전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서 소수의견을 내는 등 적극적 법리 해석을 이어가고 있다  .

초기 생애 및 배경

출생 및 가족

이흥구 대법관은 1963년 3월 30일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났다  . 어머니는 이무순 씨이며, 배우자는 부산지방법원 판사인 김문희 씨(사법연수원 25기)이다  .

학력

1982년 통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서울대학교 공법학과에 입학하였다  . 1989년 동유럽 사회주의 체제 붕괴 이후 체제 내 개혁을 모색하며 1990년 제32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

학생운동 및 법조 진로 전환

서울대 법대 학생회 사회부장 및 민주화추진위원회(깃발사건) 위원장으로 활동하던 1985년 11월, 국가보안법 위반(반국가단체 고무·찬양) 혐의로 구속되어 1심에서 징역 3년, 2심에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 1987년 6·29 선언 특별사면으로 석방되어 복학 후 학업을 마무리하였다  .

사법연수원 제22기를 수료할 당시, 과거 자신을 구속했던 김원치 검사와의 면담을 통해 “법조인으로 현실에 충실하면서 과거를 재확인하겠다”는 소회를 밝히고  , 검사 선배로부터 “훌륭한 후배가 되라”는 격려를 받으며 연수원을 마쳤다  .

사법 경력

초임 판사부터 고등법원 부장판사까지

1993년 3월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판사로 임용된 이후  , 1997년 부산지방법원 울산지원, 2002년 부산고등법원, 2008년 부산지법 부장판사, 2013년 창원지법 마산지원장, 2015년 부산지법 부장판사(우수법관 선정), 2016년 부산지법 동부지원장, 2018년 대구고법 부장판사(우수법관 선정), 2020년 부산고법 부장판사를 역임하였다  .

법원 운영 철학 및 위원회 활동

2016년 부산지법 동부지원장 취임사에서 “법원에 대한 신뢰는 공정한 재판을 통해서만 얻어진다”는 지론을 제시하며, 지위 평등·숙의 후 집행·포용적 법원 운영을 운영원칙으로 강조했다  . 2019년 10월에는 사법행정자문회의 재판제도분과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사법제도 개선 자문을 담당하였다  .

우리법연구회 활동

법원 내 진보 성향 모임으로 평가받는 우리법연구회 회원으로, “특정 성향 단체가 아니며 법원 내 다양한 목소리를 존중해야 한다”고 인사청문회에서 해명하였다  .

대법관 임명 과정

2020년 8월 대법관후보추천위원회는 권순일 대법관 후임 후보 3명 중 이흥구 부산고법 부장판사를 최종 추천했다  . 문재인 대통령은 같은 해 9월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으며, 국회 인준을 거쳐 2020년 9월 8일 대법관으로 취임, 임기는 2026년 9월까지다   .

주요 판결 및 소수의견

의료과실 손해배상 책임 확대 해석

2022년 12월 29일 선고된 손해배상(의) 사건(2022다264434)에서 재판장으로서 의료진의 주의의무 및 무과실 증명책임에 대한 법리를 심도 있게 다루며 응급 상황에서 최선의 조치 여부를 재정립했다  .

이재명 전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소수의견

2025년 5월 1일 전원합의체에서 이재명 전 대표의 골프·백현동 발언을 무죄로 판단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권순일 판례’를 인용하며  , “피고인에게 유리한 해석을 우선해야 한다”는 형사법 기본원칙을 강조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