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 (프리미엄 FSC)
• 단거리 노선 (국내선·일본·중국 동북부 등): 대한항공은 국내선(김포·제주 등)과 일본, 중국 북동부 지역의 항공편을 운영합니다. 최근 A220-300·A321neo 등 협동체 기종을 도입하여 단거리·중단거리 노선의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 단거리 국제선에서도 비즈니스·이코노미 클래스를 제공하며, 위탁수하물(23kg×2개)과 간단한 기내식이 기본 포함됩니다. 운임은 풀서비스 수준으로 저비용사 대비 높으며, 할인 운임도 일정 부분 운영합니다. 기내 서비스로는 전 좌석 모니터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식음료(장거리 무료식·단거리 스낵) 등을 제공합니다. 마일리지는 스카이패스(SKYPASS)를 통해 적립 및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대형항공사들은 국내선 운항을 재개·확대하며 인천 허브공항 연결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중거리 노선 (동남아·몽골·중앙아시아 등): 동남아시아(방콕·세부·하노이 등), 몽골(울란바타르)과 중앙아시아 노선에 A330-300, B777-200ER 등 중형 기재를 투입합니다  . 이 구간은 대부분 프레스티지(비즈니스)·일반석 구성을 갖추며, 기내식·와인 등 유료식사 서비스와 간단한 기내 오락을 제공합니다. 운임 구조는 여유 있고, LCC 대비 상향 조정된 편입니다.
• 장거리 노선 (미주·유럽·오세아니아 등): 미국, 유럽, 오세아니아 등 광역 노선에는 A380-800, B777-300ER, B787-9/10, A350-900 등 광동체 기종을 투입합니다  . 대한항공 장거리편은 일등석·프레스티지·일반석을 구분 운영하며, 넓은 좌석과 기내식(한식·양식)·개인용 모니터, 기내 와이파이 등을 제공합니다. 기내 서비스 수준은 국내 최고 수준으로, 무료 식음료·항공차·어린이용 기내 엔터테인먼트 등이 특징입니다. 마일리지는 스카이패스로 적립 가능하며, SkyTeam 동맹을 통해 환승·제휴 항공사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운항 전략 측면에서는 허브앤스포크 방식으로 인천을 중심 허브로 활용하며, 코로나 이후 중단거리 재운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프리미엄 FSC)
• 단거리 노선: 아시아나항공은 인천·김포를 거점으로 국내선과 일본·중국 등 인근 아시아 노선을 운항합니다. 단거리 구간에는 A321-200/neo 기종과 A330-300을 주로 사용하며, 풀서비스 항공사답게 기내식·위탁수하물(23kg×2 포함) 등이 제공됩니다. 운임은 대한항공과 비슷한 수준의 풀서비스 요금을 적용합니다. 기내 서비스로는 전 좌석에 개인용 모니터, 간단한 스낵(국내선) 또는 식사(국제선)가 있습니다. 마일리지는 아시아나클럽(Star Alliance)을 통해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 중거리 노선: 동남아, 서남아(뉴델리 등), 중앙아시아(타슈켄트), 중화권 등 중거리 노선에는 에어버스 A330-300과 보잉 777-200ER을 투입합니다 . 이 구간 편의성 향상을 위해 비즈니스석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기내식·간식과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합니다. 운임은 평균적인 풀서비스 요금 수준이며, 각종 제휴 할인이나 프로모션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장거리 노선: 미주(LA, 샌프란시스코 등), 유럽(파리, 프랑크푸르트 등), 대양주(호주) 노선에 A380-800(6대), A350-900(15대), B777-200ER(9대) 등을 투입합니다 . 광동체 기종에 일등석·비즈니스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5성급 서비스로 평가받습니다. 장거리 항공편에서는 고급 식사(한식·양식·특식 옵션), 고급 와인, 최신 AVOD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마일리지는 아시아나클럽으로 적립되며, 스타얼라이언스 네트워크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운항 전략상 인천공항을 허브로 하여 미주·유럽노선을 강화하고 있으며, 통합 과정에서 두 항공사의 노선망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제주항공 (LCC)
• 단거리 노선: 제주항공은 국내선(서울·부산·제주, 지방공항)과 근거리 국제선(일본 후쿠오카·오사카·나리타, 중국 상하이·옌지 등) 위주로 운항합니다. 기종은 전량 보잉 B737-800/800NG와 신형 B737-8(맥스8)이며, 최근 B737-8 6호기를 도입해 기단을 현대화하고 연료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 기내 서비스는 좌석지정/선택, 기내식 및 음료 구매 등이 모두 유료입니다. 운임은 매우 저렴한 기본 요금을 내세우고 있으며, 초특가 항공권을 자주 판매합니다. 무료 수하물 허용량은 제한적이고(이지탑·스탠다드 등 요금제별 상이), 추가 옵션을 별도 구매해야 합니다. 마일리지는 자체 프로그램인 ‘Refresh Point(리프레시 포인트)’를 운영하여 포인트로 항공권 구매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
• 중거리 노선: 동남아(방콕·세부·다낭·싱가포르), 동북아(홍콩·마닐라) 등을 중거리 노선으로 운항합니다. 운항 거리가 길어지면서 일부 노선에 경유편도 활용하며, 효율성을 위해 737-800NG에서 더 연료효율이 높은 737-8 맥스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 장거리 LCC와 경쟁하기 위해 일부 노선에 한정 기내식(불닭갈비 등 트렌디 메뉴) 제공도 시도 중이며, 부가서비스 선구매 할인 등으로 수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장거리 노선: 제주항공은 현재 미주·유럽 등 장거리 노선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아시아 지역 내 최대 5–6시간대 중장거리 수준까지만 운항하며, LCC 특성상 장거리 운항은 아직 미개척 상태입니다.
진에어 (LCC, 대한항공 계열)
• 단거리 노선: 진에어는 부산·김포 등 지방 출발 국내선과 일본(나리타·오사카 등), 중국(옌지·정저우) 노선에 집중합니다. 대한항공 산하 통합 LCC의 핵심 역할로 단거리 특화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관광 수요가 높은 2–4시간대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합니다 . 현재 보잉 737-800/900NG와 737-8(맥스8) 28대, 777-200ER 4대 등을 운영 중이고, 2022년부터 A321neo 도입으로 좌석 효율을 높일 계획입니다 . 기내 서비스는 기본 LCC 수준으로, 무료 수하물 허용량이 적고 기내식·좌석지정 모두 유료입니다. 마일리지는 별도 프로그램이 없으며, 대한항공 스카이패스에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 중거리 노선: 동남아 및 인근 아시아(푸껫, 타이중, 보홀 등) 노선에 진에어 777-200ER도 투입하지만, 최근에는 중장거리 확정보다는 단거리 공급 확대에 주력합니다. 현재 인천~푸껫(6시간) 정도가 최장 노선이며, 그보다 긴 미국·유럽 노선은 운항하지 않습니다. 운항 전략은 합리적 공급량 조절로 수익성을 개선하는 방향입니다.
• 장거리 노선: 진에어는 LCC임에도 보잉 777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정기미주·유럽 노선 취항 계획은 없습니다. 합병 후 통합LCC 체제에서는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이 부산·서울 거점으로 단거리 시장을 책임지며, 장거리 슬롯은 여객 수요와 그룹 전략에 따라 추후 검토될 것입니다.
티웨이항공 (LCC)
• 단거리 노선: 티웨이항공은 국내선과 동아시아(일본·중국) 및 동남아 노선에 집중하며, 보잉 737-800NG와 소수의 737-8 맥스를 운용해 왔습니다. 국내외 LCC 중에서는 일본 외에도 몽골·중앙아시아(울란바토르·타슈켄트 등) 노선도 다소 확보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해 왔습니다.
• 중거리 노선: 동남아·대양주 일부 노선(필리핀·괌·시드니)에는 에어버스 A330-300 기재 3대를 투입해 운영 중입니다 . 이 외에 작년부터 대한항공에서 임차한 A330-200 4대를 이용해 로마·파리·바르셀로나(유럽) 노선도 운항하고 있습니다 . 한편, 현재는 국내외 노선 수요에 맞춰 혼합 비즈니스/이코노미 좌석 구성을 갖춘 중장거리편을 제공하지만, 기내식은 별도 유료로 운영하는 등 저비용 모델을 유지합니다.
• 장거리 노선: 장거리 확장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2026년부터 에어버스 A330-900neo 5대를 순차 도입하여 북미·유럽·오세아니아 노선에 투입할 계획 . 향후 최대 10대까지 늘려 합리적 운임의 장거리 운항을 준비 중입니다. 좌석 구성에 비즈니스석이 포함되며, 이코노미는 넓은 2-4-2 배열로 승객 편의를 개선합니다. 마일리지 제도는 없으며, 운임은 FSC 대비 저렴한 LCC 요금으로 제공됩니다.
에어부산 (LCC, 아시아나 계열)
• 단거리 노선: 부산·김포·대구·제주를 허브로 국내선과 일본(하네다·오사카 등), 중국(시안·옌지), 동남아(세부·하노이·마닐라), 러시아 극동(블라디보스토크) 등을 운항합니다. 에어버스 A320/321 계열만 사용하며 현재 A320-200 5대, A321-200 7대, A321neo 8대(A321neo 6대+LR 2대)를 운영합니다 . 기내식은 국제선 특정 노선에서 유료 제공하며, 국내선엔 간단 음료 서비스가 있습니다. 좌석 공간은 여타 LCC와 비슷합니다.
• 중거리 노선: 동북아·동남아 노선을 중단거리로 분류하며 활발히 운항합니다. 부산 출발 발리(장거리, 5,000km 이상) 노선 운항(국내 지방공항 최초 장거리 직항) 등 중장거리 노선도 일부 시도 중입니다. 운임은 제주항공 등 타 LCC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게 책정되는 경우도 있으며, 장거리로 갈수록 가격 메리트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마일리지는 아시아나항공과 제휴하여 아시아나클럽으로 적립 가능하며(단, 항공편 예약 시 회원번호 기입 필요), 통합 시 아시아나클럽과 대한항공 스카이패스가 통합될 전망입니다.
• 장거리 노선: 현재 자체 광동체가 없어 미주·유럽 노선은 운영하지 않습니다. 전략적으로는 본사인 아시아나(인천 허브)를 통한 환승 연계형 사업에 집중하고, 인터라인 협정 등을 활용해 승객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운항 전략은 아시아나와의 시너지를 통해 부산권 고객을 확보하고, 낮은 비용 구조로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입니다.
항공사 비교표
항공사 유형 주요 거리별 노선 (예시) 주력 기종 기내 서비스·운임 특성 마일리지/멤버십
대한항공 FSC 단거리: 김포/부산↔제주 등 국내선, 일본(도쿄·후쿠오카), 동북아(베이징 등) 중거리: 동남아(방콕·세부 등), 몽골(울란바토르) 등 장거리: 미주(LA·뉴욕), 유럽(파리·런던), 대양주(시드니) A220-300, A321, B737 A330-300, B777-200/300ER, B787, A350, A380   서비스: 무료 기내식·위탁수하물 포함, 좌석 모니터 등 풀서비스운임: LCC 대비 높음, 부가서비스 무료 제공  스카이패스 (SkyTeam)
아시아나 FSC 단거리: 인천/김포↔국내선·일본·중국 중거리: 동남아·남아시아(인도) 장거리: 미주(샌프란시스코), 유럽(파리·로마), 오세아니아(시드니) A321-200/neo, A330-300, B777-200ER, A350-900, A380   서비스: 무료 기내식·위탁수하물 포함, 정비된 기내 환경 운임: 풀서비스 요금, 제휴 할인 가능 아시아나클럽 (Star Alliance)
제주항공 LCC 단거리: 국내선 7개 (서울·부산·제주 등), 일본(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 등), 중국(옌지·장자제) 중거리: 동남아(방콕·다낭·세부), 홍콩 등 장거리: 없음 (아시아권 최대 5–6시간) B737-800/NG, B737-8 MAX  서비스: 기내식·위탁수하물 유료, 좌석 선택·음료 구매별도 운임: 매우 저가(초특가) 중심, 부가요금 체계 Refresh Point (자체 적립)
진에어 LCC (KAL) 단거리: 김포/부산/청주↔제주 등, 일본(오사카·타이베이), 중국(옌지) 중거리: 동남아(푸껫·타이중·보홀 등) 장거리: 없음 (인천~푸껫 6h가 최장) B737-800/900NG, B737-8 MAX, B777-200ER  서비스: 기내식·위탁수하물 유료, 부가서비스별 구매 운임: LCC 수준(대한항공 대비 저렴) 스카이패스 (SKYPASS)
티웨이항공 LCC 단거리: 국내선, 일본·중국 주요 도시 중거리: 동남아(필리핀·괌·싱가포르), 오세아니아(호주 시드니) 장거리: 유럽(파리·로마 등)·미주 준비 중 (A330-900 도입 예정)   B737-800/900NG, B737-8 MAX; A330-300/200, A330-900neo   서비스: 전 좌석 이코노미, 기내식 유료, 무료 수하물 소량 허용 운임: 낮은 편 (FSC 대비 저렴) 없음 (멤버십: T’way Plus 구독형)
에어부산 LCC 단거리: 부산↔서울·제주, 부산↔일본(하네다·홍콩·마카오) 등 중거리: 동남아(마닐라·하노이·세부·호치민 등), 중국(광저우) 장거리: 없음 (부산↔발리 5,000km급 시범) A320-200, A321-200, A321neo/LR  서비스: 좌석 지연/편의 중심 맞춤 서비스, 기내식 노선 한정 제공 운임: 제주항공과 유사한 저가 요금 아시아나클럽 (또는 통합 후 SKYPASS)
표: 각 항공사의 유형, 주요 노선, 대표 기종, 서비스 및 운임 특성,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요약했습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ソウルの心臓部を歩く:日本人旅行者のための光化門および周辺歴史地区 完全ガイド (0) | 2025.09.03 |
---|---|
미국인의 동아시아 여행 패턴 (2023년 이후) (0) | 2025.09.02 |
ソウル「駱山公園」と「漢陽都城(ハニャンドソン)巡城道」詳細ガイド (0) | 2025.08.31 |
韓国・洛山ケデホンの魅力と観光ガイド (0) | 2025.08.26 |
전 세계 Z세대가 꼽은 가장 살고 싶은 도시 순위 (2025년) (0) | 202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