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전 세계 애니메이션 IP 가치 순위 분석 포켓몬 슈퍼마리오 겨울왕국 케이팝데몬헌터즈 등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8. 24.
반응형


1. 역대 누적 수익 상위 애니메이션 IP 순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누적 수익을 올린 애니메이션/캐릭터 IP들은 수십 년에 걸쳐 다양한 매체와 상품으로 엄청난 수익을 창출해왔습니다. 특히 머천다이징(캐릭터 상품) 매출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영화 박스오피스나 게임 수익 등을 모두 합친 총액이 수백억 달러에 이르는 사례도 있습니다 . 아래 표는 역대 누적 수익 기준 상위권에 속하는 주요 애니메이션 IP들과 추정 총수익 및 주요 수익원을 정리한 것입니다:

순위 IP (국가, 시작연도) 누적 수익 (추정) 주요 수익원

1 포켓몬스터 (일본, 1996) 약 $1470억 달러 라이선스 상품 (게임·완구 등)
2 헬로 키티 (일본, 1974) 약 $890억 달러 라이선스 상품 (캐릭터 굿즈)
3 곰돌이 푸 (영국/미국, 1924) 약 $760억 달러 라이선스 상품 (인형 등)
4 미키 마우스 & 친구들 (미국, 1928) 약 $740억 달러 라이선스 상품 (테마파크·굿즈)
5 안판만 (호빵맨) (일본, 1973) 약 $560억 달러 라이선스 상품 (완구·식품 등)
6 디즈니 프린세스 (미국, 2000) 약 $460억 달러 라이선스 상품 (인형·의류 등)
7 마리오 (일본, 1981) 약 $380억 달러 비디오 게임 (콘솔·모바일)
8 드래곤볼 (일본, 1984) 약 $270억 달러 만화 출판 및 캐릭터 상품
9 건담 (일본, 1979) 약 $247억 달러 완구/프라모델 (피규어 등)
10 원피스 (일본, 1997) 약 $200억 달러 만화 출판 및 캐릭터 상품

상위권에는 일본과 미국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기반 IP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포켓몬스터는 게임으로 시작하여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카드 게임, 완구 등으로 확장한 대표적인 사례로, 추정 누적 매출이 약 1,470억 달러로 전 세계 1위를 기록했습니다 . 헬로 키티 역시 캐릭터 라이선싱을 통해 약 89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려 2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뒤를 이어 곰돌이 푸 (위니 더 푸), 미키 마우스 등 디즈니의 클래식 캐릭터들이 각각 700~750억 달러대의 누적 수익을 올리며 상위권에 있습니다 . 일본 국민 캐릭터인 호빵맨(안판만)도 비록 해외 인지도는 낮지만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약 5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려 세계 상위권에 들었습니다 .

그 외에 디즈니 프린세스 시리즈(여러 애니메이션 공주 캐릭터들의 합산 브랜드, $460억) , 닌텐도의 슈퍼 마리오 게임 시리즈($380억)  등도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일본 만화 원작의 드래곤볼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270억 달러 이상의 프랜차이즈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며 , 건담 역시 프라모델 등 완구 판매를 중심으로 $247억 달러가량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 원피스는 누적 만화 판매량 세계 1위의 기록 등에 힘입어 총 $200억 달러 안팎의 매출을 거둔 것으로 추정됩니다 .

※ 국가별 대표 IP: 미국의 대표 애니메이션 IP로는 디즈니 캐릭터들(미키 마우스, 푸 등) 이외에도 스폰지밥(니켈로디언, 약 $137억 )이나 심슨 가족(미국 역사상 가장 긴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일본은 앞서 언급한 포켓몬, 원피스, 드래곤볼, 건담 외에 짱구는 못말려(크레용 신짱), 도라에몽, 나루토 등의 장기 인기 캐릭터 IP가 국내외에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영국의 토마스와 친구들(기차 캐릭터, 약 $91억 )이나 페파 피그(유아 애니메이션 캐릭터, 전 세계 상품 매출 연 $10억 규모  ) 등도 해당 국가를 대표하는 성공적인 캐릭터 IP입니다. 한국의 뽀로로는 전 세계 110여 개국에 수출되어 누적 5조7천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낸 것으로 추산되며 , 중국에서는 시양양(喜羊羊与灰太狼) 등의 TV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처럼 각 국가별로 자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이 존재하며, 일부는 글로벌 IP로 성장하기도 합니다.

2. 최근 1~3년간 수익 동향 및 변화


최신년도 기준 수익을 살펴보면, 전통의 강자 IP들은 여전히 막대한 연매출을 올리는 가운데 신생 IP들의 단기 흥행도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포켓몬스터의 경우 여전히 연간 약 40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며 전세계 프랜차이즈 중 연매출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포켓몬은 지속적인 게임 출시와 카드 게임, 굿즈 판매 호조로 IP 파워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디어 믹스 확장을 통해 세대교체에도 성공한 사례로 꼽힙니다.

일본에서는 최근 애니메이션 영화와 만화의 인기에 힘입어 단기간에 폭발적 성장을 보인 IP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귀멸의 칼날>은 2019~2020년 TV 애니메이션과 극장판 영화가 세계적 흥행을 하며 관련 상품 판매가 급증했습니다. 그 결과 귀멸의 칼날 프랜차이즈는 불과 몇 년 사이에 $90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여 역사상 가장 매출이 높은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하나로 부상했습니다 . 특히 2020년 개봉한 극장판 <무한열차편>은 전 세계 박스오피스 5억7천만 달러를 기록하여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사상 최고 흥행작이 되었고, 대중적 인기가 캐릭터 상품 매출로도 이어졌습니다.

또 다른 예로 드래곤볼과 원피스의 최근 경쟁 구도를 들 수 있습니다. 2023년 도에이 애니메이션의 결산에 따르면, 그동안 꾸준히 최고 수익을 올리던 드래곤볼을 제치고 원피스가 해당 연도 애니메이션 부문 매출 1위에 올랐습니다 . 2023년 4월~2024년 3월 기준 도에이 애니메이션의 IP별 매출에서 원피스는 약 222억 엔(미화 $1억4천만)을 올려 드래곤볼(190억 엔, $1억2천만)을 앞질렀습니다 . 반면 완구/게임 등을 포함한 반다이남코의 IP별 매출에서는 건담(플라모델 등)이 1,457억 엔으로 1위를 차지하고 드래곤볼(1,406억 엔)과 원피스(1,121억 엔)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 이는 건담이 플라모델 등 상품 분야에서 꾸준한 강세를 보이며 최근 극장판 흥행과 맞물려 매출이 크게 상승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서구권 애니메이션 영화 쪽을 보면, 디즈니의 <겨울왕국 II>(2019)이 글로벌 박스오피스 14억5천만 달러로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흥행 1위를 기록하며 해당 IP의 가치를 끌어올렸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닌텐도의 게임 원작을 영화화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무비>가 전 세계 13억6천만 달러를 벌여 드림웍스의 미니언즈 시리즈 등을 제치고 연간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1위를 달성했습니다 . 이로써 마리오 프랜차이즈는 영화 흥행을 통한 신규 수익을 얻음과 동시에,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테마파크 “슈퍼 닌텐도 월드” 개장 등으로 IP 확장에 탄력이 붙었습니다 .

요약하면, 전통 강자 IP들은 안정적인 연매출을 유지하면서 여전히 최상위를 지키고 있고, 새로운 히트 IP들은 단기간에 대규모 수익을 올리며 순위권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품화와 장기적 팬층 측면에서 포켓몬이나 디즈니 캐릭터들의 아성을 단기간에 넘어서기는 어려우며, 장기적인 멀티미디어 전개 역량이 IP 가치 유지의 관건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매체 포맷별 IP 가치 비교 (TV vs 영화 vs 스트리밍 등)


애니메이션 IP의 가치는 어떤 매체로 전개되었는지에 따라 수익 구조나 강점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전통적으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나 극장판 애니메이션 영화로 인기를 얻은 IP는 캐릭터 상품화를 통해 가장 큰 수익을 창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실제로 상위 프랜차이즈들의 전체 매출 중 머천다이징 비중은 절대적으로 높습니다. 예를 들어 포켓몬스터의 경우 전체 추정 매출 중 90% 이상이 완구·게임 등 리테일 상품 판매에서 나오며 , 미키마우스나 곰돌이 푸 역시 대부분의 수익을 디즈니 캐릭터 상품과 테마파크 라이선스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IP인 <겨울왕국> 시리즈를 보더라도, 두 편의 영화 극장흥행 수입(약 27억 달러)보다 각종 완구·의류 등 관련 상품 매출(약 105억 달러)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이는 인기 애니메이션일수록 방영/흥행 수입보다 파생상품 사업에서 거두는 수익이 장기적으로 막대한 규모에 이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IP의 오리지널 매체 포맷에 따라 초기 수익 구조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에서 출발한 포켓몬스터나 슈퍼 마리오는 게임 판매 자체로도 막대한 직접 매출을 올리며, 이것이 IP 가치의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만화/출판 원작인 원피스, 드래곤볼 등은 원작 서적 판매만으로도 수억 부에 달하는 판매고를 올려 수익의 한 축이 됩니다  . 반면 TV 방송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한 IP의 경우 방영권 및 광고 수익은 제한적인 반면, 방송 노출을 통한 인지도 상승으로 캐릭터 상품화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 한국의 뽀로로 사례를 보면 애니메이션 방영 자체로 얻는 직접 수익은 전체의 5% 미만에 불과하고, 나머지 대부분을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으로 벌어들였다고 합니다 .

최근에는 OTT 스트리밍과 웹 애니메이션의 부상이 애니메이션 IP 시장 구조에 새로운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2023년 전 세계 애니메이션 콘텐츠 소비 시장 규모 약 1,980억 달러 중 스트리밍이 55억 달러로 약 28%를 차지하며, 전통적인 TV·극장 수익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OTT 플랫폼들은 인기 애니메이션의 스트리밍 판권 확보와 독점 공개를 위해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넷플릭스의 경우 2023년에 애니메이션 콘텐츠로만 약 2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 스트리밍 전용으로 제작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들도 등장하여 새로운 IP 창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라이엇게임즈는 자사 게임 IP를 기반으로 한 넷플릭스 <아케인>과 같은 스트리밍 전용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선보여 큰 반향을 얻었는데, 이는 게임→TV애니가 아닌 게임→스트리밍 시리즈라는 새로운 포맷 확장의 성공 사례로 평가됩니다.

다만 스트리밍 플랫폼 수익 모델 특성상 개별 IP의 직접 매출을 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스트리밍용 애니메이션은 구독자를 끌어모으는 미디어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크며, 이는 2차 수익(굿즈 판매 등)과 결합되어 IP의 전체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향후에는 전통 매체에서 시작된 IP들도 스트리밍을 통해 글로벌 동시 전개되는 사례가 늘고, 웹툰 원작 애니메이션 등 웹 기반 IP가 애니메이션화되어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실제로 일본의 인기 만화 <원피스>는 2023년 넷플릭스에서 실사 드라마로도 공개되어 원작 IP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을 재점화시켰고, 한국 웹툰 원작의 애니메이션들이 글로벌 OTT를 통해 방영되며 글로벌 팬층을 형성하는 등 매체 포맷 다변화가 활발합니다.

4. 케이팝 데몬 헌터즈의 IP 순위는?


비록 일본이 제작하고 미국 넷플릭수가 소유하며 전적인 수익을 가져가는 ip이지만 케이팝 데몬 헌터자는 누적 수익(박스오피스 + 스트리밍 + 사운드트랙 등)이 한국 원화 기준 1조 원(약 7.2억 USD)의 매출을 기록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동시에, 스트리밍 조회 수 1억 3천만 회, OST 10억 스트리밍 돌파, 싱어롱 상영에서 1,700개 극장 매진 등 문화적 파급력도 매우 높았습니다. 추가 수익 요소로는 속편 제작, 라이브 콘서트, 상품화 가능성이 있으며, 후속 IP 확장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태입니다   .

케이팝 데몬 헌터즈의 글로벌 IP 순위 내 위치


2025년 기준으로 누적 매출 상위 프랜차이즈는 모두 수백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 Pokémon: $1,500억
• 헬로 키티: $890억
• 미키 마우스 등: $700–$750억
• 마블, 해리 포터 등: $300–$350억대
• 드래곤볼, 건담, 원피스 등: $200–$300억대

이와 비교하면, K-Pop Demon Hunters의 약 $7.2억(720만 달러 아님) 규모는 누적 매출 기준 상위권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즉 ip 예상 순위는 100위권 이하 또는 신규 IP로서 현재 100위권 외입니다. 21위 이후는 $100억 달러 미만인 IP들이 많으며, K-Pop Demon Hunters는 아직 누적 규모가 $10억 이하이기 때문에 메가 IP 반열에는 들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다만 단기간 내 높은 공유와 콘텐츠 소비량, 음악 차트 점령, 후속 콘텐츠 확장으로 급부상 IP라는 점에서 IP 성장 초기단계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TV 시리즈, 극장판, 스트리밍 등 포맷별로 애니메이션 IP의 가치 실현 방식이 다르지만, 캐릭터와 세계관의 힘 있는 IP는 매체를 넘나들며 지속적으로 가치를 확대합니다. 머천다이징 사업은 여전히 가장 큰 수익원이며 , 여기에 게임, 출판, OTT 등 각 분야에서 IP를 확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프랜차이즈화하는 것이 현대 애니메이션 IP 비즈니스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각 포맷을 통한 수익 극대화와 글로벌 시장 동시 공략이 향후 애니메이션 IP 가치 순위 판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Sources: 세계 미디어 프랜차이즈 매출 순위 관련 Nikkei Asia/METI 자료  , Licensing International/VisualCapitalist 인포그래픽  , Hindustan Times 보도  , Wikipedia 및 업계 보고서    등을 종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