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 ‘스마트’하다는 것은 곧 ‘안전하다’는 뜻인가?

블록체인 산업에서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탈중앙화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다. 이 자동화된 코드 시스템은 중개자 없이 자산을 전송하고, 조건을 확인하며, 수익을 분배할 수 있게 해주지만, 동시에 단 한 줄의 코드 오류로 수천억 원이 증발하는 리스크의 집약체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DAO 해킹 사건(2016), bZx 해킹(2020), Wormhole 해킹(2022), Multichain 사고(2023) 등은 모두 스마트컨트랙트 보안 취약점에서 비롯되었으며,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역시 수많은 공격 시도를 받아왔다.
그렇다면 ETHENA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ETHENA는 다음 네 가지 핵심 원칙을 기반으로 보안을 설계하고 있다:
• “공격받는 것을 전제로 하는 구조”
• “다중계층 검증과 감사 체계”
• “업그레이드와 취약점 대응의 유연성 확보”
• “탈중앙화된 리스크 분산 구조”
이 글에서는 ETHENA의 스마트컨트랙트 설계 구조, 보안 감사 이력, 위기 대응 체계, 주요 기능별 방어 설계, 커뮤니티 기반 모니터링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
2. ETHENA 스마트컨트랙트 구조 개요
ETHENA는 다음과 같은 핵심 스마트컨트랙트 모듈을 포함한다:
모듈 역할
USDe Minter ETH 담보 기반으로 USDe 발행/상환
Hedging Engine 델타 중립을 위한 숏 포지션 관리
Collateral Manager 담보비율, 담보 종류 설정 및 정리
Staking Module ENA → veENA 스테이킹 관리
Liquidity Incentives ENA 보상 분배 설정
Governance Contract DAO 투표 결과 반영, 파라미터 조정
Emergency Control 페깅 이탈, 담보 급락 등 긴급상황 대응 로직
이 모든 모듈은 on-chain 상태 유지, 서로 분리된 접근 권한, 업그레이드 가능성 포함, Proxy 패턴 기반 설계 등 보안 설계의 기본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
3. 외부 보안 감사 이력
ETHENA는 개발 초기부터 세계적인 보안 감사 기관들과 협력하여, 다음과 같은 다단계 보안 감사를 진행했다.
감사기관 감사 내용 기간 주요 이슈
OpenZeppelin 핵심 발행·스테이킹 모듈 2023.10.~11. 일부 overflow/underflow 위험 → 수정
Trail of Bits 전체 구조 위협모델링 2023.12. 재진입 가능성 제거 권고 → 반영
Halborn DAO 거버넌스 공격 시나리오 2024.1.~2. 위임 공격 가능성 차단 완료
Immunefi (버그바운티) 글로벌 화이트해커 대상 공개 테스트 상시 운영 중 총 8건 제보, 보상금 지급
특히 Immunefi의 100만 달러 규모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은 DeFi 프로젝트 중에서도 상위권 수준이며, 실시간 취약점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4. 기능별 보안 설계 분석
4.1 USDe 발행/상환 모듈
• 발행 조건: ETH 예치 후 일정 담보율 이상 필요 (예: 150%)
• 상환 시 담보 회수: 정확한 페깅 가격 기준으로 계산
• 오라클 의존성 완화: Chainlink + 자체 백업 오라클 이중 구조
• Reentrancy 방지: 모든 외부 콜 이후 상태 변경 실행
→ 테라(UST)의 무담보 발행 모델과 달리, ETHENA는 하드 담보 + 포지션 해지 후 수익 정산이라는 이중 안정화 구조를 채택
⸻
4.2 헤지 엔진(Hedging Engine)
• 주요 기능: 오프체인 선물 거래를 통해 델타중립 유지
• 보안 설계 포인트:
• 실시간 주문 정보는 off-chain signer(서명자)를 통해 검증
• 모든 외부 거래소 API와 독립된 Fail-safe 경로 확보
• DAO 비상 모드 발동 시 포지션 자동 정리 로직 존재
※ 만일 외부 거래소 API가 실패할 경우, 내부 오프라인 상환 루틴으로 전환
⸻
4.3 스테이킹 및 보상 로직
• veENA 발행 과정에서 모든 타임락(TimeLock) 조건 명시
• ENA 보상 풀은 관리자 없이 DAO 투표 결과에 따라 자동 조정
• LP 보상은 유동성 비중에 따라 자동 반영 (Curve, Pendle 등과 통합 설계)
→ 권한 없는 자동 분배 설계는 내부자 공격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구조
⸻
4.4 거버넌스(DAO) 구조 보안
• 투표는 Snapshot 기반 → 온체인 결과 반영 시 지연 타임락(24~48시간) 적용
• 제안 발의는 일정 수량의 veENA 또는 스폰서 필요
• 긴급 모드(페깅 이탈, 담보 급락 등) 발동권은 다중서명(Multisig)으로 제한
→ DAO 공격(ex: 빠른 투표로 담보율 변경 후 뱅크런 유도)을 원천 차단
⸻
5. 탈중앙화 보안 프레임워크
ETHENA는 전체 구조를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보완하고 있다:
영역 보안 설계
오라클 Chainlink + 자체 TWAP 백업
관리자 권한 TimeLock + Multisig + DAO 투표
펀딩 자금 접근 자산 분산 예치 (3~5개 거래소) + 실시간 잔고 모니터링
코드 업그레이드 Proxy 구조 기반. 업그레이드 시 모든 DAO 승인 필수
정기적 리스크 리뷰 독립 보안위원회(Security Council) 구성 중
⸻
6. 오픈소스 정책과 커뮤니티 감시 체계
ETHENA는 코드 대부분을 오픈소스로 공개했으며, GitHub에 실시간 PR, 커밋, 리뷰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커뮤니티 참여형 보안 구조도 병행한다:
• 버그바운티 시스템: 일반 개발자도 포상 신청 가능
• Security Forum: 보안 취약점 논의 및 DAO 제안 플랫폼
• watch.ethena.fi: 주요 스마트컨트랙트 변경 사항 모니터링 사이트 운영
→ 이는 전통적인 감사보다 빠르고 분산된 취약점 대응 체계를 가능케 한다.
⸻
7. 위기 대응 시나리오 설계
ETHENA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동 또는 반자동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다:
위기 유형 대응 방안
USDe 페깅 이탈 ($0.95 이하) 자동 수수료 변경, 신규 발행 차단, 유동성 풀 보상 강화
ETH 급락 (예: 하루 -30%) 헤지 포지션 수익으로 보충, 담보 증액 요청
DAO 구조 공격 시도 Multisig 거부권 발동, TimeLock 연장
스마트컨트랙트 이상 거래 감지 Security Council 권한으로 일시 정지 가능
이러한 시나리오는 테스트넷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기 점검되며, 거버넌스 제안과 병행되어 유연성이 유지된다.
⸻
8. 비교 분석: ETHENA vs DAI vs Frax vs UST
항목 ETHENA DAI Frax UST (테라)
보안 감사 3개 이상 글로벌 감사 완료 Maker 내부 감사 FraxLabs 주도 초기 무감사, 자체 검토
DAO 권한 분산 TimeLock + Multisig + Snapshot Maker 투표 내부 제안자 중심 미비
오픈소스 정도 GitHub 전체 공개 전체 공개 부분 공개 제한적
위기 대응 설계 다단계 + 자동화 Fee 조절 + 담보 증가 미비 없음
버그바운티 Immunefi 상시 운영 없음 없음 없음
→ 종합적으로 보면, ETHENA는 스마트컨트랙트 보안 및 DAO 통제 가능성 면에서 가장 선진화된 모델 중 하나이다.
⸻
9. 남은 과제 및 향후 보완 계획
과제 대응 방향
Cross-chain 연동 시 브릿지 보안 LayerZero, Wormhole 사용 예정. 제3자 감사 추진 중
Restaking 통합 시 노드 보안 EigenLayer와의 연계 시 별도 감사 수립 예정
시빌 공격 대비 veENA 기반 참여자 인증 강화 예정
코드 자동 검증 AI 기반 CodeGuard 시스템 검토 중
⸻
10. 결론 – ETHENA는 ‘공격 가능성을 전제로 설계된’ 스마트컨트랙트 시스템이다
ETHENA의 스마트컨트랙트 보안 구조는 단순히 코드를 ‘깨끗하게 만드는’ 수준을 넘어선다.
이는 다음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다:
• 보안 감사를 선제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구조에 반영
• DAO와 TimeLock, 다중서명을 결합한 탈중앙 거버넌스 보호
• 버그바운티와 커뮤니티 감시 체계로 공격을 ‘찾아내는’ 시스템
• 상황별 자동 대응이 가능한 리밸런싱 설계
ETHENA는 코드 한 줄의 신뢰가 수천억 원의 담보를 책임지는 세상에서, 그 코드가 언제든 공격당할 수 있음을 전제로 ‘안전한 실패’를 설계한 최초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중 하나다.
이러한 접근은 단지 개발자의 노력의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 금융 인프라 전체의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이자, 블록체인 산업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시금석이다.
'get ri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NA의 상환 메커니즘 – 시장 충격 시 어떻게 작동하는가? (0) | 2025.08.03 |
---|---|
오프체인 담보와 온체인 발행: ETHENA의 하이브리드 구조의 장단점 (0) | 2025.08.03 |
ETHENA의 리퀴디티 리스크 대응법: ‘은행 도산’을 어떻게 피할 수 있는가? (0) | 2025.08.03 |
ETHENA의 투자 매력도 분석: 고정수익 vs 스테이킹 vs 디파이 (0) | 2025.08.03 |
에테나 코인 토큰 이코노미 분석: ENA 토큰의 역할과 유통 구조 (0) | 202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