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 Tech 정보360

비개발자가 노코드 스택으로 SaaS를 만들기까지의 구체적인 과정 비개발자의 앱 제작기노코드 스택으로 MVP 구축 → 사용자 피드백까지“개발 없이 앱이 가능하다고요?”기획자였던 저는 이 말을 듣고 바로 실험에 돌입했습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능했습니다. Softr, Airtable, Make(Integromat)이라는 노코드 스택으로 두 개의 웹 서비스를 만들었고, 피드백을 받고 기능을 개선하며 지금도 운영 중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어떤 기술 스택을 조합했는지, 어떻게 기획→제작→배포까지 진행했는지를 개발 블로그 스타일로 상세히 공유드리려 합니다.⸻🧭 목표 • 개발자 없이 MVP 제작 가능 여부 검증 • 2주 내 프로토타입 출시 • 사용자 피드백 수집 및 수정 • 최소 1개 기능의 유료화 실험⸻⚙️ 사용한 노코드 스택범주 도구 설명UI 프론트 Softr .. 2025. 6. 21.
비개발자도 앱 만든다? 코드 한 줄 없이 제품을 만드는 법 요즘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노코드(No-code)로 앱 만들기” 같은 문구가 심심치 않게 보입니다. 처음에는 흥미로웠습니다.‘내가 진짜 개발을 안 하고도 앱을 만들 수 있다고?’반신반의로 시작한 이 실험은, 이제 제가 만든 웹서비스 두 개를 실제 사용자에게 보여줄 준비까지 마치게 했습니다.저는 개발자가 아닙니다. 디자이너 출신이고, 기획을 좋아하지만 코드에는 문외한이었습니다.그런 제가 어떻게 앱과 웹을 만들게 되었는지, 어떤 툴을 사용했는지,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는지 정리해보려 합니다.⸻선언이 먼저였다“연말까지 앱을 만들어서 수익까지 내보자.”저는 다짐을 ‘공개적으로’ 하는 편입니다. 해야 할 일을 마음속에만 묻어두면 언제든 도망칠 구실이 생기기 때문입니다.그래서 SNS에 선언했습니다. 연말까지 앱.. 2025. 6. 21.
차세대 AI 메모리 기술: SOCAMM과 HBM4의 현재와 전망 1. 마이크론의 SOCAMM 기술과 경쟁 우위**SOCAMM(System-On-Chip Advanced Memory Module)**은 LPDDR5X 기반 저전력 DRAM 스택을 작은 모듈 형태로 구현한 차세대 메모리 폼팩터입니다 . 마이크론은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을 통해 세계 최초의 128GB SOCAMM 모듈을 공개했으며, 이는 16-다이 LPDDR5X 칩 4개를 적층한 구성으로 초고용량을 달성합니다  . 모듈 크기는 약 14×90mm로 기존 RDIMM의 1/3 수준에 불과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납니다 .SK하이닉스가 2025년 GTC에서 공개한 128GB SOCAMM 모듈. 16Gb LPDDR5x 칩 4개를 적층했으며, 프로토타입 기준 7.5G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달성했다 . 소형 폼.. 2025. 6. 11.
암흑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보이지 않는 질량에서, ‘공간을 먹는 중력’으로한때 이런 질문이 있었습니다.“밤하늘을 보며, 별들이 왜 그렇게 빠르게 돌고 있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망원경으로 은하를 관측한 과학자들은 이상한 현상에 직면했습니다.은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별들도 중심에 가까운 별들만큼 빠르게 회전하고 있었던 것입니다.이론적으로는, 은하 중심에서 멀수록 속도가 느려져야 정상입니다.지구도 태양에서 가까운 수성이 가장 빠르고, 먼 해왕성은 느리게 공전하죠.그런데 은하의 별들은 다 같이 마치 원판 위에서 함께 돌고 있는 것처럼 회전하고 있었던 겁니다.⸻🧩 과학자들이 붙인 이름: ‘암흑물질’이 이상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보이지 않는 질량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우리 눈에는 안 보이지만, 중력은 느껴지는 무언.. 2025. 6. 8.
보이지 않는 우주, 보이지 않는 힘: 암흑물질 관련 새로운 발견 ‘공간 압력’이라는 새로운 우주 이야기“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다.”이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우리는 보통 풍선을 떠올립니다. 우주라는 풍선이 부풀고 있고, 그 위에 찍힌 은하들이 함께 멀어지고 있다는 식의 비유죠. 하지만 누군가는 이런 생각을 합니다.“풍선이 부풀고 있다면, 무엇이 그 풍선을 밀고 있는가?”기존 우주론은 ‘암흑에너지’라는 존재가 이 팽창을 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암흑에너지가 정체불명이라는 점입니다. 직접 보이지 않고, 실험으로도 잡히지 않으며, 단지 수학적으로 가정된 존재입니다.이번 글에서 소개할 ‘공간 압력 우주론’은 이 낯선 의문에서 시작합니다.혹시 우리가 ‘암흑에너지’라고 부른 것은, 사실 ‘공간’ 자체의 성질이 아닐까?⸻1. 공간은 비어 있는 것이 아니다 –.. 2025. 6. 8.
혁신만이 살 길 – 크리스 밀러 교수 인터뷰를 통해 본 반도체 지정학과 한국의 대응 전략 1. 서막: 다시 시작된 관세 전쟁의 그림자2025년 대선을 앞둔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정책이 다시금 국제 경제를 흔들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그의 재선 캠페인 과정에서 다시 부상한 고율 관세 정책은, 단순히 중국을 겨냥한 보호무역주의를 넘어,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 기업들에까지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터프츠대 크리스 밀러 교수는 ‘칩 워(Chip War)’의 저자로서 반도체 산업의 지정학적 긴장 구조를 가장 예리하게 분석해온 인물이다. 최근 WEEKLY BIZ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한국 반도체 산업의 수익성 악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미국 AI 패권의 약화 가능성 등 다양한 충격파를 일으킬 수 있음을 경고했다.이 글에서는 해당 인터뷰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2025. 6. 7.
딥엑스 개요 기술 강점 ai 대표 프로필 이번엔 국내 AI 반도체 팹리스 기업 ’딥엑스(DEEPX)’에 대한 심층 소개입니다. 기사 내용 및 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기업 개요, 기술력, 사업 성과, 창업자 프로필 등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1. 기업 개요 및 설립 배경딥엑스(DEEPX)는 2018년 설립된 인공지능(AI) 반도체 전문기업으로, 창업자인 김녹원 대표의 주도로 설립 초기부터 ‘초저전력·고성능의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집중해왔다. 기존 클라우드 기반 AI 처리 방식의 한계—지연 시간, 보안 위험, 에너지 소비 증가—를 극복하고자, 모든 AI 연산을 디바이스 자체에서 수행하는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 기술을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였다.딥엑스는 국내외 팹리스 시장에서 드물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알고리.. 2025. 6. 6.
Mary Meeker의 2025 인공지능 트렌드 보고서 상세 분석 미국 중국 ai 수요 투자 1. Mary Meeker: 기술 트렌드 분석의 선구자, 다시 무대에 복귀하다Mary Meeker는 실리콘밸리 역사에서 손꼽히는 트렌드 분석가로, 기술 산업과 벤처 자본의 흐름을 예측하는 데 있어 탁월한 통찰력을 발휘해온 인물입니다. 1990년대 후반 Morgan Stanley 수석 인터넷 애널리스트로 활동하던 Meeker는 Netscape와 Amazon의 IPO 분석, Google의 성장을 예측한 보고서를 통해 “인터넷의 여왕(Queen of the Internet)“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그녀는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인터넷 트렌드(Internet Trends)’라는 연례 보고서를 통해 시대를 앞서 읽는 기술·소비자 패턴을 발표하였으며, 해당 보고서는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창업자들과 벤처 캐피.. 2025. 6. 5.
반응형