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산업 발전과 국제 협력의 바로미터



2025년 8월 8일부터 12일까지 중국 베이징 이좡에서 개최된 제10회 세계로봇콘퍼런스(WRC 2025)는 세계 로봇 산업을 대표하는 연례 행사로서 최신 로봇 기술과 연구 동향을 한자리에 모았다 . 중국전자학회와 세계로봇협력기구(WRCO)가 공동 주최한 5일간의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200여 개 로봇 기업이 참가하여 1,500종 이상의 최첨단 로봇 제품을 선보였으며  , 로봇을 더 똑똑하게, 구현된 에이전트를 더욱 지능적으로 라는 주제 아래 로봇 박람회와 로봇 경진대회 등 다양한 부대 행사도 함께 열렸다. 이 콘퍼런스는 참가 기업 및 국제 후원 기관의 규모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세계 로봇 산업 동향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로 평가되었고, 중국이 로봇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통해 기술 발전을 도모하려는 의지를 부각하는 무대가 되었다 .
2025년 WRC 개막 행사에서 사회를 맡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모습 . 개막식 행사에는 인간형 로봇이 사회자로 등장하여 진행을 맡음으로써 로봇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실제 활용 가능성을 관객들에게 각인시켰다 . 이러한 연출은 콘퍼런스의 주제인 로봇 지능화와 체화된 에이전트의 발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향후 로봇 기술이 현실 세계의 인간 활동에 깊숙이 융합될 시대가 임박했음을 예고하는 장면이었다. 이는 로봇이 인간 중심의 업무에도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큰 관심을 모았다.
로봇 기술 혁신의 전시
WRC 2025 혁신관에서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복싱 경기를 시연하는 모습 .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첨단 로봇 기술 시연이 펼쳐졌으며, 전체 전시는 ‘로봇 혁신관’, ‘로봇 응용관’, ‘로봇 기술관’의 3개 테마 전시관으로 구성되었다 . 특히 혁신관에서는 중국 로봇 스타트업 유니트리(Unitree)의 G1 인간형 로봇과 사족보행 로봇들이 실제 복싱 경기를 선보여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또한 같은 혁신관 부스에는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마라톤 완주 챔피언인 톈궁 울트라’(Tien Kung Ultra)가 전시되어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 한편 중국 유비텍(UBTECH)은 자사의 휴머노이드 로봇 Walker S와 함께 세계 최초로 자율 배터리 교환 기능을 갖춘 신형 인간형 로봇 Walker S2를 공개하여 주목을 받았다 . 이 로봇은 1.8미터에 달하는 작업 반경, 162° 회전하는 허리 관절, 밀리미터 단위의 정밀한 다관절 손 등을 갖추고 있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인간형 로봇 기술의 비약적 진보를 보여주었다 .
이번 WRC 2025에는 ABB, 페스토(Festo), 에스턴(Estun), 유니트리 등 약 200개의 국내외 로봇 관련 기업이 참가하여 1,500종에 달하는 첨단 제품과 기술을 선보였다 . 이는 전년도 대비 참가 업체 수가 25% 증가한 것이며, 새롭게 공개된 로봇 제품도 100여 종에 달해 작년의 거의 두 배 수준이었다 .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참여도 역대 최대 규모로 이루어져, 50여 개에 이르는 선도적 인간형 로봇 제조사가 최신 제품과 솔루션을 대거 출품함으로써 그 어떤 국제 행사보다 많은 휴머노이드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였다 .
체화된 지능형 로봇의 미래 동향
WRC 2025 개막식에서는 세계로봇협력기구 회장 차오홍(Qiao Hong)이 기조연설을 통해 ‘2025년 체화된 지능형 로봇의 10대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하며 차세대 로봇 기술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 이 보고서는 특히 로봇의 인지, 의사결정, 안전성 분야에서 체화된 지능형 로봇의 향후 발전 동향을 집중 조명한 것이다 . 보고서에서 강조된 10대 주요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
1. 체화된 인지 – 물리적 실습, 시뮬레이터, 세계 모델의 시너지를 통해 강화되는 인지 능력
2. 멀티모달 거대 모델 기반 의사결정 – 멀티모달 AI 모델을 활용하여 로봇의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
3. 체화된 지능 제어 – 로봇의 체화된(Embodied) 지능을 활용한 새로운 제어 기술
4. AI 기반 로봇 설계 – 인공지능을 접목한 차세대 로봇 설계 기법
5.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 – 로봇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일관된 일체화
6. 로봇 제조 혁신 – 로봇 생산 공정의 자동화 및 첨단 제조 기술 발전
7. 대규모 고품질 데이터세트 – 로봇 학습을 위한 방대한 고품질 데이터의 구축 및 활용
8. 로봇 군집 및 인간-로봇 협업 – 다수 로봇의 자율 군집 운영 및 인간과 로봇의 협동 작업
9. 학제간 개방형 커뮤니티 – 로봇 분야의 학제간 협력을 통한 개방형 혁신 커뮤니티 조성
10. 안전성 평가 및 윤리적 개발 – 체화된 지능 로봇의 안전 기준 확립과 책임감 있는 윤리적 개발
이러한 트렌드들은 기술적 진보뿐 아니라 협업, 데이터, 윤리 등 로봇 산업 전반에 걸친 다각적 발전 방향을 아우르고 있으며, 체화된 지능을 갖춘 로봇 시대를 대비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
국제적 참여와 산업적 영향
WRC 2025에서는 해외의 참여도 대폭 확대되었다. 이전 대회에서 약 10명 수준에 그쳤던 해외 로봇공학 분야 전문가·학자 참석자는 올해 80여 명으로 늘어났으며, 싱가포르, ASEAN, 네팔, 카메룬 등을 포함한 약 300개의 해외 대표단이 산업별 로봇 응용 사례와 협력 수요를 발표하였다 . 이는 중국이 전 세계 로봇 기술 분야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
중국은 WRC를 글로벌 로봇 협력의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국제 표준 정립,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 공동 기술 혁신 등을 촉진하고 있다 . 이러한 개방적 협력 노력은 로봇 기술의 지속가능하고 책임있는 발전 생태계를 구축하고, 전 세계가 로봇 기술 혜택을 공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콘퍼런스에서는 세계적인 로봇 전문가들의 견해도 함께 공유되었다. 스위스 ETH 취리히의 로봇공학 및 지능시스템 분야 석학 브래드 넬슨 교수는 지난 한 해 동안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이 놀랍도록 발전했다고 평가하면서도, 로봇의 섬세한 조작 및 도구 활용 능력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한편, 중국 월롱 일렉트릭 글로벌 연구센터(상하이) AI R&D 센터의 수석과학자 알렉산더 클라이너는 중국이 차세대 글로벌 로봇 혁신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그는 방대한 수요, 비용 우위, 강력한 정책 지원 및 인구 구조 변화 등을 그 근거로 들며 “대규모 응용에 필요한 가격대를 실현할 수 있는 곳은 오직 중국뿐”이라고 말했다 . 또한 “실용적 리더십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 기업들이 미국과 유럽의 경쟁사들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하며, “머지않아 이곳 중국에서는 모든 곳에서 로봇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중국 정부 차원에서도 로봇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 중이다. 2025년 정부 업무보고에서는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을 확대하고, 지능형 로봇을 포함한 차세대 스마트 제조장비의 개발을 가속화할 것을 공식 천명하였다 .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의 로봇 생산국이자 소비 시장으로 부상했다. 실제로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생산된 산업용 로봇은 약 55만 6천 대로 2015년(3만 3천 대) 대비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 2024년에 생산된 서비스 로봇도 1천만 대를 넘어 전 세계 상업용 서비스 로봇 출하량의 84.7%를 중국 기업 제품이 차지했다 .
결론 및 전망
10주년을 맞은 WRC 2025는 단순한 기술 전시회를 넘어 미래를 향한 비전과 행동을 촉구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 로봇을 더 똑똑하게, 구현된 에이전트를 더욱 지능적으로라는 주제가 보여주듯, 개방적 협력을 통해 지능화 시대의 청사진을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그려나가야 한다는 메시지가 행사 전반에 걸쳐 강조되었다. 세계 로봇 기술의 현재 수준과 향후 방향을 조망한 이번 콘퍼런스는 더욱 스마트하고 포용적인 미래 사회를 향한 이정표를 제시하며 막을 내렸다.
'IT & Tech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의 Multi-Token Prediction 기술: 대규모 언어모델 추론을 5배 가속화하는 돌파구 (0) | 2025.08.10 |
---|---|
ETNA 암호화폐 전망 분석 (0) | 2025.08.09 |
주요 생성형 AI 모델 IQ 비교: GPT-5부터 퍼플렉시티까지 (0) | 2025.08.08 |
GPT-OSS 시대의 혁신과 변화 문제와 답 모두 스스로 찾아라 (0) | 2025.08.08 |
대한민국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5개 정예팀 심층 분석 네이버클라우드 skt 업스테이지 등 (0)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