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와 정치

정원오 성동구청장 프로필 서울시장 출마 예상 국민의 힘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11. 13.
반응형


요약
서울특별시 성동구청장(민선 6·7·8기, 3선).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행정가로, ‘스마트 포용도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 등 생활밀착형 도시혁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본정보
• 이름: 정원오(鄭愿伍)
• 출생: 1968년 8월 12일, 전남 여천군 소라면(현 여수시)
• 정당: 더불어민주당
• 가족: 배우자 문혜정, 1남 1녀
• 종교: 개신교
• 병역: 육군 병장 만기
• 현직: 서울특별시 성동구청장(2014.7.1.~ , 3선)
위 항목 전부, 공개 약력 및 위키 문서 기준.  

학력
•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학사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 박사과정 수료  

주요 경력·활동(발췌)
• 1989년 서울시립대 총학생회장·1991년 전대협 선전부장 등 학생운동 경력
• 1995~1998년 양천구청장 비서실장
• 2000~2008년 임종석 국회의원 보좌관
• 2010년 민주당 부대변인, 2010~2012년 성동구도시관리공단 상임이사
• 2014·2018·2022년 성동구청장 당선(3선)
• 더불어민주당 필수노동자 보호·지원TF 지방정부추진단장, KDLC 사무총장 등 당·협의체 직책 다수  

선거 이력(득표)
• 2014년 성동구청장 50.02%(72,188표) — 초선
• 2018년 성동구청장 69.46%(107,970표) — 재선
• 2022년 성동구청장 57.60%(79,786표) — 3선  

대표 정책·성과
• 스마트 포용도시: 지능형 CCTV·데이터 기반 교통안전 등 디지털 행정과 포용정책을 결합하는 로컬 모델 추진.  
• UN 공공행정상(UNPSA) 수상(2020): ‘효사랑 건강주치의(HYO Policy)’로 ‘포용적·형평적 서비스 제공’ 분야 수상(성동구 수상). 유엔 공식 수상 데이터베이스에 등재.  
•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행정안전부·국민권익위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다년간 선정(구정 공식자료).  
•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2015년 성수동 일대에 전국 최초로 방지정책 도입·조례 제정, ‘지속가능발전구역’ 지정 및 상생협약 모델 구축. 2023년 성수동 전역으로 확대·‘시즌2’ 추진.  
• 문화·도시재생: 삼표레미콘 부지 일대 문화·공연 인프라 구상 등 지역 문화생태계 강화 추진.  

저서(일부)
• 『지속가능도시 ESG+E』(2025)
• 『도시의 혁신, 스마트시티—4차 산업혁명이 만드는 포용도시』(2018)
• 『도시의 역설, 젠트리피케이션』(2016)  

공개된 전과(후보자 정보공개 자료 인용)
• 1991년 집시법 위반(징역 8월, 집행유예 2년)
• 1996년 공무집행방해·폭처법 위반(벌금 300만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를 인용한 공개 약력에 기재)  


최근 동향(2025년 11월 기준)
• 서울시장 출마 관련 발언: 11월 12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12월 중 결정을 하겠다…(여론) 지지는 행정가 출신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같은 행정가 출신인 본인에게 표출된 것 같다”고 언급. 종묘 일대 개발 논쟁과 관련해 “개발 자체엔 찬성하나 세계문화유산 가치 훼손이 없어야 하며 유네스코 영향평가를 받자”는 입장을 제시.  
• 여론조사: 조원씨앤아이(스트레이트뉴스 의뢰) 11월 1~2일 서울시민 801명 대상 ‘진보·여권 서울시장 후보 적합도’에서 정원오 13.0%, 박주민 10.0% 등으로 집계(ARS,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5%p). 관련 보도 다수.  
• 출마 고심 언급: 10월 말 인터뷰에서도 “서울시장 출마 고민 중”이라고 밝힘.  


참고 링크(공식·공공)
• 성동구 ‘소통구청장실’(인사말·걸어온 길 등)에서 이력과 정책 방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성수동 ‘지속가능발전구역’ 등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제도 안내는 성동구 공식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1/0002749615?ntype=RANKIN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