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78

2025학년도 한양대학교 정시모집 최종 경쟁률 과별 최초합격자 발표일 한양대학교의 2025학년도 정시모집 최종 경쟁률은 6.2대 1로, 전년도 5.06대 1 대비 상승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번 경쟁률 상승의 주요 원인은 다군 신설 및 한양인터칼리지학부 신설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1. 총괄 경쟁률 및 전년도 대비 변화 • 2025학년도 정시 최종 경쟁률: 6.2대 1 (모집 1,281명, 지원 7,945명) • 2024학년도 정시 최종 경쟁률: 5.06대 1 (모집 1,294명, 지원 6,548명) • 상승 요인: • 다군 한양인터칼리지학부 신설: 62명 모집에 1,324명 지원, 경쟁률 21.35대 1 기록 • 정원외 계약학과(반도체공학과 등) 포함2. 모집군별 경쟁률 비교가군 (4.72대 1) • 모집인원: 926명 • 지원인원: 4,368명 • 경쟁률:.. 2025. 1. 3.
2025 정시 서강대학교 최종 경쟁률 과별 경쟁률 합격자 발표일 서강대학교는 2025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총 637명을 선발하며, 이에 4,753명이 지원하여 평균 경쟁률은 7.46대 1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도 4.77대 1(642명 모집, 3,064명 지원)보다 상승한 수치로, 특히 신설된 다군의 높은 경쟁률이 전체 상승에 기여했습니다.모집군별 경쟁률: • 나군: 554명 모집에 2,911명 지원, 경쟁률 5.25대 1로 전년도 4.77대 1보다 상승했습니다. • 다군: 83명 모집에 1,842명 지원, 경쟁률 22.19대 1로 매우 높았습니다.학과별 경쟁률: • 다군: • AI기반자유전공학부: 36명 모집에 815명 지원, 경쟁률 22.64대 1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 47명 모집에 1,027명 지원, 경쟁률 21.85대 1로 높았.. 2025. 1. 3.
2025학년도 고려대·연세대 정시 최종 경쟁률 심층 분석 2025학년도 정시에서 고려대와 연세대는 서로 다른 경쟁률 흐름을 보였습니다. 고려대는 경쟁률이 상승하며 지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반면, 연세대는 하락하며 의약계열을 제외한 모집단위에서 안정적인 지원 경향이 강화되었습니다. 각 대학별 전형, 모집단위, 경쟁률의 상세 분석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1. 고려대: 4.93대 1 ‘상승’고려대의 2025학년도 정시 최종 경쟁률은 **4.93대 1(1722명 모집/8498명 지원)**로, 지난해 4.47대 1(1650명/7387명) 대비 상승했습니다.전형별 경쟁률 • 가군 일반전형: 4.03대 1(1192명 모집/4803명 지원) • 지난해 3.92대 1(1210명/4747명) 대비 소폭 상승. • 가군 교과우수전형: 3.67대 1(494명 모집/1812명 지.. 2025. 1. 2.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최종 경쟁률 심층 분석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최종 경쟁률은 3.93대 1(1389명 모집/5452명 지원)로, 지난해 4.71대 1(1373명 모집/6466명 지원) 대비 하락했습니다. 이번 경쟁률 하락은 역대급 N수생 증가, 평이한 수능 난이도, 안정 지원 확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설명됩니다. 아래는 경쟁률 변화의 배경과 주요 특징을 전형 및 모집단위별로 상세히 분석한 내용입니다.1. 경쟁률 하락의 주요 요인1) N수생 증가와 안정 지원 확대올해는 재수생과 반수생 비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위권 경쟁이 한층 심화되었습니다. 특히 평이한 수능 난이도로 인해 수험생들이 소신 지원 대신 안정 지원을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했습니다. • 지난해와 달리, 수능에서 극단적인 변별력이 발생하지 않아 학생들이 상위권 대학에 모험적인 지원을.. 2025. 1. 2.
2025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최종 공지 시간 분석 2025년 1월 2일 (목) 1. 14시 • 건국대(17), 고려대(17), 연세대(17) 2. 15시 • 이화여대(17), 서울대(18) 3. 16시 • 서울시립대(18)2025년 1월 3일 (금) 1. 09시 • GIST(18), DGIST(18), KAIST(17) - 전날 마감 2. 10시 • 성균관대(18), 용인대(18), UNIST(18) 3. 11시 • 가톨릭대(17) 4. 12시 • 가천대(18), 강남대(18), 경기대(17), 국립인천대(18), 동덕여대(18), 명지대(18), 상명대(18), 서경대(17), 성결대(18), 수원대(18), 안양대(18), 을지대(18), 평택대(18), 한국공학대(18), 한신대(18), 협성대(18) 5. 13시 • 단국대(17), 동국대(W)(.. 2025. 1. 2.
2025학년도 대학입시 정시 모집 일정 가 나 다군 원서 접수 마감일 2025학년도 대학입시 정시모집이 시작되면서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올해 정시모집은 여러 변수로 인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으며, 막판까지 치열한 눈치싸움이 예상됩니다. 전국 대학별 모집인원, 수시 이월 인원, 전형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수험생들이 유의해야 할 주요 사항과 정시 지원 전략을 정리했습니다.2025학년도 정시모집 주요 특징1. 의대 정시 모집 대폭 확대올해 의과대학 정시 모집은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 의대 증원: 17년 만에 대규모 의대 증원이 이루어졌으며, 정시 모집 인원이 전년 대비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 수시 이월 인원: 전국 39개 의과대학에서 수시모집 미충원으로 인해 정시로 이월된 인원이 105명에 달하며, 이는 전년 대비 3배 수준입니다. • 주요 .. 2025. 1. 1.
상황별 속담 200개 뜻 용례 상황 총정리 모음 이번에는 유용한 속담 200개와 그 뜻, 용례를 포함한 리스트입니다. 일상생활, 직장, 학업, 인간관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담들을 주제별로 정리했습니다.1. 일반 생활 속담 1.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뜻: 자신이 상대에게 하는 말이 좋아야 상대방도 좋은 말을 한다. • 용례: “친구에게 화를 내기 전에 생각해봐.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말도 있잖아.” 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뜻: 아무리 비밀로 말해도 다른 사람에게 들릴 수 있으니 조심하라는 뜻. • 용례: “사람들 많은 곳에서는 비밀 얘기를 하지 마.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잖아.” 3. 등잔 밑이 어둡다 • 뜻: 가까운 곳에서 벌어지는 일을 오히려 모를 수 있다는 뜻. .. 2025. 1. 1.
국내 국제학교 총정리 비교 채드윅 청라달튼 아시아퍼시픽 학비 진로 해외대학 등록금 학비 입학 준비 방법 1. 국제학교란?국제학교는 한국 기준으로 국내 외국인과 국외에서 교육과정을 일정 기간 수료한 한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입니다. 흔히 "국제학교"로 불리지만, 대한민국에서 국제학교는 교육부의 공식 인가를 받은 외국교육기관을 의미하며, 법적으로 학원과 구분됩니다.외국교육기관: 교육부 인가를 받은 학교로, 정식 학력 인증이 가능합니다.학원과의 차이: 초중등교육법 제65조 3항에 따라 학교 설립 인가를 받지 않고 학생을 모집해 학교 형태로 운영할 경우 시설 폐쇄 명령을 받을 수 있습니다.내국인 입학 가능 여부: 경제자유구역 내 국제학교는 내국인도 입학할 수 있으며, 한국 및 외국 학력을 모두 인정받는 경우가 많습니다.2. 국제학교와 한국 초중고와의 학제 비교2.1 학제 비교국제학교 학제: 대부분 미국식.. 2024.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