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산업

삼부토건 이일준 회장 프로필

by 지식과 지혜의 나무 2025. 7. 19.
반응형

학력

• 호남대학교 경상대학원 경제학 석사 (2015년 2월 졸업) . (※ 참고: 학부 졸업 정보는 공개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음)

나이 및 출생

• 출생: 1962년 4월 (전남 나주 출생)  
• 나이: 2025년 기준 만 63세 (한국 나이 64세).

고향

• 출신 지역: 전라남도 나주시 영산포 . (나주 영산포에서 성장)

주요 경력 및 이력

• 1993년: 고향 전남 나주에서 대양건설을 창업하고 호남권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개발사업을 시작 .
• 1999년: 대양건설의 상호를 대양산업개발㈜로 변경하고 현재까지 회장직을 역임 .
• 2017년: 자선 격투기 단체 AFC(엔젤스파이팅 챔피언십) 회장에 취임 . 난치병 어린이돕기 자선 격투대회 등을 개최하는 사회공헌 활동을 펼침.
• 2018~2019년: 계열사 대양디엔아이(D&I)와 씨엔아이(C&I)를 통해 코스닥 상장사 웰바이오텍에 투자, 2019년 5월 최대주주에 올라 경영권을 확보 . 같은 해 녹원씨엔아이 지분도 매집하여 연말에 경영권을 인수 .
• 2019년: 한국자유총연맹 서울시지부 수석부회장 및 세계대한프로태권도연맹(국기원) 부총재로 선임되어 활동 시작 . (정치적 성향은 보수로 분류된다는 평가가 있음 )
• 2021년: 9월 코스닥 상장사 자안코스메틱(현 ㈜디와이디, DYD) 경영권 지분 21.39%를 약 100억 원에 인수하여 최대주주 등극 . 같은 해 1월부터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 부동산MBA 과정 지도교수로도 활동 .
• 2023년: 화장품 유통업에서 건설업으로 전환한 DYD를 통해 삼부토건 인수를 마무리하고, 약 8.85% 지분 확보로 삼부토건 최대주주가 됨 . (인수자금 총 700억 원 투자) 삼부토건 인수 후 종합건설사 도약을 추진하였으나 재무 부실 등의 난관에 직면함  .

재산 및 기업 지분 현황

• 대양건설㈜: 이일준 회장이 지분 **50%**를 보유 (나머지 50%는 배우자 최경희 씨 소유) .
• 대양산업개발㈜: 이일준 회장이 지분 40% 보유 (나머지 지분은 가족 등 특수관계인 소유로 추정) . 두 회사 모두 이일준 회장이 실질 지배하는 가족기업이다.
• 웰바이오텍: 2019년경 이일준 회장이 최대주주로 올라섰던 코스피 상장사로, 2022년 삼부토건 인수자금 마련을 위해 지분을 매각함 .
• ㈜디와이디(DYD): 이일준 회장이 2021년 인수 당시 약 21.39% 지분을 확보해 최대주주였으나, 2024년 말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이후 **4.22%**로 지분율이 낮아져 현재 2대주주로 있다 . (※ 2024년 12월 신규 투자자인 레그테크가 100억 원 증자로 14.58% 지분 확보 후 DYD 새 최대주주가 됨 .)
• 삼부토건㈜: 상기 DYD가 **삼부토건 지분 8.85%**를 인수하여 2023년부터 이일준 회장이 사실상 경영권을 장악 . (개인 명의의 직접 지분보다는 특수관계 법인을 통한 우회 지배 구조)
• 기타 재산 규모: 정확한 개인 재산 규모는 공개되어 있지 않으나, 핵심 기반인 대양산업개발의 자산총액이 약 146억 원 수준(2021년 말 기준)으로 회사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라는 분석이 있다 .

최근 동향 및 사회적 이슈 (2024~2025년 기준)


삼부토건 본사 사옥이 입주한 서울 여의도 커먼프라자 빌딩 모습 (삼부토건은 2024~2025년 심각한 경영 위기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여 있다).
• 주가조작 혐의 및 구속: 2023년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에 참여할 것처럼 허위 홍보하여 삼부토건 주가를 띄운 뒤 보유 주식을 매도, 약 369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수사를 받아왔다 . 이일준 회장은 2025년 7월 18일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특검에 의해 구속되었으며 , 함께 수사받은 이응근 전 대표이사도 구속됐다. (조성옥 전 회장은 증거 불충분으로 영장이 기각됨)
• 경영 악화와 상장폐지 위기: 삼부토건은 최근 3년 연속 적자로 재정난에 빠졌고, 2022년 영업손실 808억 원, 2023년 782억 원을 기록하여 자본잠식 상태에 이르렀다 . 2024년 8월 반기보고서에서 감사의견 거절을 받음에 따라 주식 거래가 정지되고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상태이다 . 회사 누적 결손금은 2023년 말 기준 2,881억 원, 단기차입금 등 부채 상환 부담도 큰 상황이다.
• 임금 체불 사태: 경영 위기로 직원 임금 지급 지연이 반복되었다. 2022년 3월, 6월, 7월 등에 월급을 제때 지급하지 못해 7월분 급여는 8월 중순에야 지급 완료되는 등, 2023년 초까지 총 4차례의 임금 체불이 발생했다 . 이러한 임금 지연으로 노동자 신뢰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 안전사고 및 영업정지: 2023년 1월 경기도 남양주 진접 3지구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중대 안전사고(근로자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관계 당국으로부터 2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 (서울시의 처분으로 2023년 1월 31일부터 3월 30일까지 영업정지 및 공공입찰 제한 조치가 내려졌으며, 해당 현장의 공사금액 2,553억 원 규모에 타격이 있었다.)
• 유동성 위기 대응: 삼부토건은 극심한 자금난을 타개하기 위해 자산 매각에 나섰다. 2024년 말 경기 남양주시 덕소1구역 부지(도시개발용 토지, 약 6만5천㎡)를 약 1,300억 원에 매각하여 일시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 그러나 부지 매각 당시에도 채무상환을 간신히 연장하는 등 회사의 재무구조 개선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

참고 자료: 이일준 회장 관련 공식 공시자료, 언론 보도 및 기업분석 리포트 등을 종합하여 작성. 특히 아시아경제, 경기일보, 컨슈머타임스, 일요시사 등의 신문 기사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자료ㅔ를 인용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