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로봇 테마 ETF 개요

중국의 로봇 산업(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자동화 장비, 인공지능 등)은 정부 지원과 기술 발전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여 중국 증시에는 로봇/AI 관련 테마형 ETF들이 다수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들 ETF는 위안화(CNY)로 거래되는 중국 본토 ETF부터, 홍콩달러(HKD)·미국달러(USD)로 거래되는 해외 상장 ETF까지 다양합니다. 또한 일반 인덱스형 ETF뿐 아니라 레버리지(2배 추종)나 인버스(-1배 역추종) 형태로 글로벌 로봇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도 일부 존재합니다 (미국 상장 UBOT 등) . 다만 중국 로봇 산업만을 대상으로 한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아직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아래에서는 상장 시장별로 중국 로봇 ETF를 정리하고, 각 ETF의 운용사, 추종 지수와 테마, 상장 시장/통화, 총보수(TER), 순자산(AUM), 최근 1개월·연초후(YTD)·1년 수익률, 대표 편입종목 상위 등을 비교합니다. 마지막으로 투자 시 유의사항과 주목할 만한 ETF도 함께 설명합니다.
중국 본토 상장 로봇 ETF (위안화 거래)
중국 본토 증시(상하이/선전)에는 위안화(CNY)로 거래되는 로봇산업 테마 ETF들이 다수 있습니다. 주요 ETF들의 정보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ETF명 (티커) 운용사 추종 지수/테마 상장시장 총보수(TER) AUM1 1개월 YTD 1년2 상위 편입종목 (%)
화샤 중증 로봇 ETF (562500) 화샤(华夏) 중증(CSI) 로봇 지수3 상하이 0.60%  144.7억 위안  +7~8% +35% +51.9%  汇川技术(Shenzhen Inovance) 9.9%, 科大讯飞(iFlytek) 9.7%, 石头科技(Roborock) 5.0%, 大华股份(Dahua) 4.9% 
易方达 로봇산업 ETF (159530) 이방다(易方达) 국증(CNI) 로봇산업 지수 선전 0.60%  102.4억 위안  +7~8% +30~40% +50%대  (구성 종목 대체로 상기 유사기업,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주 비중 ↑) 
천홍 중증 로봇 ETF (159770) 톈홍(天弘) 중증(CSI) 로봇 지수 선전 0.60% (추정) 58.3억 위안  +5%  +37.8%  +78.7%  (상기 화샤 ETF와 동일 지수 구성)
펑화 로봇산업 ETF (159278) 펑화(鹏华) 국증(CNI) 로봇산업 지수 선전 0.60% (추정) 규모 수천억 원대 +7~8% +30~40% +50%대 (易方达 ETF와 동일 지수 구성)
남방 중증 로봇 ETF (159258) 난팡(南方) 중증(CSI) 로봇 지수 선전 0.60% (추정) 12.6억 위안  데이터 없음4 N/A N/A 科大讯飞, 汇川技术, 石头科技, 大华股份 등 다수 
1 AUM은 2025년 9월 기준 순자산 규모이며, 화샤 ETF는 약 144.7억 CNY  (2025.06.30 기준), 이방다 ETF는 2025년 9월 16일 102.4억 CNY 돌파  등.
2 1년 수익률은 2024년 9월 말 대비 2025년 9월 말 기준 (화샤 ETF 약 +51.95%) . 2023년 하반기 저점 대비로는 +70~80% 급등 사례도 있음.
3 중증 로봇 지수(中证机器人指数) = CSI Robotics Index. 상하이·선전 상장 로봇/自动化 핵심기업들로 산출 . 국증 로봇산업 지수(国证机器人产业指数) = Shenzhen Info. Tech사가 산출하는 유사 테마지수로, 북경거래소 종목까지 포함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비중을 높인 것이 특징 .
4 남방 로봇 ETF는 2025년 7월 신규 상장되어 1개월·YTD·1년 수익률은 아직 의미 없습니다 . 9월 중순 기준 약 12.6억 위안 규모를 형성하며 단기간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
위 ETF 중 화샤 중증 로봇 ETF(562500)는 2021년 말 설정된 이후 자산 규모가 144억 위안에 달하는 최대 규모의 로봇 ETF입니다 . 선전거래소 상장인 易方达(이방다) 국증 로봇산업 ETF(159530)는 2024년 출시되어 2025년 9월경 규모 100억 위안을 돌파하며 후발주자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 두 ETF는 서로 다른 지수를 추종하지만(화샤는 CSI 로봇, 이방다는 CNI 로봇산업), 포트폴리오는 산업용 로봇, 자동화 부품, AI 기술 기업 등 유사한 핵심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 화샤 ETF의 경우 인버스테크(汇川技术)와 아이플라이텍(科大讯飞)이 각각 순자산의 약 10%씩을 차지하고, 로봇청소기 기업 로보락(石头科技) ~5%, 보안장비사 다화(大华股份) ~5% 비중으로 상위권에 올라 있습니다 . 이방다 ETF 역시 인버스테크·아이플라이텍 등을 담고 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주(예: 人形机器人 개발업체 등)의 비중이 조금 더 높은 편입니다 .
그 외에도 톈홍(天弘)·펑화(鹏华)·인화(银华)·자오상(招商) 등 여러 운용사가 유사한 로봇 테마 ETF를 출시하여 경쟁 중입니다. 전체적으로 총보수(운용+수탁보수)는 연 0.6% 내외로 비슷하며  , 추적 오차도 연간 ±0.5% 수준으로 양호한 편입니다. 최근 1년(2024.92025.9)간 중국 로봇 관련 지수들의 상승률은 +50% 이상으로, 신성장 테마 중 가장 높은 군에 속했습니다 . 다만 2023년 하반기에 저점 대비 반등폭이 컸기 때문에, 2025년 들어 연초 이후(YTD)로는 +3040% 수준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홍콩 및 미국 상장 로봇 ETF (HKD/USD 거래)
해외 시장에서는 홍콩 증시와 미국 증시를 통해 중국 로봇산업에 투자하는 ETF를 찾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 홍콩에 상장된 Global X China Robotics & AI ETF(티커: 2807 HK)와 미국에 상장된 Themes China Generative AI ETF(티커: DRGN)가 있습니다. 아래 표는 이들 해외 상장 ETF의 주요 정보를 비교한 것입니다:
ETF명 (티커) 운용사 추종 지수/테마 상장시장 통화 총보수 AUM 1개월 YTD 1년 상위 편입종목 (%)
Global X 중국 로봇&AI (2807/9807) 미래에셋(Global X) 팩트셋 중국 로봇 & AI 지수   HKEX (홍콩)  HKD / USD 0.68%  5.54억 HKD (71백만 USD)5   +14.1%  +34.7%  +36.0%  센스타임(SenseTime) 7.9%, 바이두 ADR 7.9%, 호라이즌로보틱스 6.1%, 하이크비전 5.7%, 다화股份 4.6% 
Themes 中 생성AI (DRGN) Themes ETF BITA 중국 생성 AI 셀렉트 지수   CBOE BZX (미국) USD 0.39%   2,400만 USD (추정)6 N/A N/A N/A7 바이두 8.1%, 漫维科技(Montage Tech) 7.8%, 콰이쇼우 6.8%, 富士康工業互联网 6.7%, 센스타임 6.2% 
5 Global X ETF는 HKD기준 5.54억 달러 규모이며, 동일한 ETF가 USD 마켓(티커 9807)으로도 거래됩니다  .
6 DRGN ETF는 2025년 7월 설정 이후 63만주 규모로, 2025년 10월 기준 순자산 약 2천만 달러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
7 DRGN은 2025년 7월 15일 신규 상장되어 연초후(YTD) 및 1년 수익률 데이터가 없습니다. 설정 이후 현재까지 약 +51.4% 상승하였습니다 .
Global X China Robotics & AI ETF(2807 HK)는 홍콩 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로봇/인공지능 테마 ETF로, 중국 본토뿐 아니라 홍콩 및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까지 포괄합니다 .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 상위에는 중국 대표 AI 기업인 센스타임(홍콩 상장)과 바이두(나스닥 ADR)가 각각 7~8% 비중으로 포함되어 있고, 자율주행 칩업체인 Horizon Robotics(홍콩) 6%, 보안카메라 기업 하이크비전(선전) 5%, 로봇청소기 제조사 로보락(상하이) 등이 편입되어 있습니다  . 해당 ETF는 2020년 8월 출시되었으며 총보수는 연 0.68%, 순자산 약 5.5억 HKD로 홍콩 시장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테마 ETF입니다  . 2025년 들어 연초후 +34.7% 상승하며 같은 기간 CSI로봇지수(+35% 내외)와 유사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Themes China Generative AI ETF(DRGN)는 2025년 7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액티브 운용 ETF로, 생성형 AI 및 중국 로봇/기술 혁신주에 집중합니다  . 추종지수는 BITA China Generative AI Index로, 생성 AI 관련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업을 선별하여 24종목을 편입합니다 . 상위 보유종목은 바이두, Montage Tech(반도체), 콰이쇼우(동영상 플랫폼), 工业富联(폭스콘 산업인터넷), 센스타임 등으로 AI 플랫폼부터 부품까지 아우르고 있습니다 . 총보수는 0.39%로 비교적 저렴하며 , 설정 직후부터 중국 AI주 강세에 힘입어 출시 이후 3개월간 +5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다만 아직 순자산 2천만 달러 안팎의 소규모 신생 펀드이므로 유동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한편, 미국 시장에는 글로벌 로봇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레버리지 ETF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Direxion Daily Robotics & AI 2X ETF(UBOT)는 Indxx 글로벌 로봇/AI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상품으로, 총보수 1.22%에 일일 2X 레버리지 성과를 제공합니다 . 그러나 중국 로봇산업만을 타겟으로 한 레버리지나 인버스 ETF는 아직 출시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투자자 유의사항 (리스크 및 고려사항)
중국 로봇 산업 ETF에 투자할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 유동성 및 거래량: 본토 상장 ETF 중 화샤 등 대형 펀드는 일거래 수백만~수억 위안의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지만, 일부 신생 ETF(예: DRGN 등)나 소규모 펀드는 거래량이 적을 수 있습니다. Bid-Ask 스프레드 및 환금성을 확인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홍콩 상장 2807 ETF도 자산 규모 대비 일평균 거래대금이 크지 않은 편이므로 큰 금액 투자 시 슬리피지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추적 오차: 지수형 ETF의 경우 운용보수와 환헤지 비용 등으로 인해 지수 대비 소폭의 추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lobal X 2807 ETF의 경우 연간 약 -0.5% 내외의 추적차가 과거 관찰되었습니다  . 본토 ETF들 역시 일중 자금 유출입에 따라 소폭의 지수 대비 괴리율 변동이 있으나 대체로 관리 범위 내입니다.
• 산업 집중도 및 변동성: 로봇/인공지능 테마는 기술주 중에서도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지수 구성종목이 중소형 성장주에 몰려 있고, 상위 몇 종목에 편입비중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샤 ETF는 상위 2종목이 포트폴리오의 20% 가까이를 차지하여 개별 기업 이슈에 민감합니다 . 또한 경기변동이나 정책 변화에 따라 테마 전체가 크게 등락할 수 있는 만큼, 분산 투자와 긴 투자 시계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환율 및 세제 이슈: 위안화 자산에 투자하는 본토 ETF의 경우 환헤지 없이 위안화 변동 위험을 부담해야 합니다. 홍콩이나 미국 상장 ETF도 각각 HKD/USD로 거래되지만 최종적으로는 중국 기업에 투자하므로 중국 시장의 환율, 규제 리스크가 반영됩니다. 또한 해외 상장 ETF에 투자할 경우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 과세 환경(미국 PFIC 규정, 홍콩 배당소득세 등)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레버리지 ETF 활용 시 주의: 로봇 테마의 레버리지 상품(예: UBOT 2x 등)은 단기 투기적 목적에 적합하며 장기 보유 시 복리효과로 인한 수익률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일간 목표를 추적하도록 설계되므로, 추세가 꺾일 경우 빠르게 손실이 커질 위험이 있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ETF 및 결론 (요약 & 추천)
중국의 로봇 산업에 폭넓게 투자하려는 투자자에게는 화샤 중증 로봇 ETF(562500)와 Global X China Robotics & AI ETF(2807 HK)를 특히 주목할 만한 선택지로 추천합니다. 화샤 ETF는 14조 원대 규모로 유동성이 가장 풍부하고 운용 이력이 길어, 중국 본토 A주 시장의 로봇 핵심주들에 효율적으로 분산투자할 수 있는 대표 상품입니다 . 1년 수익률이 +50%를 넘을 정도로 최근 성과도 우수하나 , 단기간 급등에 따른 변동성에 유의하며 장기 성장성을 보고 분할매수하는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해외 상장 중에서는 미래에셋의 Global X 2807 ETF가 중국 내 로봇·AI 혁신기업들을 망라하면서도 홍콩달러로 손쉽게 투자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이 펀드는 바이두, 센스타임 등 중국 AI 선도주까지 포함하여 향후 로봇 기술의 지능화 추세까지 담고 있으며, 연초 이후 35% 이상의 상승률로 양호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홍콩 증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어 중국 본토 직접투자가 어려운 국내 투자자에게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국 로봇 산업은 제조업 자동화, 인공지능 로봇 등의 발전으로 중장기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분야이지만, 단기 과열시 조정 위험도 상존합니다. 따라서 위 소개된 ETF들을 비교·분석한 후 자신의 투자 목적과 기간에 맞게 비중을 조절하고, 시장 추세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분별 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본 보고서가 제시한 포괄적 정리가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출처: ETF 공식 운용사 자료  , Bloomberg/홍콩거래소 정보  , 중국 거래소 공시 및 데이터 (SSE, SZSE)  , 금융정보사이트 (新浪财经, ETF 전문지 등)  , Morningstar 등.
'get ri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전기차 산업 테마 ETF 비교 추천 (0) | 2025.10.07 |
---|---|
월스트리트 주요 직무 연봉 총조사 (2023–2024) (0) | 2025.09.01 |
국내 은행들의 스테이블코인 실험 심층 분석 (0) | 2025.08.27 |
크로노스 코인 (CRO) 종합 분석 (0) | 2025.08.27 |
퀀텀(QTUM) 코인 전망 종합 분석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